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아닌 베리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와 천연보존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종 류의 베리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항균 작용 및 균 생육억제 효과를 비교․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체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가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각 농도별로 측정한 베리 착즙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에 따라 높아졌다. 특히, 아로니아, 크랜베리 및 라즈베리의 소거능이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 인되었다. FRAP 활성은 6가지 베리 열매 중 아로니아의 활성 이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100% 아로니아 착즙액의 FRAP 활성은 25% 포도 착즙액의 5배 이상이었다. 베리 열매 착즙액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크랜베리와 라 즈베리가 대부분의 식중독 균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베리 열매 착즙액이 그람양성균보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크랜베리와 라즈베리의 농도별 항균활성은 원액과 75%의 농도에서만 각 각 7가지, 6가지 식중독 균에 대해 생육저해를 보였고, 50%, 25%의 농도에서는 식중독 균 중 일부만 생육저해를 나타내 었으며, 10% 이하의 농도에서는 모든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니아, 크랜베 리 및 라즈베리는 다른 베리에 비해 높은 항산화 및 항균활성 을 보임으로써 천연보존료 및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 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n berries and their cooking methods that appear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Due to recent reports on berrie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the public’s growing interest in healthy living, berries have been attracted attention as promising forms of sustenance. By structuring and classifying the types of berries and their popularity as well as recipes using berries found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review hopes to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that reflects both the food culture and social aspects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berries in the lives of Korean people as well as foster understanding of the superiority of Korean food culture. This study will also have implications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antioxidant-rich berries into the modern food landscap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ypes of berr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Korean cherry, Omija, Gugija, Bokbunja, Black cherry, Mulberry) while cook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Korean traditional snack, Korean traditional beverage, Liquors, Porridge, Pilule) i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of Korea. The aim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highlight the valuecreating aspect of berries as food materials that can yield high added-value products. Beyond their value as healthy fruit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eatures of berries that enhance their added value and brand marketing as well as their aspect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modern industry of berry product development.
        5,200원
        2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 extracts from three different solvents (water, methanol, and ethanol).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metal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The extraction yield from water, methanol, and ethanol was 17.10, 9.50, and 37.51%,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10.54 mg/100 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1.88 mg/100 g) was observed in water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both water extract (72.03%) and methanol extract (74.79%) at levels of 5 mg/mL,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BHT (78.90%). Water extract yielded the highest metal chelating effect (92.54%) and reducing power (1.09) at levels of 5 mg/mL.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tracts of acai berry can be used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with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4,000원
        2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는 가루이류와 총채벌레에 방제를 위해 곰팡이(뷰베리아바시아나)를 원료로한 미생물살충제가 등록이 되어 있으나 현재 효과적인 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곰팡이성 미생물살충제의 사용이 미미한 상태이다. 뷰베리아바시아나는 인축에 해가 없고 목표해충만 방제하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고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학농약 또는 친환경농자재와 함께 활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시험에서는 효과적으로 곰팡이성 미생물살충제를 여러 농자재와 함께 사용할 때 필요한 기술을 연구하였다. 뷰베리아바시아나를 순수분리하여 농자재(화학농약, 친환경농자재)를 처리한 뒤 고체배지에 배양하면서 균사의 생장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화학살균제의 경우 성분별로 뷰베리아바시아나에 영향이 크게 다르게 나타났는데 만디프로파미드 수화제등 일부는 균사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대부분의 살충제는 균사 생장에 거의 영향이 없었고 피리다벤 수화제의 경우 약간의 억제효과가 발견되었다. 친환경자재에서는 유황이 곰팡이 생육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뷰베리아바시아나를 농자재와 혼용하여 온실가루이에대한 살충력을 검사해 본 결과 살충제를 혼용했을 때 감염률에는 크게 영향 없이 살충효과는 증가했으며 유황과 만디프로파미드와의 혼용에서 가장 낮은 살충력과 감염률을 보여주었다. 온실에서 토마토에 미생물살충제와 살충제를 교호처리한 결과 살충제의 살포횟수가 많아질수록 온실가루이에 대한 방제효과가 높아졌다.
        2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 토마토 시설재배에서 온실가루이가 대량 발생하지만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이 부족한 상황이다. 온실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곰팡이(뷰베리아바시아나)를 원료로한 미생물 살충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효과적인 활용 기술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미생물 살충제의 현장 활용이 미미한 상태이다. 미생물 살충제로 사용되는 뷰베리아바시아나의 생육과 곤충에 대한 감염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는다. 상용화된 두 가지의 미생물제에서 원균주를 순수분리하여 PDA 배지에 15℃, 20℃, 25℃, 30℃, 35℃에서 배양하여 균사의 생장을 확인한 결과 25℃까지 생육속도가 증가했으나 이후 30℃부터 감소하여 35℃에서는 거의 성장을 하지 못했다. 온실가루이에 대한 미생물제(뷰베리아바시아나) 의 효과를 습도조건을 달리하여 검사한 결과 포화습도에서 100% 65.5%의 감염살충률을 보여주었던 두 제제가 60%의 상대습도에서는 10%미만의 감염 살충률을 보여주었다. 온도와 습도가 다른 온실가루이가 발생한 토마토 두 하우스에서 곰팡이성 미생물제의 효과를 비교하였을때 높은 습도와 30도 미만의 최고온도를 보인 온실에서는 미생물제가 온실가루이에 대해 81.4%의 감염률을 보였으나 낮은 습도와 높은 최고온도를 보인 온실에서는 감염된 온실가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26.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유망 소과류 및 베리류로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 과종 및 품종들을 대상으로 각 과실들 간의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함량, 각 구성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및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같은 과종에서도 품종에 따라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총 안토시 아닌은 블랙 쵸크베리가 가장 많았으며(927.9~1,149.1 ㎎・100 g-1, F.W.), 총 폴리페놀 함량도 블랙 쵸크베리(502.2~530.5 ㎎・100 g-1, F.W.)에서 가장 많았다. DPPH 항산화활성에서도 블랙 쵸크베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토시아닌, 페놀 함 량과 항산화활성과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요 폴리페놀 구성 성분을 조사한 결과 모든 과종에서 quercetin, catechin, epicatechi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블루베리와 블랙 커런트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delphinidin-3-glucoside로 사스카툰 베리와 블랙 쵸크베리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cyanidin-3- galactoside였다.
        27.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nti-osteoclastogenic effects of extracts from CK berry’s and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vitro. Methods and Results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signal mediators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M extracts inhibited ROS production in RAW264.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exhibited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xtracts also attenuated the number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positive multinucleated osteoclasts. To attain molecular insights, the effect of the extracts on the signaling pathways induced by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ligand (RANKL) were also investigated. RANKL triggers many transcription factors through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ROS, leading to the induction of osteoclast-specific genes. The extracts significantly suppressed RANKL-induced activation of MAPKs, such a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N-terminal kinase (JNK), and p38, and consequently led to the downregulation of c-Fos and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1 (NFATc1) protein expression which ultimately suppress the activation of the osteoclast-specific genes, cathepsin K, TRAP, calcitonin receptor, and integrin β3. Conclusion :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M extracts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downregulating ROS generation and inactivating JNK/ERK/p38, nuclear factor kappa B (NF-κB)-mediated c-Fos and NFATc1 signaling pathway.
        28.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asic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Nero’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depending on the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altitudes in 2014, 2015. Tree growth and change of developmental stages of ‘Nero’ were similar regardless of meteorological environment of the four cultivation regions (Danyang, Okcheon, Yeongdong, and Geumsan) in 2014. Fruit characteristics of ‘Nero’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rry weight and anthocyanin content among the four orchards due to difference in cultivation techniques and relatively wide daily temperature range just before harvest, respectively. Tree growth and change of developmental stages of ‘Nero’ grown at the two orchards with different altitudes appeared to be similar during the successive years 2014 and 2015. Soluble solids content of the berries cultivated at low altitude (117 m) was higher than at high altitude (342 m). Acidity showed an inverse pattern with soluble solids content.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at the middle of August, 2014-15 and then it decreased. Our results showed that black chokeberry is a species adaptive to the domestic environment a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ree growth and change of developmental stages of ‘Nero’. Considering fruit quality of black chokeberry such as soluble solids content, acidity, and anthocyanin content, our results suggest that optimal harvest period of black chokeberry ‘Nero’ is August 8 to 19.
        2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on frui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5-year-old ‘Nero’ black chokeberry trees (Aronia melanocarpa). Three kinds of drought stresses, including low water deficit, severe water deficit, and very severe water deficit, due to decline of soil water decreased the fruit quality of weight of 10 berries, soluble solid content, and anthocyanin,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sistent water supply) during the harvest period. After longer drought stress, supply of soil water could induce berry cracking because cell size of epidermis of fruits contracted, whereas cell size of sub-epidermis and flesh expanded. Thus periodic water supply using water supply facility is needed for yield and quality of ‘Nero’ black chokeberry fruits.
        3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ity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The black chokeberry was known to contain many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such as ascorbic acid, anthocyanin, quercetin. We extracted black chokeberry powder from four solvents such as chloroform:methanol(CM, 2:1, v/v),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70% methanol. After that, we determined anthocyani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black chokeberry extracts and as results of comparing each extract.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ity of black chokeberry extracts was the highest in 70% methanol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black chokeberry can be used as nutraceutical foods and natural antioxidant.
        31.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엘리엇과 애쉬베리의 시와 시론들을 통해 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이후의 시학의 차이를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런 차이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체계'를 향한 모더니즘의 요구가 위에서 또는 멀리서 바라보는 시선의 위계적 구도 속에서 진행되고 있음에 우선 주목하였다. 어떤 고전적인 서사도 가능하지 않는 프루프록의 진퇴양난 속에서 이런 위계적 시선의 구도가 결국 무너질 수 밖에 없음이 발견되었다. 애쉬베리의 시는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가?”라고 묻는 프루프록의 물음에 대한 하나의 대답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애쉬베리는 “공허” 앞으로 여러 감정들이 마술경처럼 지나가는 묘사를 통해 "부재의 기호“를 중심으로 기호들이 떠도는 탈구조주의적 풍경을 우선 그려내고 있다. 위에서 바라보거나 의미를 읽어내려 하지말고 “인생의 긴 시간 사람들과 같이 살아온” 것처럼 느끼며 시작하라고 애쉬베리는 말한다. 애쉬베리의 시를 통해 우리는 감정들이 계속 이어져가고 “밀려오고 밀려가는 움직임” 속에서 하루하루가 완성되는 새로운 숭고의 순간을 발견할 수 있었다.
        32.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dible berries are rich in anthocyanins and phenolic acids, compounds that posses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other b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ive berries including acaiberry(Euterpe oleracea Mart.), Aronia/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black cur-rant (Ribes nigrum L.), and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were assessed. The Aronia G (prepared by GreenField s.c.)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s shown in total phenolic (138.81㎎ CAE/g), flavonoid (3.68㎎ QE/g), andanthocyanin (20.31㎎/g)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berries. It also showed the strongest scavenging activities such asDPPH (69.69㎎ vitamin C/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57.79µmol trolox/g). Aronia G exhibited strong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553.98µmol vitamin C/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820.92µmol trolox/g). Inaddition, black currant and Aronia showed stronger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RAW 264.7cell than the other berri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ronia and other edible berries have notably highlevel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y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33.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인해 아사이베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어 다양한 생리적 효능과 영양학적 특성이 우수한 아사이베리의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능성 효과를 가진 아사이베리 분말을 0%, 2%, 4%, 6%, 8%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살펴보고 최적의 첨가량을 살펴본 결과가 다음과 같다.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수분함량은 아사이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pH는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퍼짐성은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량에 따라 퍼짐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 색도에 있어 명도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아사이베리 분말을 첨가할수록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적색도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황색도의 경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 경도는 아사이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의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관능 평가에 있어 색깔(color), 맛(taste), 향기(flavor), 조직감(textur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항목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 아사이베리 분말 6% 첨가 쿠키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34.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존 애쉬베리의 작품『세 시』는 T. S. 엘리엇의 모더니즘 시『네 사중주』에 대한 포스트모던적인 반향이다. 엘리엇은 “육화”를 “회전하는 세계” 속에서 궁극적인 “정점”으로 동일시함으로써 기독교적인 중심을 갖는다.『세 시』를 면밀히 분석해보면 애쉬베리가『네 사중주』의 특정한 언어와 생각에 공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우리가 시간에 포섭되는 것을 거스르는 엘리엇의 기독교적인 주장을 해체하고자 했다. 엘리엇의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한 유럽중심적인 고착이 자신들만의 문화적 구조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발전시키는 비서구사회의 독자들에게 문제시될만한 영향을 만들어내는 반면에, 애쉬베리의 보다 평등한 중점은 비서구사회의 문화적 구조에서도 보다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애쉬베리의 비정치적인 주체적 병합은, 즉 탈중심화된 주체는 그 자체가 유럽중심주의라는 측면에서 문제시 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비평가들이 논의해온 것처럼, 탈중심화된 정체성은 비서구사회와 소수민족들이 정체성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순간 특권을 갖는다. 애쉬베리의 엘리엇에 대한 비위계적이고 탐구적인 비평은 유럽중심주의에 반하는 좀 더 성공적인 미적 대응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3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베리 열매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아로니아 베리 열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free radical 소거 활성(FSC50)은 각각 16.29 μg/mL 및 12.29μg/mL이었으며, 열매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잎 추출물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Luminol-의존성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아로니아 베리 열매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경우 2.86 μg/mL, 아글리콘 분획은 1.80 μg/mL로, 아글리콘 분획의 총항산화능은 ascorbic acid (1.50 μg/mL)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총항산화능에서도 열매 추출물이 잎 추출물 보다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적혈구의 1O2로 유도된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에서 열매의 아글리콘 분획은 농도의존적(5 ~ 50 μ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매 아글리콘분획의 τ50은 10 μg/mL에서 72.3 min으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α-tocopherol (38.0 min)보다 1.9 배 더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아로니아 베리의 열매 추출물이 잎 추출물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며,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발생되는 1O2를 포함하는 ROS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기능성 항산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39.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 1, ×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L-1가 첨가된 기본 MS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 신초수는 0.5mg·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원예용상토 : 버미큘라이트(1:1:1, vol.)혼합토양에서 순화하였을 경우 9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40.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블랙베리의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생을 위하여, 노지에서 생육되고 있는 맹아를 채취하여 1.2% NaOCl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kinetin과 BA가 각각 포함된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절편당 형성된 신초의 수를 조사하여 BA가 효과적임을 밝혔다. 동일방식으로 맹아를 IBA와 BA를 첨가한 MS 고체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신초를 유도하였는데 1.0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유도는 100% 이루어졌다. 기내배양한 신초의 절편체를 1.0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 치상하여 형성된 신초의 수는 절편체당 5.3개로 최고를 나타내었다. 약 10주 정도 배양을 더 오래하였을 때, 다경 형성율이 더 높아질 뿐 아니라 절편체당 신초 수도 많아졌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 발생을 위하여 glycine의 농도를 달리한 (0~2.0 mg/L) MS 기본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였을 때, 0.5 mg/L glyc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고빈도 (85%)의 뿌리발생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토양 : 버뮤큘라이트 (1:1:1, vol.) 혼합토양에서 순화시켜, 토양에 이식하였을 때 95%의 식물체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