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릉긴나무좀은 참나무시들음병을 일으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매개충 이다. 광릉긴나무좀의 생활사는 봄에 수세가 쇠약한 참나무류(주로, 신갈나무) 를 성충 수컷이 집단 공격하여, 수목에 침입공를 형성한 후, 교미하여, 갱도를 형성하고 그 속에서 번식하며, 이듬해 봄 갱도 내에서 우화한 새로운 성충들 이 새로운 기주를 찾아 다시 집단 공격을 가한다. 참나무시들음병의 방제 방 법으로는, 광릉긴나무좀의 공격을 받은 감염목 및 고사목을 벌채하여 훈증 방 법으로 광릉긴나무좀의 증가(밀도)를 억제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의 확산을 억제 하고 있다. 광릉긴나무좀에 의한 참나무시들음병의 친환경적 방제방법을 개발 하고자, 본 발표자들은 광릉긴나무좀의 유인제(기주의 유인 물질, 페로몬 등) 를 탐색해 왔다. 그 결과, 광릉긴나무좀 암수 성충이 생성하는 물질의 비교 및 광릉긴나무좀 미교미 수컷이 배출한 프라스(톱밥+광릉긴나무좀 분비물)의 추출물과 교미 후 암수 성충이 배출한 프라스의 추출물의 비교를 통하여, 페 로몬 후보물질을 선정하였고, 이 물질들이 전기생리활성실험(EAG)에서 활성 을 가지고 있으며, 야외유인실험을 통하여 암수 성충을 유인하는 결과로부터 집합페로몬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본 발표에서는 광릉긴나무좀의 수 컷이 생산 분비하는 집합페로몬의 동정 과정 및 구조, 전기생리활성, 야외유 인 검정실험 결과와 페로몬의 천연물농약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하여 보고하고 자 한다.
        2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a vector of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faelea sp. in Korea. The degree of damage by oak wilt disease was dependent on the density of the beetles in the oak trunk,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amage by oak wilt disease and the density of beetle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entry hole was studied. Entry hole distribution within tree trunk was analyzed by the nearest neighbor method. Thirty four oak trees (Quercus mongolica) located in survey area were selected and then degree of damage, the number of attack hole/623 ㎠ in upper (50 ㎝ from the surface) and lower (surface) trunk and the nearest neighbor distance between the holes were measured. The number of hole and the nearest neighbor distance in upper and lower pa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s the degree of damage was severer, the number of the holes increased, whereas the nearest neighbor distance decreas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hole was changed from clumped one to uniform as the severity of damage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latypus koryoensis attacked the oak tree in concentrative manner at initial stage of attack but at final stage, it distributed uniformly to reduce intra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he beetles.
        4,000원
        2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4년 8월경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일원에서 처음으로 피해가 확인된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 확산억제를 위한 방제방법으로 고사목 벌채훈증법을 적용하여 왔으나, 험난한 산악지역에서 방제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사목을 벌채하지 않고 입목상태에서 매개충의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훈증제 입목천공주입법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사목의 경우 4~5m이상 높은 부위까지 매개충의 칩입공이 분포하지만 주로 2m이하에서 약 90%정도의 침입공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천공이 가능한 1.5m높이까지 지름 10㎜, 길이 10㎝인 목공용 드릴날과 동력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1m까지는 10×10㎝간격으로, 1~1.5m높이까지는 20×20㎝ 간격으로 천공하고 천공당 3㎖의 메탐소디움 훈증제를 주입한 후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10×10㎝간격으로 천공하였을 경우 100%의 살충율을 보였으며, 20×20㎝간격으로 천공하였을 경우 60~80%의 저조한 살충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입목천공훈증법은 지형이 험난하여 벌채훈증법을 적용하기 힘든 고사목에 대한 처리방법의 하나로 적용가능한 방법이라 판단되었다.
        2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currence of the oak wilt disease (Raffaelea sp.) was confirmed in 2004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using pictorial key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a vector for this disease in Korea, was compared to Platypus quercivorus (Murayama), a vector of oak wilt in Japan. Additio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of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in the northeastern Asia.
        4,000원
        2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색긴꼬리좀벌은 밤나무혹벌의 유충을 공격하는 외부기생성 천적으로 판명되었다. 남색긴꼬리좀벌의 수명은 꿀 원액을 공급한 경우 에서의 암컷성충 일이었으며 아무것도 공급하지 않은 경우 일이었다. 산란수는 에서 개체, 에서 개체이었으며 산란초기에 다수 산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은 장타원형으로 백색이며, 길이는 이었고, 충방(gall chamber)당 1개의 알을 산란하나 중복하여 산란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유충은 백색이며 길이는 이었고, 암컷 용의 길이는 , 숫컷 용의 길이는 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컸다. 강원도 춘천지역에서는 년 2세대 발생했으며, 월동세대 성충발생기간은 5월 하순-6월 상순이었고 제1세대 성충발생기간은 6월 하순-7월 상순이었다. 경상남도 하동지역에서는 년 3세대 발생했으며, 월동세대 성충발생기간은 5월 중순-6월 상순, 제 1세대는 6월 하순-7월 상순, 제 2세대는 7월 하순-8월 상순이었다
        4,000원
        2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 3월부터 11월까지 부산항으로 수입된 목재류에서 검출된 나무좀과(Scolytidae), 긴나무좀과(Platypodidae), 개나무좀과(Bostrichldae), 가루나무좀과(Lyctidae)의 종류 및 검출된 기주와 수입국을 조사하여 국내 유입의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파악하는 한편, 이들 해충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항의 수입재에서 검출된 나무좀과, 긴나무좀과, 개나무좀과, 가루나무좀과는 총 23속 52종이었으며, 검출된 수입재는 15개 국에서 수입한 13과 19종의 원목, 제재목, 기타 등이었다. 나무좀과에서는 3아과 16속 35종이 검출되었다. Xyleborus속에서 12종, Ips속에서 6종, Trpodendron속에서 3종, Arixyleborus속에서 2종, 그 외 Alniphagus속 등에서 12속에서 각각 1종씩 검출되었다. 검출된 수종은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11개국에서 수입한 13속 16종이었으며, 남양재인 말레이시아산 나왕류에서 2속 13종의 가장 많은 종이 검출되었다. 긴나무좀과는 Platypus cupulatus, P. curtus 등 1아과 1속9종이 채집되었다. 검출된 수종은 호주, 파푸아 뉴기니아 등 6개국에서 수입한 4속6종이었고, 말레이시아산 나왕류에서 6종이 검출되었다. 개나무좀과는 2아과4속5종이 검출되었다. Herernbostrychus aequalis, Dinoderus bifoveoratus 등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수종은 말레이시아, 엘살바도르등 4개국에서 수입한 4속 6종이었으며 말레이시아산 나왕류에서 4종이 검출되었다. 가루나무좀과는 Trogoxylon sp., Minthea rugicoliis, Minthea sp. 등 2속 3종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수종은 필리핀 등을 비롯한 3개 국에서 수입한 2속 3종이었다.an으로 강한 대조도를 갖는 128x128의 고해상도 EPI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 제안한 Half Fourier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영상보다 해상도를 높인 EPI영상을 single scan으로 얻을수 있었으며, 에코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조도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은 특별한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펄스 시퀀스와 tuning 및 재구성 알고리즘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만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많은 임상 응용이 기대된다.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4,300원
        30.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나무좀의 분포상 조사과정에서 4신종을 발견하였기에 다음과 같이 명명, 기술 보고한다. Polygraphus nobuchii sp. n. (구상나무좀), Scolytogenes puerarae sp. n. (칡나무좀), Dryocoetes carpinivorus sp. n. (한라산서어나무좀), Hypothenemus seoulensis sp. n. (가슴네뿔나무좀)
        3,000원
        31.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1종의 긴나무좀과 52종의 나무좀이 채집되었다. 그중 Hylurgops Palliatus와 Xyleborus amputatus 2종은 미기록종이었다. 한편 기록뿐인 나무좀들로 몇몇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도 조사기간동안 채집되었으며 미기록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4,000원
        32.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무좀인 Orthotomicus angulatus에서 천적기생선충인 Parasitylenchus orthotomici가 신종으로 기술되었으며, 적송에서 채집된 170마리의 표본에서 51.8%가 선충에 기생되어 있었다. 한 마리의 나무좀에서 발견된 선충수는 1~97마리였다. TEXF1/TEX세대의 기생율도 43.2%~52%로 높았으며 양지쪽과 음지쪽의 서식나무간좀에는 기생율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000원
        33.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인제에 유인된 20종의 나무좀과 2종의 미동정 나무좀을 목록화 하였으며, 유인된 나무좀 종 Trypodendron signnatum 과 Xyleborus defensus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로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3,000원
        34.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나무좀과와 나무좀과의 동정에 도우믈 주고자 체계적으로 아과, 족, 속에 대한 검색표를 마련하였으며 미 기록 속인 Scolytogenes 가 추가 되었고 전체적인 형태, 촉각등도 도시하였다.
        4,000원
        35.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에서 갱도를 이용한 나무좀 분류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산 주요 나무좀 19속에 대한 갱도의 검색표를 마련하였으며 한국산 기주식물에 형성된 갱도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4,000원
        36.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기록종(*) 12종을 포함 95종의 한국산 긴나무좀과와 나무좀과 해충 및 그 기주식물 62종 14아종을 기록하였다. 이들중 새로 추가된 기주식물(#)은 10종이다.
        4,000원
        37.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species, Hypothenemus californicus, Coccotrypes carpophagus, Othotomicus angulatus, Tomicus brevipilosus and Xyleborus seriatus were recognized firstly from Korea. Two species of them, H. californicus and C. carpophagus were preserved at Life Science Museum of Brigham Young university in U.S.A. X. seriatus intercepted at Kobe in Japan from imported yew log which had shipped at Nampo in North Korea was sent by Dr. F. G. Browne in England. Thirteen recorded species we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4,000원
        38.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수 및 원예식물을 가해하는 나무좀류를 확인하기 위해 1980-82년간 기주식물별로 분포상태를 조사하였으며 동정된 6종, 미동정 1종을 정리하였고 이들중 Cryphalus malus Nijima, Hypothenemus eruditus Westwood와 Xylesandrus borealis Nobuchi 등 3종은 우리나라 미기록종이었다.
        3,000원
        39.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welve species of Scolytidae and six species of Platypodidae were recognized from imported logs at Incheon, Gunsan and Busan ports. One species, Hypothenemus hampei (Ferrari) of Scolytidae was identified from coffee bean. These species were not reported before from imported logs and seeds. Scolytidae Platypodidae Scolytus frontalis Blandford Crossotarsus nitens Chapuis Hylurgopsl gabratus Zetterstedt P. lepidus Chapuis Gnathotricus sulcatus (Leconte) Diapus quinquespinatus Chapuis Hypothenemus hampei (Ferrari) Genyocerus abdominalis Schedi Ips concinuus (Mannerheim) G. compactus Schedl Poecilips subcribrosus (Blandford) G. sexporus (Schedl) xyleborus agnatus Eggers X. cognatus Blandford X. emarginatus Eichnoff X. mascarensis Eichhoff X. pseudomajor Schedl X. pseudopilifer Schedl.
        4,000원
        40.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hors identified following seven species of six genera of Dinoderinae and Bostrichinae of Bostrichidae intercepted from imported logs. Keys and descriptions are given for the seven species. The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is outlined Dinoderinae: Rizopertha dominica (Fabricius) Dinoderus minutus (Fabricius) Bostrichinae: Sinoxylon anale Lesne S. japonicum Lesne Heterobostrychus hamatipennis (Lesne) Xylothrips flavipes (Illiger) Xylopsocus castanopterus (Fairmair).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