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1

        36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농자재인 목초액과 키토산의 농업적 이용을 위하여 고추의 생육과 양분흡수 및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토산 처리구에서 토양의 방선균수가 증가하고 사상균 수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A/F 및 B/F비가 커졌으며, 정식 후 50일에 경경이 약간 큰 편이었으나, 엽록소함량은 처리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해충은 관행에 비해 키토산 및 목초액 처리구 모두 발생률이 많아 병해충의 방제효과는 볼 수 없었다. 식물체 분석 결과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구 모두 Ca, K가 관행보다 다소 높았으며 키토산 처리구는 과실의 무기성분 중 Ca와 K와 같은 양이온 함량이 다소 많은 편이었다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에 의한 수량은 병해충 발생으로 관행에 비하여 모든 시험구에서 감소하여 수량증대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나. 과중 등의 과실특성이 좋게 나타나 키토산 10회 처리의 경우 관행대비 92.4%로 관행에 가까운 수량지수를 보였다.
        4,000원
        36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tional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Yanbian by ethnic : Korean, Korean-Chinese, Chinese. The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individual interviewing method. Statisticai data analysis was completed by SAS 8.0 package program for t-test,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verage energy intake per day was high in Korean-Chinese. Nutrient Adequacy Ratio(NAR) was highest in iron and lowest in zinc. Mean Adequacy Ratio(MAR) score was 0.68~0.85 for each group.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INQ) were over 1.0 for most nutrients except 0.41 of zinc and 0.76 of calcium. Average energy intake ranked high in Korean-Chinese, Korean and Chinese.
        4,300원
        363.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collect recipe of set up a standard recipe and analyze the nutrients of broiled black goat meat (a kind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south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cipe for goat(lamb) meat was recorded in Sanlimkyounggae and Jungbosanlimkyounggae between 1715 and 1827. The goat meat was explained as food for health, rejuvenation and recuperation Since late 1800, it has been utilized for such use. The flavor of broiled black goat meat is influenced by seasonings, fruit juice, heating treatment and cooker. And it also could be affected by the method of slaughter and the sex of the goat. There are lot of element in seasoning. Red pepper paste, garlic and ginger holdback the bad smell and make the taste better. Onion help to retain the water and improve the flavor. Starch syrup, sugar and sesame oil make the meat smoother, glossier and more tasty. The meat is usually roasted on grill over charcoal. It helps to remove or suppress the bad smell and make the taste better. Softness and scent of the meat depend largely on the way to butcher. Female goat meat tastes smoother and smells better. Fruit juice also improve the softness of the meat. Energy per 100g of the 'broiled black goat meat' is 170kcal. There are protein (23g), fat(2.4g), Ca(159mg), Fe(1.1mg) and so on. Amino acid is mainly comprised of essential amino acid such as cystine, lysine, leucine, and arginine. Fatty acid consists primarily of unsaturated fatty acid like oleic acid, linoleic acid.
        4,000원
        364.
        2001.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ternal stress was very common symptom that every pregnant women could have experienced during pregnant period. We found that the causative factors of stress for subjects were physical change(50.8%), family relationship(13.6%), change of body image(7.4%), concern baby(6.8%), economic difficulties(6.4%), depress(4.3%), morning sickness(3%), and miscellaneous(3.5%). According to our study,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rimester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od and nutrients intake of pregnant women and gave low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low birth weight of infants. It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nthly income(p〈0.001) and monthly food cost(p〈0.001) during pregnant period. Mean intake of Calcium and Iron were 47~60% of RDA and 35~48 of RDA, respectively. With the Iron supplement the total intake of Iron exceeded 100% of RDA. We also found majority of food items, except seaweeds, fruits and veget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stress during three trimesters. Additional support system projected by professionals in health-care field could mediate maternal stress and lead to healthy pregnancy outcome.
        4,300원
        365.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환식 펄라이트 재배에서 오이의 양액흡수는 일사량 변화와 관계없이 단위일사량당 흡수량이 80~100 mg.MJ-1까지 증가 후 일정하게 유지되어 양액흡수 지표는 전체 양액흡수량보다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이 더 적합하였다. NO ̄3-N의 흡수량은 초기에 3 mg.MJ-1에서 후기 16 mg.MJ-1로 상승하였고 Ca는 초기에 3mg.MJ-1에서 후기에 14 mg.MJ-11 로, Mg는 초기에 1 mg.MJ-1에서 후기에 5 mg.MJ-1로 증가되었으나, 정식 후 62일 이후의 증가세로 둔화되었다. K는 초기에 5.0 mg.MJ-1에서 후기 18 mg.MJ-1로 증가되었으나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오이의 하엽 제거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P는 초기에 0.5 mg.MJ-1에서 후기의 3.2mg.MJ-1로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S는 초기에 0.5 mg.MJ-1에서 증가에 6.5 mg.MJ-1까지 증가되다가 후기에 2.7 mg.MJ-1로 감소되었다. 오이의 각각의 무기이온 흡수량과 가장 상관이 높았던 요소는 정식일수와 엽면적이었으나 이 두 요소와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과는 r2=0.92, 0.97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단위일사량당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각각의 무기이온 흡수량 회귀식은 r2=0.9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실용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4,000원
        366.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연화왕겨 배지는 펄라이트와 수분특성이 달라서 펄라이트는 과채류 재배용 스티로폼베드에서 재배할 경우 1일 1.5~2.0L씩의 급액량을 1일 16회로 분할하여 급액한 처리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으나 팽연화왕겨는 1일 16~24회로 분할 급액할 경우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또한 토마토 재배시 정식 후 25일간 급액 EC를 높여줌으로써 우수한 생육 및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초기 부숙이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NO3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67.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dietary intake obtained by easy method and to compare dietary behavior of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The subjects consisted of 276 house wives and 228 female college students. Mean daily energy intake of house wives was 1926.0kcal and that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1949.0kcal. Calcium intake as NAR(Nutrient adequacy ratio) was lowest in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 Iron intake was also low in subjects and lower in female college student than in house wife. Meal frequency per day was regular in subjects. Skipping meal time in subjects was breakfast and snaking time was late evening generally. Frequency of eating out was rare in most subjects and 60.6% of subjects preferred chinese food in eating out, while house wives preferred Korean food than female college student in eating out. The vegetables were preferred than meat or fish and used by fried in sauces. Hot and sour tastes were more like than greasy taste in subjects. Nutrient intake levels and dietary behaviors of house wife were to be like as tho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general. BMI(Body mass index) was lower in female collage students than house wives, similarly in Korean. According to these results, house wive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had similar dietary patterns. Calcium intake was tend to be low and dietary pattern was regular, dietary qualifies of subjects were adequate. Nutrient intake and dietary pattern in Yanbian were to be like as in Korean, and the Korean-Chinese in Yanbian maintained traditional dietary pattern.
        4,000원
        368.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82, female agricultural workers are populous than male in Korea. Previous study was suggested that female workers are more sensitive to the agricultural medicine poisoning than mal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valuating the impact on plasma components and nutrient intakes in female agricultural workers by the use of pesticides. Data were obtained from 44 females residing in Wonjoo, Kangwon-do area. Analysi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plasma components of the subjects were performed by physical examination, 24-hour recall method and venous blood sampling.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pesticide use: 8 in none(Non-expose group), 14 in low(〈4/yr)(Low-expose group), and 22 in high(≥4/yr)(High-expose group).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erum glucose, SGOT, SGPT, triglyceride, HDL-cholesterol did not correlated with pesticide use and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But serum total cholesterol was higher in pesticide use group.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pesticide use times, leukocyte count was tended to increased. Eighty two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hemoglobin less than or equal to 12g/dl. Hematocrit, MCV, MCH, MCHC, serum Fe, Serum ferritin belonged to normal range and did not correlated with pesticide use. Intake of energy, Fe, vitamin B2 were lower than RDA. Fe, K, and vitamin A intake were higher in don't use group than the other groups. There are not many differences according to using the pesticide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nutrient intakes, and blood components, except for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and some nutrients intake. Bu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he systemic researches about the effects the pesticide using on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gricultural workers.
        4,000원
        36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presented that increasing trends of food intake under the stress condition and preference taste was sweet and hot in female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thought that food intake for coping with stress was produced negative results and they perceiv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their health problem.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level and the change of food intake in female students statistically(p〈0.01). They had higher stress in future prospect, academic problem, friend relationship,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hip. The average calorie intak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1553.06kcal(77.65% of RDA). The intake of protein, calcium and iron were quite less than the RDA, whereas the intake of phosphate, vitamin A, B2, C, niacin were more than the RDA. In changes of nutrient intake under the stress conditions, the higher stress group had decreased intake of calcium, iron, vitamin B1, B2, C than the lower stress group(p〈0.05).
        4,200원
        371.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ood waste compost andmineral nitrogen in 3 cuttings per annurn on the nutritive value and nutrient yields of orchardgrass (Dactylisglomerata L.). Annual food waste compos
        4,000원
        37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고추의 자루재배에 의한 양액재배시 NO3--N과 NH4--N의 비유 (8:2와 10:0),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수량 및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지의 무기성분 중 P, K, Ca 및 Mg는 배지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P 및 Mg는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K는 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에서, 그리고 Ca은 펄라이트+피트모스에서 각각 그 농도가 높았으며, 펄라이트 단용배지에서 가장 낮았다. 다른 성분에 비하여 Ca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10:0 양액에 비하여 8:2 양액에서 배지내 무기성분의 농도가 낮았다. 양액의 pH는 NO3-:NH4+ 비율에 따라 배지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10:0에서 안정적이었으며, 8:2에 비하여 약간 높게 유지되었다. 배지별 EC는 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높았다. 8:2에서는 1.83∼2.10ds·m-1 범위였고, 10:0에서는 1.78∼1.97 ds·ms-1 범위로 나타나 모든 배지에서 단고추 생육에 적합한 범위를 유지하였다. 초장고 경경은 8:2와 10:0의 경우 배지에 따른 생육차는 없었으며, 엽면적은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생체중, 건물중 등은 피트모스+훈탄에서 무거웠고, 펄라이트 단용 배지에서 가장 불량하였다. 생육 등은 배지 종류에 따른 영향도 있었으나, 초장, 경경,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NH4+를 첨가한 8:2 양액에서 배지종류에 관계없이 10:0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주당과수 및 주당수량은 8:2에서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17.53개와 1,588g으로 많거나 무거웠으며, 펄라이트 단용배지에서 가장 적었다. 10:0에서의 주당과수는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16.44개로, 수량은 펄라이트+피트모스에서 1,394g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량성은 배지 종류에 따른 차이도 일부 인정되었으나, 8:2의 모든 배지에서 과수, 주당수량, 평균과정, 과경, 과장 및 상품과율 등이 모두 10:0 양액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체내의 무기성분은 8:2의 경우 K+ 및 Mg2+는 잎에서 Ca2+은 뿌리에서 많았으며 PO4-은 과실과 줄기에서 많았다. 10:0에서의 무기성분도 8:2에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배지간에 무기성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양액조성에 따른 무기성분 함량의 차이는 K+, Ca2+ 및 Mg2+는 10:0에서, PO4-은 8:2에서 각각 많았다.
        4,000원
        37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ymus속의 common thyme과 thyme의 담액수경 재배시 배양액의 이온농도를 달리하여 두 종의 생육과 품질을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이온농도는 1.2, 2.4, 4.8 그리고 7.2mS.cm-1로 하였다. 두 종 모두 0.5(EC=1.2 mS.cm-1)배와 1배의 낮은 이온농도 처리에서 생육이 좋았다. Common thyme과 lemon thyme의 생육은 배양액내 이온농도가 높아질수록 건물율은 증가했으나 초장, 근장과 생체중은 감소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lemon thyme에서 더 높았으나 비타민 C의 함량과 정유함량은 common thyme에서 더 높았다. 두 종간의 주요 정유 성분 차이를 보면, common thyme의 주성분은 thymo과 carvacrol이고, lemon thyme은 geranio과 α-citral로 각각 정유 성분의 50~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각 주성분의 함량은 생육이 좋았던 0.5배에서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수경재배시 common thyme과 lemon thyme 모두 허브 배양액 0.5배액으로 재배시 우수한 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4,000원
        374.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swine manure fermented with sawdust(SMFS) and degree of the slope on productivity of corn, and nitrogen and organic matter runoff in corn cultivation soil. Main plots were consis
        4,000원
        375.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measure plate waste of school lunches, (b) evaluate the nutrients actually consumed by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y 11 and July 1, 1998 through the practical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AS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plate waste of menu group were soup, vegetable side dishes, kimchi, and meat side dish in order. 2.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estimation and weighing of plate waste. 3.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with school lunc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boys(73.55%) than for girls(71.13%). The highest level of the satisfaction was meat side dishes among boys and girls. 4. The majority reasons for leaving leftover were 'too big portion' and 'food is not tasty'. 5.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late waste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summary, increased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es in most menus resulted in decreased plate waste rate. 6. Comparison of 13 RDA, energy, vitamin A and calcium were below recommended allowances for boys while energy vitamin A, calcium and iron were for girls. In general, the nutrient intake was more adequate for boys than girls because of the girl's lower allowances.
        4,300원
        37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구역 양액재배에 적용할 수 있는 연속식 양액 자동조제공급 시스템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존의 정량펌프에 비해 정밀성 및 반복 구동회수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구동시간에 따라 토출량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원소별 농후액 공급조절장치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원소별 농후액 공급조절장치의 시간당 토출량 실험 결과 결정계수는R2=0.9999이었고 3초~5초 구동시간동안의 회귀식에 의한 토출량과 실제 토출량 편차를 비교한 결과 최대 -1.23%로 나타나 회귀식에 의한 구동시간에 따른 토출량 제어가 가능함이 확인 되었다. 원소별 농후액 공급조절장치의 원소별 토출량 증감을 통하여 조성이 다른 양액을 조제할 수 있었으며, 생육단계에 따른 원소별 농도의 증감 조절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수유입량 편차 실험 결과 목표 원수유입량과 실제 원수유입량간의 편차는 2.73% 이내로 나타났다. 세척 과정을 통해 EC가 1.4~l.6mS/cm인 경우에는 0.5~0.6mS/cm, 2.4~2.5mS/cm인 경우에는 0.9~l.0mS/cm 정도로 낮추어 급액 후 잔류 양액의 영향을 줄일 수 있었다. 개발된 다구역 재배용 양액 자동조제공급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이용 야마자키액 조성의 배양액 180l를 조제, 공급하였을 때 양액에 포함된 N O3-, 와 P O43- 이온에 대하여 실험실에서 조제한 양액의 이온 농포와의 비교 실험을 3회에 걸쳐 실시한 결과, 개발된 시스템으로 조제한 양액중에 포함된 N O3- 이온과 P O43- 이온은 실험실에서 조제된 양액에 비하여 각각 2.36%, 5.15% 낮게 나타났다.
        4,000원
        37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ent intake in ad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food intake in adults statistically. It seems that wome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hysical, psychological and nuerosensational stress than men(p〈0.05). The average calorie intake of men was 1721.25Kcal(68.85% of RDA), the women was 1568.79kcal(78.44% of RDA). Intake of protein, calcuim, Vit B1, Vit B2, Niacin were quite less than the RDA in men, wherase intake of calcuim, iron, Vit B1 were quite less than the RDA in women. In changes of nutrient intake by stress, men was increased as higher stress amount, but women was decreased as higher stress amount(p〈0.05). It was lower level of nutrient intake in the below 60 scores of food attitude group that was needed improve of food intake and counseling of professional nutritionist.
        4,000원
        37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습지의 주요 우점종인 갈대, 줄 및 애기부들을 대상으로, 자연습지에서 생육기 중에 시기와 횟수를 달리하여 지상부를 제거하는 것이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상부 제거는 세 종 모두에서 지상부 생산력과 영양염류 흡수량을 증가시켰으며, 최대효과를 위한 시기와 횟수 및 효과의 정도는 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갈대는 1차년도 실험에서 6월 제거구의 연총생산력이 1,014g/m2로서 대조구의 1
        4,000원
        379.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nutri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February 25, 1999,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dietitians living in Kangwon area. Subjects consisted of 250 dietitians, with 184 in school food service, 14 in hospital food service and 52 in institution food servic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ies, means, t-test, 2-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PC Packag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was 10.15 out of possible 15 points, and dietary attitude score was 67.93 out of 100 points.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score and dietary attitude score was lowly(γ=-0.25). Nutrients consumed below the Korean RDA were energy (78.77%), Ca(90.5%), Fe(83.70%) and nutrients consumed above the Korean RDA were protein(110.83%), P(140.21%), vit.A(163.94%), vit.B2(126.37%), niacin(121.12%) and vit C(231.86%).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ratio on energy composition was 63%:17%:20%. The nutrient density among 3 groups of dietitia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500원
        38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거의 모든 호수는 인공호이며 그 상당수가 부 영양 상태이고 영양염류가 주로 유역의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고 있어 기계적 오염원 관리가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는 수생관속식물을 이용한 영양물질 제거를 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팔당호 자연습지의 수생관속식물에 의한 질소와 인의 연간 총흡수량은 연간 외부 총유 입부하량의 1% 내외에 불과하나, 강우가 적은 4~6월의 시기 중 생육지에서 인의 유입대비 흡수비는 약 27%에 달하며, 탈질이나 인의 용출억제 효과를 고려할 때 수질에 미치는 수생관속식물의 역할은 매우 크다. 팔당호에서 재배된 부레옥잠의 생체량 기준 비증식속도는 0.034 ~0.086 /d, 배가시간은 8~19일, 증식의 온도계수는 1.06, 질소흡수율은 0.56~1.67 gNm-2d-1, 인흡수율은 0.10~0.33 gPm-2d-1였으며 대규모 재배지에서의 수질은 현저히 개선되었다. 부레옥잠의 지하부 건물량(U)에 대한 지상부 건물량(A)의 비(U/A)는 수중의 영양물질 농도와 함께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시 식물체의 인 함량과 수중의 인농도는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면 질소는 유의성이 없었는데, 이는 하수의 질소/인 농도비가 높아 질소가 식물성장의 제한요인이 되지 못함을 시사한다. 하수원수에 대한 체류시간 2.2일의 인공늪지 처리시 BOD5 제거효율은 61~68%로 식물종류별로 차이가 적었으나 인제거효율은 부레옥잠조 63%, 기타 정수식물 (애기부들, 미나리, 꽃창포) 처리조는 35% 이하였다. 하수원수와 2차하수처리수에 대한 부레옥잠 인공늪지시스템의 인제거율은 각각 0.22, 0.16 gPm-2d-1이었으며, 기타 정수식물 처리조는 각각 0.06~0.12 gPm-2d-1, 0.03~ 0.06 gPm-2d-1의 범위였다. 유출수의 질소/인 비는 수로 시스템에 비해 늪지시스템에서 낮았는데 늪지 저토에서의 탈질과 인 용출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2차 하수처리 수에 대한 질소 제거율(R)과 식물체흡수율(U)의 백분비 (U/R)는 부레옥잠조 31~58%, 미나리조 5~11%, 기타 처리조는 5% 이하였으며, 인에 대한 U/R비는 부레옥잠조 47~54%, 미나리조 11~45%, 기타 처리조는 10% 이하였다. 부수식물 시스템에서는 흡수제거가 크나 정수식 물 시스템에서는 침전과 흡착 및 탈질이 주요 제거기작임을 알 수 있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