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 3-6세의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111명과 일반아동 135명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에 관한 문항, 그리고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에 관한 문항으로 총 95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내외적 요인은 기술통계, 그룹 별 감각처리능력은 독립표본 t-검정, 그리고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결과 : 발달장애아동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평균 점수는 135.37±21.17점이었고, 일반아동에서 평균 점수는 165.02±16.69점으로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 기질의 정서성과 또래관계이었다. 일반아동은 아동의 출생 시 몸무게와 기질의 정서성이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4,600원
        23.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ur dietary fiber enriched menus for the aged were developed and physicochemical were analyzed. Major foods enriching the dietary fiber were as following; kimchi & bean sprouts soup and sweet potato for menu 1, chamcheunamul and grape for menu 2, mushroom and kimchi for menu 3, dried radish leaves and green pepper for menu 4. One portion of calorie, carbohydrate, protein and fats for the aged were calculated as 567 kcal, 92.8 g, 21.3 g and 12.6 g, respectively based on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for adults. Dietary fiber content increased in the menus 1, 2, 3 and 4 were 17.27%, 20.84%, 16.91%, and 23.64%, respectively. The menu 1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acceptance scores among the rice, soups, side dishes and overall desirability with the acceptance sores of 4.77, 4.58, 4.62 and 4.69, respectively(p<0.05). Female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acceptance scores of all of the enriched fiber menu than those of male. Moisture contents of the boiled rice with barely in menu 3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of all(p<0.05) and the side dishes of all menu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0.05. The pH value of boiled rice with barely in menu 3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and menu 1 of kimchi & bean sprouts soup had significantly the lowest pH values(p<0.05). Hunter L value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boiled rice with barley. The dietary fiber enriched menu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for applica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meal service planning for the aged as one of trials of basic data collection.
        4,000원
        24.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which have a effect of prevention adult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hypertention, and obesity. In our lab. a lot of study have been performed about functional effect of sericulture(mulberry leaf, silkpeptide and silkworm) for examples decrease of serum cholesterol, triacylglyceride and control of serum glucose in rat. sericulture powder was prepared by pulverizing freeze-dried. Functional laver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 sensory evaluation qua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ineral contents of those were compared. In case of overal quality of sensory evaluation, silkpeptide powder laver was lower than other samples. The content of moisture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control, sample 1, 2, 3) were 0.30, 0.98, 0.24 and 0.28%,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40.50, 44.10, 56.75, and 62.50%,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fat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4.00, 4.10, 4.00 and 4.40%, respectively. The content of ash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7.07, 7.53, 7.60 and 7.27%,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alcium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219, 253, 224 and 229mg/100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potassium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1879, 1919, 1890 and 1907mg/l00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iron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18.03, 18.23, 18.46 and 18.53mg/100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zinc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1.86, 4.47, 4.57 and 5.64mg/100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manganese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samples were 4.50, 8.50, 7.00 and 6.00 mg/100g,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this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is low calorie, high protein and high mineral health food which have a preventive effect of adult disease.
        4,000원
        25.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식빵의 표준 묘사분석 절차를 확립하였으며, 그 결과, 식빵에서 23가지의 특성 묘사 용어를 선정하고 개발하였으며 평가 절차를 확립하였다. 개발된 표준 묘사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숙성온도와 배합비가 다른 4종류의 식빵에 대해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4종류의 식빵 간에는 23개의 관능적 특성에서 모두 유의전인 차이(p<0.05)가 있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개발된 식빵의 특성 용어와 그 정의 및 평가 기술이 종류가 다른 식빵의 관능적 특성의 차이를 잘 설명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식빵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원료와 제조 방법에 따른 식빵의 품질평가에 묘사 분석이 적용되고, 이 결과와 소비자 기호도 검사 또는 기계적 측정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4,000원
        2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각 검사용 Farnsworth Dichotomous Test Panel D - 15 중 1-5번의 칼라분석올 위하여 380-780nm의 반사광 세기률 측정하여 CIE system올 도입하였다. 색변환 400nm 영역과 730nm 이상 영역에 의존한다. 반사 spectrum으로부터 3극 치 X, Y, Z 값 보색 평면과 명암축으로 하는 3차원 CIELAB system의 L*a*b* 와 L*ab 값, CIELUV system U*V* 값, 색도도 좌표 x, y값올 구했다. 색도도에서 Panel D -15의 1-5번의 명변궤적 (x - 0.4303)2 + (y - 0.3976)2 = 0.0028 의 형태이다.
        4,000원
        27.
        199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nitrogen containing taste compound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ying Meju concentrations (Meju-water ratios of 1:4 and 1.3:4) and ripening periods (up to 2 years),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aste compound contents via contents assay and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samples. Nitrogen compound contents were higher in 1.3:4 than in 1:4 for all nitrogen compounds.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soy sauce ripened for 210 days. Among amino acids, glutamic acid was highest concentratio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 contents did not vary with concentrations and were highest in the sample ripened for 210 days. In direct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overall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sweet taste. Likewise, overall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umami, nutty, sweet tast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seaweed soup seasoned with soy sauce.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higher in 1.3:4 than in 1: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ssay of taste compound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s, nitrogen compounds (such as amino type nitrogen),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ysine, and etc.), nucleotides (such as AMP, IMP, and etc)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nd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se compounds affect the taste and quality of soy sauce.
        4,000원
        28.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scriptive sensory profile of oriental melon. The sensory profile of oriental melons (cultivated in Seonju, Kyungsangbuk-do) were use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es and twelve trained panel developed the total forty sensory attributes related appearance, aroma, texture etc. Six appearances attributes and two aromas attributes were derived from whole oriental melon with skin. Five aromas, six tastes and six textures were derived from the mesocarp of oriental melon. And also, oriental melons were analyzed for pH, titratable acidity, solid soluble contents and weight. The weight, titratable acidity and soluble solid content of oriental mel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amples. And also, in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se samples by trained panel and consumer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ganic cultivated samples and conventional cultivated sample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ensory attributes data by trained panel and consumer, oriental melons were primary separated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ch accounted for 27.73% (trained panel test) and 19.82% (consumer test) of total variance (trained panel test; 58.36%, consumer test; 46.18%) between the samples farm, cultivation method, total acidity, sweet aroma, bitterness, etc. Generally, whole oriental melon with sk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attributes according to cultivation method and farms. But, the mesocarp and endocarp part showed not certainly differences in the sensory attributes between organic cultivated samples except conventional cultivated samples.
        29.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온주 감귤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을 위하여 제주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방법별 품질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제주산 온주 감귤의 훈련된 패널요원에 의해 묘사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외관 특성(광택 강도, 색 강도, 껍질 두께, 손상 정도, 껍질의 조직감), 3종의 냄새(신내, 단내, 신선한 냄새), 6종의 맛(신맛, 단맛, 쓴맛, 신선한 맛, 싱거운 맛, 이미), 4종의 텍스쳐(경도, 알갱이의 경도, 다즙성, 펄프감) 및 3종의 후미(신맛, 단맛, 쓴맛)가 선발되었다. 유기농 하우스재배 및 무농약 노지 재배 감귤과 관행재배 감귤의 품질 특성 중 고형분 함량의 경우 유기농 하우스 감귤의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고, 큰 감귤이 작은 감귤보다 고형분 함량이 적었다. 유기농 하우스 재배 귤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pH와 약간 높은 산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감귤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분석결과 감귤 껍질와 과육을 씹은 후 남는 펄프 함량과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형분 함량은 당산비, 감귤 과피의 색 강도, 단맛, 신선한 감귤맛, 과육 알갱이의 강도, 단후미와 1% 유의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쓴맛, 싱거운 맛, 이미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48.39%와 26.77%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75.16%였다. 주성분 F1은 가용성 고형분함량, 당산비, 과피의 광택강도, 색 강도, 신향, 단향, 단맛, 쓴맛, 신선한 감귤맛, 싱거운 맛, 이미, 과육 알갱이의 강도, 후미의 단맛과 쓴맛이었고, F2는 감귤의 크기, pH, 산도, 과피의 손상도, 과피의 조직감, 신맛, 과육의 강도, 과육을 씹었을 때 남는 펄프함량, 후미의 신맛이었다. 또 주성분 F3는 과피의 두께와 다즙성이었다. 즉 동일 지역의 동일 품종으로 재배된 유기농 하우스 재배 감귤과 관행 재배 시료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3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들이 가지는 비침투적 치유 요소 중 감각자극 요인에 대한 인간의 심리, 생리적 반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허브식물 Lavandula spp., Mentha spicata, Thymus praecox 3종의 시각, 후각, 촉각의 세가지 감각자극 요소에 대한 맥박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식물을 구별하지 않고 자극별로만 맥박수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후각과 촉각자극에서 맥박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극별로 살펴본 식물간의 맥박수는, 모니터에 사진으로 제공된 시각적 이미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후각과 촉각자극에서 Lavandula spp.의 경우가 다른 식물에 비해 맥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살펴본 자극간의 맥박수 차이는 Lavandula spp.와 Thymus praecox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Mentha spicata에서는 후각과 촉각자극 시에 시각자극보다 맥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1.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 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 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총 519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program(Version 14.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
        3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년생 의성작약을 대상으로 오관검사의 평가기준으로 작용하는 맛, 색택 및 냄새에 관여하는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리당 성분은 sucrose, glucose및 fructose등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은 ~gamma-aminoisobuturic acid, arginine, citrulline 등 총 18종이 존재하였다. 작약근에 포함된 유기산은 oxalic acid, citric acid및 malic acid등 총 5종이 함유되어 있었다. 작약의 관능적 품질평가 기준 중 하나인 냄새를 구성하는 물질로서 eugenol을 포함한 11종의 향기성분을 확인하였다. 결국 작약의 특이적인 향기는 여러 물질에서 기인한 복합적 냄새로 평가될 수 있다. 12개정 일본 약국방 해설서(赤 등, 1991)에는 우수한 품질의 작약은 맛의 경우 처음에는 달고, 끝 맛은 떫고, 신맛이 있어야 하며, 작약의 특이한 냄새를 강하게 나타내는 것이 좋다고 기재하여 관능적 품질평가의 기준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므로 관능적 품질평가를 객관성이 결여되기 쉬운 감각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첨단 화학분석기기를 이용한 체계적 분석에 의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수치화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3.
        198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80년 포장에 공시했던 38개 유색 대두종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그리고 관능검사치와 Texturometer Parmeter의 수치 및 종실의 화학성분 함량상호간 상관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식미성분은 종실중보다 품종별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종실중 품종 상호작용 효과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2. 38개 공시 수집종중 전체적인 식미 수용도가 높은 10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3. 관능검사치, Texturometer측정치 및 종실성분간에는 형질에 따라 유의한 정 또는 부의 상관계수가 인정되었다. 4. 전체적인 유색 대두의 Overall-Acceptance를 Texturometer 요인들의 다중회귀로 산출한 결과, Cohesiveness와 Gumminess의 회귀계수가 컸으며, 소ㆍ중립은 Cohesiveness가, 대ㆍ특대립은 Gumminess가 컸다. Sensory 요인 중에서 Overall-Acceptance에 가장 높은 회귀계수를 보이는 것은 식후감이었다. 또 Y축(Acceptance Degree)은 대립 > 특대립 > 중립 > 소립의 순으로 높았다. 5. Overall-Acceptance에 대한 기여도는 소립ㆍ중립ㆍ특대립의 경우에는 Cohesiveness가 가장 컸으나 대립에서는 Hardness였으며, 관능검사치 가운데서는 일반적으로는 물렁이지 않고 씹히는 맛이 있는 특성들의 기여도가 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