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9

        2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밤나방과) 유충 사육을 위해 이전에 개발된 두 인공사료(N4와 N6)가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Mythimna loreyi)(밤나방과) 사육에도 적합하였다. 실험실 조건[25°C, 15:9 h (명:암) 광주기]에서 알기간은 4.9–5.2일, 유충기간은 22.3-23.2일로 두 사료 집단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한 사료 집단 내에서 번데기 기간은 암컷이 약 12.6-12.8일, 수컷이 14.1–14.5일이었고, 번데기 무게는 암컷 이 약 345 mg, 수컷이 약 380 mg로, 암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충의 용화율과 용의 우화율은 각각 91-94%와 91-95%로 두 사료집단 사 에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충 산란전 기간은 3.4일, 산란기간은 약 4.7-4.8일 이었다. 성충 수명은 암컷이 8.2일, 수컷이 10.3-12.4일로 수컷의 수명이 길었다. 암컷당 부화한 총 자손 수는 724-847마리였고, 최대 약 1,400마리였다. 생명표 분석에서 개체군 내적자연증가율(N4 집단 0.1181, N6 집단 0.1253)은 두 사료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 사료집단 내에서 유충 영기가 5령 혹은 6령까지 발육하는 개체변이가 발 견되었다. N4 사료집단의 5령 개체 비율(약 22%)은 N6 사료집단의 5령 개체비율(약 7%)보다 높았다. 6령 개체들의 평균 유충기간이 5령 개체들보 다 더 길었다. 유충의 영기별 두폭은 1령의 약 308 μm부터 6령의 약 3,065 μm까지, 몸길이는 1령의 약 2.0 mm부터 6령의 약 29.1 mm까지 측정 되었다. 2020년 6-7월 중에 옥수수 포장에서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유충이 동속종인 멸강나방(M. separata) 유충과 함께 발견되었다.
        4,300원
        2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ED 조명의 파장이 육용종계의 생산성, 번식호르몬, 면역 수준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25주령 아바에이커 192수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백색(5,000 K), 녹색(520 nm), 황색(570 nm) 및 적색(620 nm) LED 전구를 사용하여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8수씩 임의 배치하였으며, 15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란율은 적색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난중은 적색 처리구에서 유의적으 로 감소하였다(P<0.05). 수정율, 부화율, 병아리 체중, IgG 수준 및 혈액 생화학 조성은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번식호르몬인 FSH와 LH 농도는 적색 LED 처리구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행동 관찰 결과, 적색 처리구에서 바닥 긁기, 바닥 쪼기 및 깃털 쪼기 행동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 육용종계에 LED 점등을 사용할 경우 적색 처리구에서 번식호르몬의 증가와 산란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적색 처리구에서 바닥 긁기, 바닥 쪼기 및 깃털 쪼기 행동이 높게 나타난 원인을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산란성적, 번식 호르몬 분비를 고려할 때 육용종계에 적색 LED 조명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3.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nual variations in catch size and changes in reproductive biology in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a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Jeju Islan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by coastal trap fishery from January to November 2021. Octopus vulgaris have been decreasing in this region since 1984. The mantle length (ML) ranged from 4.5 to 17.8 cm and body weight (BW) ranged form 88.5 to 2,657.5 g. A χ 2 -test revealed that the number of male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females (χ 2 = 32.712, df = 10, P<0.05). Mature females were found from January to July and male occurred January to August. The gonadosomatic index value was higher from July to August than other month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tle length and body weight was BW = 2.4527ML 2.3139 (female) and BW = 2.6785ML 2.3159 (male). At 50% group maturity, female and male average weight was estimated to be 554.7 g and 330.6 g, respectively.
        4,000원
        2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 생태계에서 우점 수종의 형질 특성은 분획화 및 고립된 식생, 그리고 생물상호작용 감소 등 환경 변화에 대한 종의 형질 적응과 생태계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우리는 한국의 서울 중심에서 남쪽 방향의 4개 산지에서 환경 요인 (지리, 기상 및 토양 속성)을 포함하여 모두 40개체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에서 측정한 4개 유형의 잎 형질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Leaf dry mass content, Leaf shape index)과 7개 유형의 번식 형질 (Fruit width, Fruit length, Fruit shape, Fruit dry weight, Fruit dry matter content, Seed weight 및 Seed ratio)의 평균과 분산 양상, 그리고 형질 조합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환경 요인은 조사 장소의 개별성을 나타내었지 만, 도심 식생이 더 건조하고 생장도일이 길었다. 도심에서 팥배나무의 잎은 작고 무거워지며, 열매는 길쭉하고 가벼운 종자를 생산하여, 오랜 도시화 영향에 따른 형질 반응들이 관찰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식생 파편화 및 고립화에 따른 생물 상호작용 감소를 나타내는 도심 환경에서 팥배나무 집단의 성장 및 번식 기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우리는 축소된 생물 상호작용 규모, 그리고 대기 오염 같은 부정적 환경 요인이 많은 도시에서 핵심 수종의 기능과 지속성에 관해 제한적이지만 뚜렷한 생태 정보를 제공한다.
        4,800원
        26.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reproductive biology, fishing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ishing business of Liparis tanakae, snailfish collected from September to March. It was the period when they were mainly caught from 2018 to 2020. The average length was generally small in September and October and was large in January and February. The average body weight was generally around 1,500 g and the average body weight in autumn was lower and in winter was higher. The sex ratio of male and female was 0.40:0.60 (χ 2 test, p < 0.05). The spawning period was estimated from October to February and the main spawning period was from December to February through the GSI. The egg diameter of matured staged female L. tanakae was 0.11-1.48 mm, which was the main spawning peri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fecundity was F = 1849TL0.1093 (r2 = 0.2401). The monthly catch of L. tanakae was high from November to February, the time of migrating to the coastal area. Coastal gillnet fisher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fisheries catching Liparis spp. Liparis spp. were caught at a high rate in winter in Chungnam, Jeonbuk, Jeonnam and Gyeongnam region, and revenue and cost was increased since 2017. Assuming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atch of Liparis spp., the fishing profit that can be obtained was the highest in Gyeongnam region and the dependence on fishing of Liparis spp. by coastal gillnet fishery was high.
        4,600원
        27.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번식효율은 농가수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암소뿐 만 아니라 씨수소의 번식효율은 중요한 경제형질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한우 씨수소에 대한 번식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0~2017년에 전북지역 분만기록 62,284개와 이에 사용된 132두의 KPN에 따른 인공수정 수태율을 분석하였다. 종부차수(NAIPC)가 증가함에 따라 분만간격(CI), 공태기간(CCI)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임신율은 낮아졌다. 첫 종부 임신율은 62.365%로 나타났으나, 3차 이후에는 48.147 이하로 급격히 낮아졌으며, 6차 이후에는 15.664% 이하로 낮아졌다. KPN과 인공수정사 모두 수태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PN에 따른 수태율은 39.154~70.621%로 분석되었으며, 인공수정사에 따른 수태율 은 22.237~85.517%로 나타났다. 인공수정 실패 시 같은 KPN의 재사용율은 20% 내외로 특별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첫 종부 기록만을 이용하여 상대적 추정 수태율(ESCR)을 분석한 결과 KPN1041이 가장 높은 11.107%로 나타났으며, KPN1112는 가장 낮은 -20.591%로 나타나 31.698%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인공수정사 뿐 만 아니라 전북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KPN에 따라 번식효율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backfat thickness (BT)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Sixty crossbred sows were allotted to four groups in a 2×2 factorial arrangement by environmental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HT], 27.5±1.76℃; low temperature [LT], 23.3±0.89℃) and BT (<20 mm, average 17.70 mm; ≥20 mm, average 23.20 mm) from July to August 2019. Sows in the HT group experienced a greater change in BT and a lower feed intake. Losses in body weight and BT were lower in sows with <20 mm BT than in those with ≥20 mm BT. Sows with low BT had a lower weaning-to-estrus interval than sows with high BT (5.20, 4.93 d vs. 5.87, 5.60 d, respectively). Piglet survivability was lower in the HT group (90.31%) than in the LT group (94.87%). Piglet weaning weight and average daily weight gain were greater in sows with <20 mm BT (5.75 kg and 201.46 g, respectively) than in those with ≥20 mm BT (5.49 kg and 188.41 g, respectively). Sows in the HT group had higher cortisol concentrations than those in the LT group (post-farrowing: HT 7.86 μg/mL vs. LT 6.04 μg/mL; weanling: HT 5.48 μg/mL vs. LT 4.40 μg/mL). In conclusion, environmental temperature adversely influenced sow performance and cortisol levels. Moreover, sows with low BT had a greater weaning-to-estrus interval when subjected to heat stress.
        4,000원
        29.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suffering as infertile women who are doing repeated AR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method. Nine women receiving repetitive ART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for this study. Results: Data analysis yielded sixteen themes which were grouped into four theme clusters: ‘Being demoted to a tool only for pregnancy’, ‘Struggling for the happiness hard to get’, ‘Standing loneliness alone on a solitary island’, and ‘Ongoing yearning for recognition by pregnancy and childbirth’.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 further understanding of complex experiences of women receiving ART who were struggling with pract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issues in their everyday l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 professionals are urged to support those women receiving repetitive ART by providing comprehensive caring programs that employ pers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approaches so that they can resolve such issues.
        4,800원
        3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eason and breed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sheep using 12 rams and 318 ewes of Assaf and Awassi breeds under the seasonal environmental condition of United Arab Emirates for two years. The blood level of testosterone hormone was measured monthly. Semen was collected twice a month from each male using artificial vagina and evaluated for volume, motility, livability, abnormality and concentration. The scrotal circumference and thickness as well as the left testicular length, width, height and volume were measured at one-month intervals. The level of testosterone in Assaf bre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utumn than winter and summer. The scrotal circumference and thickness as well as the left testicular leng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saf breed than Awassi breed. While, left testicular width and volum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wassi breed than Assaf breed. Scrotal circumference which was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autumn and winter season in both breeds. The SCC of seme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utumn than in other seasons in both breeds. The sperm abnorm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mmer than other seasons in both breeds. The liv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summer in both breeds. Fecundity and proli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saf than Awassi breed during autumn season. Assaf breed showed the superior reproductive performance in the autumn season when compared with Awassi breed in the same season and other seasons. The Assaf breed tolerated the climatic conditions in UAE and kept the litter size of 1.72 in comparison to Awassi breed which showed litter size of 1.09.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superiority of Assaf over Awassi breed and offer a good model of breeding with increased fecundity and prolificacy specially in autumn season.
        4,000원
        3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열매모자반은 제주도 연안 생태계에서 수관층을 형성하는 중요한 다년생 갈조류이다. 이 연구는 2018년 5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제주연안에서 큰열매모자반 개체군의 생장 및 생식패턴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큰열매 모자반 개체군의 정량조사를 통해 월별 형질분석, 밀도 및 현존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큰열매모자반의 생식자원 배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체 엽체길이 및 엽중량에 대한 생식엽길이와 중량비율을 측정하였다. 조사지역에서 큰열매모자반의 최대 엽장은 6월에 135.3±20.0 cm, 최대 엽중량은 5월에 평균 3.6±2.1 kg·wet-wt., 평균밀도는 4.5 individuals·m-2 및 평균현존량은 4.6 kg·wet-wt.·m-2였다. 생식기탁의 형성은 4~8월 (수온 16.1~25.0°C)까지 관찰되었으며, 난방출 시기는 6~7월 (수온 19.3~22.9°C)이 었다. 엽체의 발달은 수온 14.1°C 이상의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성숙에 요구되는 유효 적산온도는 726.3 degreedays였다. 큰열매모자반의 생식배분은 6월에 최대 69.3% 로 나타났다. 큰열매모자반의 생장과 성숙패턴은 생장기 (10~1월), 생식시작기 (2~4월), 성숙기 (5~6월), 난 방출기 (6~7월) 및 휴지기 (8~9월)로 구분되었다.
        4,000원
        3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소동속종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나비목: 잎말이나방과) 사이에 교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을 교잡시켰다. 두 종의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켰을 때, F1 잡종세대가 발생하였다. 두 잡종세대 집단을 집단 내 및 집단 간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킨 경우들에서,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잡되어 생성된 F1 잡종세대 집단(H집단)의 암컷이 같은 집단의 수컷 혹은 다른 집단의 수컷과 교미되었을 때, F2 후대를 거의 생성하지 못했다. 다른 집단으로 만들어진 F2 세대는 집단 내 교미에서 F3 세대를 생성시켰다. F1 잡종세대 집단 암수와 팥나방 혹은 어리팥나방 암수를 각각 교차하여 교미시킨 역교잡 8개 집단 중에서도 H집단의 암컷과 짝지어진 어미세대 수컷 집단 2개는 전혀 산란하지 못했다. 후대가 생성된 다른 6개 집단은 모두 집단 내 암수 교미에서 역교잡 F2 세대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미하였을 경우 F1 후대잡종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 F1 후대잡종 암컷은 불임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종 사이에 접합후 생식단계에서 부분적인 생식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4,000원
        33.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roductive ecology of rabbit fish, Siganus fuscescens were investigated from samples collected monthly in the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of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4. In male and female of S. fuscescens, the values of GSI were reached high values between July to August in which the water temperature was high, and then decreased until December. The occurrence of individuals which have mature eggs in ovary were higher from July to August. Therefore, a main spawning season was estimated from July to August, with the highest peak in July. Throughout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ovary in the spawning period, S. fuscescens belong to an group-synchronous and has a one spawning season a year. Fecundity of ovary ranged from 380,000 to 2,600,000 during the spawning period. Size at 50% sexual maturity, determined from logistic equation, were 25.1 cm TL which is over two years.
        4,000원
        3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 있어서 한우는 경제 동물일 뿐 만 아니라 중요한 유전자원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한우의 번식 능력 개량을 위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한우의 번식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북지역(정읍시)에서 인공수정 된 암소 총 33,281두에 대한 105,017개의 번식기록(2010-2017)을 이용하여 임신기간(GP), 분만 후 첫 종부기간(CFSI), 분만 후 임신간격(CCI), 수태당 종부회수(NAIPC), 첫 종부 임신율 (FSCR)을 계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전체적으로 GP 는 287.602±4.797일, CFSI와 CCI는 각각 77.513±34.417 및 88.433±42.194일 이였다. 또한 FSCR는 62.365%였으며, NAIPC 는 1.411회로 나타났다. 2017년의 FSCR과 NAIPC는 각각 67.497% 및 1.344회로 2013년 62.366% 및 1.402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가을과 겨울에는 번식기간이 더 길었으며, NAIPC는 봄과 여름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7산차 암소의 경우 NAIPC가 1.323±0.669~1.339±0.689회로 다른 그룹에의 1.401±0.772~1.446±0.854회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산차 암소의 경우 FSCR와 NAIPC가 각각 60.217% 및 1.506±0.937회로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한우의 번식효율은 산차에 따라, NAIPC는 계절에 따라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번식효율은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sexual maturity time of B. ignitus. In investigating ovary development, the time of sexual maturity of queen was 10 days after eclosion. In case of male, the number of sperm was 246 thousand at immediately after eclosion, and was highest as 480 thousand at 9 days, and tended to show a dramatic decline at 35 days (87 thousand). In consideration of number of sperms, the time of sexual maturity of male was 3-15 days after eclosion. In the sexual maturity time of queen in mating, the queen was not mated at immediately after eclosion, and showed a decrease in 20 days. On the other hand, the male showed 3.3% of mating at immediately after ecolosion, showed the highest of 43.3% at 6 days after eclosion, and tended to decrease in 25 days. In summary, sexual maturity time of B. ignitus in reproductive organs and mating is most favorable in 9-12 days after eclosion for queen and 6-9 days for male.
        3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수풍뎅이는 우리나라 곤충 산업에서 학습𐤟애완곤충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전국적으로 많은 농가에서 사육 되고 있다. 최근 식용, 약용으로도 허가가 되어 농가의 수가 확대되고 있고, 대부분 번식 개체 암수 비율 증가(2:1 이상), 대형 상자, 대량의 발효톱밥을 이용하여 번식을 한다. 이는 몇몇 농가들에게는 경제적 비용을 늘리는 요인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 절감 방안을 모색하고자, 칸막이 사육 상자를 고안하여 한 쌍으로만 실내 번식(온도 25℃, 습도 60%)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칸막이가 없는 사육 상자에서 평균 산란수는 93.6개였고, 칸막이가 있는 처리구의 경우에는 평균 산란수가 121.3개로 칸막이가 없는 것보다 알을 더 많이 낳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발효톱밥의 경도가 높은 처리구에서 산란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3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에 따른 양서류 번식계절학 및 양서류 군집다양성 변동에 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지만, 개별 종의 번식개 체군 크기의 변동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국내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는 무미류인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와 유미류인 도롱뇽(Hynobius leechii) 번식개체군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8년간의 야외개체군 변동과 주변 기후변화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야외에서 두 종은 각각 약 3.5년을 주기로 번식개체군의 크기가 증감하고 있었다. 특별히, 도롱뇽 번식개체군의 크기는 8년에 걸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후요인들 중, 기온은 계곡산개구리, 강수량은 도롱뇽 번식개체군의 크기와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별히, 해당지역에서는 8년에 걸쳐 년간평균최고기온 및 봄철평균일교차가 일관되게 감소하였으며, 후자는 도롱뇽 번식개체군 크기의 의미 있는 감소와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의 기후변화가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는 국내 양서류, 특별히 도롱뇽, 번식개체군 크기의 감소로 직접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3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분매개곤충인 호박벌(B. ignitus)의 교미율을 높이기 위하여 생식기관 발육과 교미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를 조사하였다. 난소 소관 당 알 수와 수정낭 크기 등 난소 발육으로 볼 때, 여왕벌의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10일 이내이었다. 수벌의 정자수는 우화당일에 24.6만개이었고, 우화 9일째가 48.0만개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우화 35일(8.7만개) 이후 정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미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자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벌의 정자수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3~15일이었다. 교미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 조사결과, 여왕벌은 우화직 후에는 전혀 교미를 하지 않았으며, 우화 20일 이후에는 교미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과 산란율 등으로 볼 때 여왕벌의 교미에 적합 한 시기는 우화 9~20일이었다. 반면에 수벌은 우화 직후에도 3.3% 교미하였으며, 우화 6일째가 43.3%로 가장 높았으며, 우화 25일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교미율과 산란율 등으로 볼 때, 수벌의 교미 성숙시기는 우화 6~20일이었다. 이상의 생식기관 발육과 교미에 의한 봉세발 달 등으로 볼 때 호박벌 여왕벌의 최적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9~12일, 수벌은 우화 6~9일로 판단된다.
        4,000원
        3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anada에서 수입한 동결정액으로 인공수정된 모돈의 번식성적을 조사하여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동결정액 인공수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GGP) 농장에서 2016년 5월과 9월 사이 총 626회의 동결정액 인공수정과 B(GGP) 농장에서 2015년부터 2017년 기간 동안 수행한 총 2,429 동결정액 인공수정의 결과 기록을 분석하였다. A종 돈장에서 동결정액을 썼을 때 총산자수 및 실산자수는 9월 보다 5월에 높았다(p<0.05). B종돈장의 분만율, 총산자수 및 실산자수는 조사연도 간에 차이가 없었다. A종돈장 결과와 B종돈장 결과를 통합하여 분석했을 때, 분만율은 A종돈장이 높았으나(p<0.01) 총산자수와 실산자수는 두 종돈장간에 차이가 없었고, 동결정액 인공수정을 했을 때가 액상정액 인공수정을 했을 때보다 낮았다(동결정액:액상정액 인공수정에 대한 총산자수와 실산자수는 각각 10.9±0.3:13.4±0.1두 및 10.0±0.3:12.0±0.1두 이었음; p<0.01). 결론적으로, 이상의 결과는 동결정액 인공수정이 액상정액 인공수정보다 번식 효율이 낮긴 하지만 연중 적절한 시기에 동결정액 인공수정을 실시하면 번식 효율이 증가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40.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ic reproductive biology of the daggertooth pike conger, Muraenesox cinereu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from August 2015 to December 2017 in Korean waters. A total of 2,328 samples was collected (1,593 females and 735 male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ean anal lengths (AL) were 33.5 ± 9.2 cm in females and 26.2 ± 7.3 cm in males respectively. The females were larger than males in AL (p < 0.05). Sex ratio was 2.2:1 in female to male (p < 0.05). The gonadosomatic index (GSI) varied monthly. GSI of female reached the maximum in July 2016 and June 2017 and the minimum in October 2016 and September 2017 respectively.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October. The size at sexual maturity (L50) of females was estimated at 24.9 cm in AL (63.5 cm in TL).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