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4

        2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중심부 암점을 가진 환자에게 한글 기반의 중심외보기 훈련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ABA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설계를 위해 중심부 암점을 가진 2명의 환자에게 훈련 전후 기초선 각 3회기, 중심외보기 훈련은 8회기를 시행하였다. 매회기 훈련 종료 후에 단문읽기속도를 측정하였고, 훈련전과 훈련 후에 일기활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와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를 시행하였다. 결과 : 중심외보기 훈련 결과 대상자 모두의 읽기속도가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2표준편차 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훈련 2-3회기에 큰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일상생활활동 능력에서는 훈련 전후 변화가 없었으나, 읽기와 관련된 활동에서는 의미있는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기반의 중심외보기 훈련 프로그램이 중심부 암점을 갖고 있는 환자의 읽기활동 수행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국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4,200원
        2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 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 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 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 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2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김해시 농업 기술센터에서 실시한 학교 텃밭조성 사업에 참여한 김해시 관내 초등학교와 유치원을 대상으로 텃밭교육의 현황 조사표와 인터뷰, 사진촬영, 교육프로그램 자료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학교 텃밭 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지는 학교 텃밭 조성 활성화에 참여한 15개교 중, 초등학교 5개교와 유치원 10개교 이다. 예비조사로 텃밭 관련 자료는 2015년 3월~11월까지 기술지원과를 방문하여 담당자와 인터뷰하여 예비조사 대상지의 현황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조사는 1차 현장조사와 2차 현장조사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1차 현장조사는 2015년 4월~7월, 2차 현장조사는 2016년 4월~7월 실행하였다. 그 내용은 텃밭 조성면적과 작물현황, 편의 및 보조시설, 관리현황, 연간 작업계획, 교육시간,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각 학교별 텃밭 조성면적은 60~693㎡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1인당 사용하는 텃밭면적은 0.3~3.3㎡ 범위에 있었다. 작물현황은 2015년도는 어린이 자연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교는 열매채소 5종류(26%), 잎줄기채소 7종류(37%), 뿌리채소 3종류(16%), 화훼 4종류(21%)를 재배하였다. 2016년도는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텃밭을 운영하여 열매채소 4~7종류(27~47%), 잎줄기채소 0~5종류(0~33%), 뿌리채소 0~3종류(0~20%)를 재배하였다. 편의시설은 안내판, 퍼골러, 관수시설 등이 구비 되어 있었다. 일부학교에서는 텃밭관리를 물주는 방법과 곁순따기, 지주대세우기, 천연 농약 만들기 등은 전문적인 강사가 지도하고 있었다. 학교 텃밭 작업계획에는 밭준비와 파종, 정식, 이식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열매채소와 뿌리채소는 모종을 심고, 잎줄기 채소류는 모종을 심는 방법과 씨앗을 파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텃밭교육시간은 안전교육, 텃밭관리내용, 작물 성장관찰, 풀 뽑기, 물주기, 느낌 나누기 등에 관한 교육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90분 정도 필요했다. 학교 텃밭의 작물선택은 교과목과 연계하여 학생들과 함께 선정하면 관심과 흥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텃밭활동과 텃밭 관리를 교과내용과 연계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다. 텃밭에서 작물이 자라는 과정을 통한 텃밭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정서적, 심미적, 힐링적 효과 등 감성을 자극하는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오감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 마다 유휴 공간을 텃밭으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 해본다.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도입 반영 되어 학교라는 장소에서 텃밭이라는 자연에서 미래의 꿈을 키울 수 있는 장 을 만들 수 있도록해야 한다.
        2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 과와 원 직무복귀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산재근로자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1일 1회 3시간 이상 주 5회, 총 4~8 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측정하였다. 산재요양기간 종료 후 2개월 뒤 추적관찰을 통해 원 직무복귀 그룹과 원 직무복귀 실패 그룹을 나누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산재 요양기간 종결 2개월 뒤 원 직무복귀 여부에 따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했을 때 자기효능감의 변화량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 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원 직무복귀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4,500원
        25.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지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생중계 방송시청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봤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소치 동계 올림픽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했던 방송사들 중 별도의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추진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과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을 비교·분석했다.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공중관계성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공중관계성 형성을 위한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이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자들은 한국 경기에 대한 시청자 응원 확대와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트위터 버즈량(트위터 등 SNS를 통해 확산된 특정 메시지 전달 빈도의 통계적 산술값)의 변화와 이 버즈량의 변화가 시청률 경쟁 상황에서 형성한 공중관계성의 의미·가치 등에 대해 논의했다.
        7,700원
        2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과 후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적 미술활동을 적용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하였다.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지 역아동센터에서 주1회씩 10회기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산만하고 불안했던 아동들의 자아상이 또래와의 관계와 배려심이 점점 향상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아동들의 변화는 치료도우미견과 함께 하는 활동. 놀이를 통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통합적 미술활동을 적용한 긍정적인 감정표현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적 미술활동을 적용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의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긍정적인 감정표현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 능력의 향상으로 아동들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200원
        2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35 children of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from 3th to 6th grades and their 11 teachers were surveyed, and 75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rwent a cooking activity program.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other Korean childr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nted to be involved in cooking activity programs after school more than other Korean children. These children also showed a higher rate of wanting to cook Korean foods compared to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cooking activities, ‘I think I’m glad to be served delicious food’ response was the most comm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school life change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be less picky of foods in general as well as kimchi and vegetables. In conclusion, cooking activity program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showed beneficial effects on die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4,200원
        28.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activity on social aspects among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Four participants including 2 males and 2 females were assigned to the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treatment group with therapy dog. A weekly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was arranged for patients in the treatment group for 10 weeks. The analysis assessing social skills was completed the week before and the week after the animal-assisted activity. The treat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on the social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imal-assisted activity can promote improvements in many clinical aspects among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refore, animal-assisted activity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treatment of institutionaliz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4,000원
        30.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이용정도와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둘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참여 프로그램유형과 주요 관심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셋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만족도와 불만요인을 파악하여 생활권 수련시설의 활용도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생활권 청소년수련관 이용자인 중․고․ 청소년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련시설 이용도, 희망하는 수련시설 프로그램,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1200명의 응답 중 응답이 부실한 29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9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50%가 수련시설을 이용하고, 학교CA연계프로그램이나 수련활동프로그램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학교를 통한 이용이 많고, 이용의 용이성이나 시설의 편리성 등을 중요한 이용 이유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많이 하는 신체활동이나 희망하는 수련활동으로는 수영을 가장 많이 꼽았고, 절반 이상이 수련시설의 동아리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시설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이 갖는 일상적인 필요성과 교육수준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반면,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이나 시설 및 이용도구의 부족, 지도자의 전문성 부족에 대해 가장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상의 결과들은 항목에 따라 응답자의 성별, 지역별, 학교급별, 청소년단체 가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들이 있었다.
        6,600원
        31.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교생활부적응청소년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중재방안의 하나로 레크리에이션활 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레크리에이션활동 프로그램이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4회 동안 G광역시 소 재 불교방송이 주관한 학교생활부적응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 션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과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레크리에이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를 수락한 자, 끝 까지 성실하게 레크리에이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110명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활동 프로 그램 실시 전, 후 설문조사를 하여(회수율100%). 불성실한 응답을 한 3명을 제외하고 총 107명 (97.3%)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레크리에이션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ㆍ후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paired t-test, ANOVA를 활용 하였다. 연구도구는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Coopersmith(1967)이 개발하고 박선애(1993)가 번역한 것을 중심으로 유네스코 청년원에서 발행한 전성민(1994)의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Invnmtory: SEI)지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에 대하여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4점 Likert척도(‘전혀 아니다’,‘조금 아니다’,‘보통이다’,‘정말 그렇다’)로 평정하게 되어있다. 부정적인 문항은 역 환산점수로 환산하였으며 가능한 점수 범위는 최저 25점에서 최대 100점으 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Crobach's α값 은 .91이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레크리에이션활동프로그램 실시 전 자아존중감 평균점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경우 65.74±123.90점, 65.35±13.31점으로 유의하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존감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0.629 p= .00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은 65.75±16.71점, 66.94± 12.66점, 63.20±11.19점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고등학생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F=.849 p= .431). 레크리에이션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존중감 평균점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경우 73.80 ± 10.86점, 73.14±11.08점으로 유의하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67.897 p= .00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은 73.30±13.07점, 74.36±11.08점, 72.12± 9.43점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고등학생이 조금 낮게 나타났고(F= .433 p= .650), 실험 전과 후의 점수분포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크리에이션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평균점수는 전 65.53±13.06점에서 후 73.45±10.93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26.92, p= .000). 따라서 향 후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중재 방법으로 다양한 레크리 에이션활동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500원
        33.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 학교는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하여 학교폭력이라는 몸살을 앓고 있다.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부족은 자기표현력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과를 선택하여 자기표현력 신장을 위해 학생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소통과 공감의 시각문화미술교육(VCAE)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양한 덕목과 가치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5,200원
        3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pression program geared toward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 creativity of students. After creativity-related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anal
        6,400원
        35.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 기술의 발달은 우리에게 생활의 편리함과 물질적 풍요로움을 안겨주었으나 자연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위기를 동시에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이 제시되었지만, 환경문제는 빠른 시일 내에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 다음 세대를 길러 내는 교육적 접근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미래의 주인인 아이들 스스로 에너지 절약과 자연보호에 솔선수범하여 융합적 에코키즈(Eco-Kids) 마인드를 갖게 함으로써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책임감을 갖고 환경 보전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5,500원
        3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다수 학생들은 부모가 짜준 생활 계획에 의존하여 학교 공부가 끝나면 여러 학원으로 다니고 있다. 이는 늘 허둥대고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생활 습관으로 이어져 자기주도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재량활동 목적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 신장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학생, 학부모의 요구 수준과 학교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적인 재량활동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초등학교 때 부터 학생들이 자기관리 능력을 신장시킨다면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량활동 시간에 체계적인 자기관리 교육을 꾸준히 지도한다면 학생들의 자기관리 능력은 신장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영역별, 차시별 5종류의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다양한 학교, 학급행사활동에 학생들을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생활을 실천하는 자기관리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5,100원
        38.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예비 해기사 교육의 일환으로 심화교육의 일환으로 IMO 활동, 국제적인 주요협약 및 규정의 종류, 체계 및 전반적인 내용이해를 교육하기 위한 산학간 해기사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전체적 교육의 구성, 교육결과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한다. 교육의 결과로서 미래 해기사의 IMO 활동에 대한 관심을 드높이고,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을 통한 국가 의제개발의 씨앗을 창출해내 는 역할이 기대되고, 해기사의 자긍심을 고양시키는 부수적인 잇점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3,000원
        3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코트라스가 인지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능력회복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인지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70명으로 그 중 40명은 코트라스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훈련을 18회 훈련을 받았고, 30명은 인지 훈련을 받지 않았다. 처치 전후 인지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인지평가도구는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이고, 일상생활 활동 능력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을 사용하였다. 결과 : 코트라스 집단이 세 가지 인지평가도구에서 처치 전보다 처치 후 평균점수가 높았다(p<.01). 그리고 집단 간비교에서는 코트라스 집단이 무처치 집단보다 MVPT와 LOTCA에서 평균점수가 높았다(p<.05). LOTCA에서는 집단 간과 집단 내 상호작용이 존재하였으므로 코트라스 집단이 무처치 집단보다 평균점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상생활활동은 코트라스 처치 전보다 처치 후 FIM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p<.01) 결론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코트라스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와 지각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특별한 인지요소들과 다양한 환자를 대상으로 코트라스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4,600원
        40.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을 노인성 치매 환자에게 적용 시 집중력, 기억력 변화정도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중 전화걸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MMSE-K 점수 18점 이상 24점 이하인 8명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 2회, 각 회기당 20분씩 총 8회를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를 통하여 K-DRS, CNT, 비디오 분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신뢰도 분석방법을 통하여 비디오 분석에 대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윌콕슨 쌍대비교(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통해 K-DR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17). 또한 CNT 중 visual span의 경우 정방향 맞은 개수(p=.38)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디오 분석을 위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 본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전화걸기의 치료 전-후의 변화에서 전화 걸기 수행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 훈련은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 중 전화걸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인지치료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감퇴의 진행 완화나 치료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