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2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시아틱 나리 ‘Orange Sunup’은 2012년 농촌진흥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된 절화용 품종이다. 2001년절화용 나리를 육성하기 위하여 오렌지색의 국내육성 품종인 ‘Mirr’와 도입품종 ‘Prato’를 주두수분법에 의해 교배를 실시하였다. ‘Mirr’는 ‘Hyehwa’ 품종의 짧은 초장을 보완하기 위해 육성된 품종으로 초장이 길고 꽃수가많으나 꽃의 크기가 작고 꽃잎이 뒤로 젖혀져 있다. 부본으로 선정한 아시아틱 나리 ‘Prato’는 외국 도입 품종으로 국내 재배 시 개화기가 늦고 초장이 짧은 편이나꽃이 큰 편이고 초세가 강건한 품종이다. 인공교배 후 22개의 종자를 획득하여 파종하였으며 2004년에 화색이 선명하고 개화시가 빠른 ‘A04-10’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은 인편번식과 자구를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후 특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2012년 이 계통을 ‘WongyoC1-116’으로 명명하고 3차 생육 특성 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초장 신장성이 우수하고 개화시기가 빠르며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오랜지색(RHS, O30A)의 절화용 아시아틱 나리 ‘OrangeSunup’를 육성하였다. 개화기는 6월 11일이었으며 평균 초장은 109.3cm였다. 화폭과 화피장과 화피폭은 15.8 cm,10.5cm, 4.6cm였다. 구근 특성은 개화구의 분구수는 1.0개였으며 구주는 16.0cm이다.
        4,000원
        2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 기술에 대한 오렌지 수입국의 검역 기준을 정립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오렌지에 0.4, 0.6, 0.8, 1, 1.5, kGy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20℃에서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비조사구에서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조사구에서는 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미생물 감소 효과를 보였다. Vitamin C 함량은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평가는 색깔을 제외한 신맛, 단맛, 질감, 향,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향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감마선 조사는 미생물학적 안정성에는 효과가 있지만, 1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오렌지의 품질 및 관능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 선량은 0.4~0.6 kGy인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24.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렌지의 위생성 및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수입국의 검역 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렌지에 0.4, 0.6, 0.8, 1, 1.5 kGy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3℃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오렌지 1.5 kGy 조사구의 호기성세균, 효모 및 곰팡이는 각각 3.59 log CFU/g, 3.75 log CFU/g에서 1.75 log CFU/g, 2.26 log CFU/g까지 감소하여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H는 비조사구와 조사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산도는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Vitamin C 함량은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평가는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1.5 kGy는 색깔, 신맛, 단맛, 향, 질감,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감마선 조사는 미생물학적 안정성에는 효과적이지만, 1 kGy와 1.5 kGy는 물리적 특성과 관능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 선량은 0.4~0.6 kGy 인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2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ore’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이다. 2003년에 분홍색 홑꽃인 ‘Rosa’와 백색 홑꽃인 ‘Angaesoguk’을 인공교배 하여 2005년 부터 2009년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화색은 오렌지색이며,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 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Fiore’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4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꽃 크기는 2.8cm이며, 가을재배에 있어서 착화수는 33.8개이다. 봄 촉성재배시 개화소요일수가 48일이며, 가 을 자연재배시의 절화수명은 23.2일로 긴 편이다. 이 품종은 2011년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3,000원
        2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nge peel (OP) exhibits a sorption capacity towards anionic dyes such as reactive blue 19 (RB19).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as a cationic surfactant was used to modify the surface nature of OP to enhance its adsorption capacity for anionic dyes from an aqueous solution. Four adsorbents were investigated: the OP, sodium hydroxide-treated OP (SOP), CTAB-modified OP and CTAB-modified SOP.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se sorbents were determined using nitrogen adsorption at 77 K an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echniques. The adsorption of the RB19 dye was assessed with these sorbents at different solution pH levels and temperatures. The effect of the contact time was considered to determine the order and rate constants of the adsorption process. The adsorption data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Freundlich, Langmuir, Elovich and Tempkin models. The adsorption of RB19 by the assessed sorbents is of the chemisorption type following pseudo-first-order kinetics. CTAB modification brought ab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RB19 adsorption, which was ascribed to the grafting of the sorbent with a cationic surfactant.
        4,000원
        2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탱자에는 여러 종류의 monoterpenes, limonoids, flavonoids과 coumarins 등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탱자의 구성 성분중에 7-제라닐옥시쿠마린는 7개의 탄소로 구성된 제라닐옥시기의 곁사슬을 가진 물질이다. 그리고 7-제라닐옥시쿠마린은 여러 약리적인 효과들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구성성분인 7-제라닐옥시쿠마린과 이들의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항염증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일산화질소 억제 cytokine을 측정한 결과는 6-제라닐옥시쿠마린의 성분이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6가 1μm농도에서 68.9% 를, 10μM에서 72.6% 의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2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water, TW), 에탄올(ethanol, TE) 및 핵산(n-hexane, TH)을 이용하여 탱자씨 추출물(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을 각각 제조한 후 그람양성 식중독균 6종(Bacillus cereus KCCM 11341, Bacillus subtilis KCTC 1022,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269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9111,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및 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에 대한 항균활성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prebiotic effec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탱자씨 핵산추출물(TH)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해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강한 증식저해활성을 보였으며, 탱자씨 에탄올 추출물(TE)은 약간의 증식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배양 81시간 후 대조군은 90.31%의 증식활성을 보인 것에 반해 탱자씨 핵산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64.95%와 75.50%의 증식활성을 각각 보였다. 탱자씨 추출물의 Lb.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증식활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생육저해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탱자씨의 핵산 및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한 항균활성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2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오렌지엔디’는 오렌지색의 홑꽃 화형인 ‘러빈’을 방임수분하여 선발한 계통으로부터 육 성하였다. 2006년부터 4년간 촉성재배, 자연재배 및 억 제재배 작형에서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는데, ‘오렌지엔 디’는 오렌지색의 홑꽃 화형으로 10월 중순에 자연개 화하는 중생 추국으로 자연재배 작형에서 본당 착화수 는 19.6개, 꽃의 직경은 4.6 cm이었다. 촉성재배 작형에 서의 개화소요일수는 49일이었고, 본당 착화수는 21.1개 였다. 억제재배 작형의 개화소요일수는 50일이었다.
        4,000원
        30.
        2011.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orange phosphors Gd1-xPO4:Eux3+ (x=0, 0.05, 0.10, 0.15, 0.20) were synthesized with changing theconcentration of Eu3+ ions using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The crystal structures, surface morphology, and optical propertiesof the ceramic phosphor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photoluminescence (PL) spectrophotometry. The XRD results were in accordance with JCPDS (32-0386), and the crystalstructures of all the red-orange phosphors were found to be a monoclinic system. The SEM results showed that the size ofgrains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as the concentration of Eu3+ ionincreases. As for the PL properties, all of the ceramicphosphors, irrespective of Eu3+ ion concentration, had orange and red emissions peaks at 594nm and 613nm, respectively. Themaximum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a were observed at 0.10mol of Eu3+ ion concentration, just like the grain size. Anorange color stronger than the red means that 5D0→7F1 (magnetic dipole transition) is dominant over the 5D0→7F2 (electricdipole transition), and Eu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version symmetry. These properties contrasted with those of a redphosphor Y1-xPO4:Eux3+, which has a tetragonal system. Therefore, we confirm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host materialhas a major effect on the resulting color.
        4,000원
        3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M16 A계통 '부지화'를 강세대목인 대목 '스윙글 시트루멜로' 또는 보통대목인 '탱자'에 접목하여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한 잎과 과실 사양의 수분상태 변화 및 과실 성숙기의 과실 가용성 고형물과 산 함량변화를 조사했다. 강세대목인 '스윙글 시트 루멜로'와 보통대목인 '탱자'에 접목한 M16 A계통 '부지화'의 대목에 따라 과실의 품질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윙글 시트루멜로' 대목은 '탱자' 대목보다 과실 가용성 고형물과 산함량이 낮았다. 동트기 직전에 측정된 과실사양의 수분포텐셜 및 팽압은 '스윙글 시트루멜로' 대목이 '탱자' 대목보다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삼투 포텐셜의 값은 '탱자' 대목이 '스윙글 시트루멜로' 대목보다 낮았다. 과실사양과 같은 시간대에 측정된 엽수분포텐셜 값의 변화도 과실 사양의 삼투포텐셜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M16 A계통 '부지화'에 있어 두개의 대목에 따라 잎의 수분 상태와 과실사양의 삼투포텐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과실 가용성 고형물과 산 함량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목에 따른 수분 상태와 과실 품질의 차이는 대목의 뿌리분포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umarin derivatives were shown to possess valuable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anticancer/anti carcinogenic, anti-inflammatory, anti helicobacter, anti genotoxic, neuroprotective and dietary effect. In this study, novel coumarin derivatives structurally related to 7-geranyloxycoumarin were effectively synthesised in good yields by Cs2CO3/acetonitrile in mild condition. The synthesis of geranyloxycoumarin derivatives in weak base(Na2CO3, K2CO3, Cs2CO3 etc)/CH3CN at room temperature obtained in good yield. 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of geranyloxycoumarin formation in strong base(NaOH, KOH, CsOH etc)/CH3CN at reflux condition obtained in low yield.
        4,000원
        33.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V-C와 -B type의 lamp를 이용한 혼합 자외선(UV)조사의 조사시간, 조사온도 및 광 촉매제인 H2O2의분사농도변화를 이용하여 감귤껍질에 부착되어있는 농약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최적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Chloropyrifos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은 조사온도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 조사시간, H2O2 분사농도 순 이었다. Methidathion은 조사시간이 가장 컸으며 조사온도, H2O2 분사농도 순으로 나타났다. EPN은 조사온도와 조사시간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H2O2 분사농도가 가장 작았다. UV감귤껍질의 농약 잔존량이 가장 작게 나타난 처리조건으로 chloropyrifos와 EPN에 대한 최적조건으로는 조사시간 60분, 조사온도 45oC, H2O2 분사농도 1000 ppm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ethidathion의 경우에는 최적조건으로는 조사시간 60분, 조사온도 40oC, H2O2 분사농도 1000 ppm으로 나타났다. 최적공정조건에서 chloropyrifos, methidathion 및 EPN의 잔존 량은 조사 전의 각각 46, 49 및 28% 수준이었다.
        4,000원
        34.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iffusion parameters for the diffusion of d-limonene, a major volatile compound of orange juice, through a multi-layered food packaging material and predicting its absorption into the packaging material have been investigated. The packaging material used was the 1.5-mm thick multi-layered packaging material composed of high impact polystyrene (HIPS),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Orange juice was placed in a cell where volatiles were absorbed in the sample package and kept at 23±2oC for 72 hr. The d-limonene absorbed in a 1.5-mm thick multi-layered food packaging material was analyzed by a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The absorption parameters for the absorption of d-limonene in the packaging material were determined and absorption of d-limonene into the packaging material was predicted using absorption storage data. The SPME desorption at 60oC for 1 hr resulted in the most sensitive and reproducible results. The diffusion coefficients of d-limonene in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partition coefficient at 23±2oC were approximately 1-2×10-12m2/s and 0.03, respectively. The absorption profile no earlier than 30 hr was fit well by a model derived from the Fick’s law.
        4,000원
        39.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mandarin orange jellies containing sugar (control) and sugar derivative sweeteners (erythritol, isomaltooligosaccharide, sorbitol, and xylitol) to be consumed by the elderly. The gelling agents were carrageenan and gellan gum at the concentration of 0.27%, respectivel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for the acceptance test was 78.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the carrageenan ge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ellan gum gel using the same sugars. The L, a, and b values of the carrageenan gel made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spective gel made with sugar. Whereas there were almost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lor values of the gellan gum gels made with sugar and sugar derivative sweeteners, respectively. The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s of the carrageenan gel with erythritol were highest and those of the respective gel with xylitol were lowest among the sugar derivative sweeteners. The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s of the gellan gum gels with erythritol and isomaltooligosaccharide, respectively, were lower, and those of the respective gel made with xylitol were higher compared to that with sugar. There was no break down in the gellan gum gel. The break down rate of the carrageenan gel made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was highest and that of the respective gel with xylitol was lowest among the sugar derivative sweeteners. The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of the gellan gum gel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carrageenan gel. The adhesiveness levels of the carrageenan gels made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were lower, and their springiness was higher than the respective gel with sugar. All the TPA characteristics of the gellan gum gels made with erythritol and xylitol,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e respective gel with sugar. The rupture properties of the gels were the same as their TPA characteristics. The sensory acceptance of the carrageenan and gellan gum gels made with sugar were highest among all the sweeten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acceptance scores of the carrageenan gels made with xylitol, erythritol, and sugar, respectively, and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acceptance scores of the gellan gum gels made with xylitol, sorbitol, and sugar, respectively. Xylitol was preferred in both the carrageenan and gellan gum gels. Thus, xylitol appears to be an appropriate alternative sweetener to sugar in Jeju mandarin orange jelly for consumption by the elderly, with regard to the accep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gel.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