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2.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98, 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has hosted the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institute hired undergraduate students to escort and liaison each class of the gifted student participants with assisting classroom activities. These liaison teachers observed the gifted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d them by using a given checklist and filling out pre-made evaluation forms. Currently this system is being transferred from part-time jobs for students to earn allowance into well organized pre-service teacher program focusing on the gifte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system is being shifted from how liaison teachers facilitate the gifted program to how the system helps the liaison teachers to be quality teachers for the gifted who can understand what the gifted are and how to facilitate them. Analyzed were the self reports of the liaison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beliefs of the gifted and their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participant liaison teachers purposed to have more live experiences with getting along with students as well. Liaison teachers’ perceptions on establishing a gifted teacher professional education sequence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scaffold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was provided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4,200원
        23.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s of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importance of education courses for school food service cooks.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s on education programs for cooks and by interviewing with cooks who are working in school food service.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at Kyonggi University and 90 of them were analyzed. The cooks in school food service wanted to tak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bout cooking skills and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skills. They wanted to take a culinary courses for 10 days and they wanted to take a food service operation courses for a week. The school food service cooks emphasized on courses of job analysis, laws and regulation, food sanitation, standard recipe, safety, equipment, and facility and layout. And they thought not only Korean food but also western food, Chinese food and Japanese food are important.
        4,000원
        24.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tus of general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was investigated in 11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on Metropolitan Area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schools served 5 lunches per week. Meal cost per capita was 1212.1 won in urban type school and 979.0 won in rural type school. Most schools(91.9%) had 1 regular dietitian and 1 regular cook. With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e number of temporary employees increased significantly. Most school dietitians(86.5%) were in their twenties and had 2 year careers. 2. Most dietitians(90.1%) planned the menu based on the RDA with the first consideration in nutritional needs of the students. Many dietitians(81.8%) surveyed on the food preferences of the students at least once a year. About 86% of the schools had the food service committee which was helpful. Dietitians were the first one in charge of food purchasing and checking, and sometimes a manager in general school affairs worked together. One third of the schools used the volunteer parents in food services. 3. Most school dietitians(97.2%) gave the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using handouts once a week. However, they could not teach the students through the classroom lecture because they are not the regular teachers. Food garbages were removed by the professional trash collecting company or by using fermentation machines or by giving them to animals as feeds. School events concerning the food and nutrition were mostly drawing pictures and composition. Only 36.4% of the school dietitians had experienced in nutrition counseling for an individual student. Most of them(99.1%) thought that individual counseling is necessary if they have enough time and chances to do.
        4,500원
        25.
        199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28.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ina and South Korea, as countries belonging to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have alway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education service trade. Nowadays, economic diversification has become the trend of world development, education service trad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comprehensive strength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China and the ROK are close in geographical location and have profound cultural origins. Over the years, the two countries have conducted fruitful bilateral cultural exchanges. This paper takes China and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Sino-South Korea education service trad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 trade.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China’s trade in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s can further improve China’s cultural soft power, so as to improv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ervice trade and enhance its international influence in the context of China’s economic globalization.
        29.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2학기에 ‘창의·인성 교육과정의 이해’ 강좌를 수강한 26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는 대응표본 t검증과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았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은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에 유의하게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의 하위 변인 중에서 세계시민성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역량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세계시민성 지식과 세계시민성 태도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에 있었다.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30.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교양교육’의 특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 사범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교양교육’은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총 442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사범대학생이 기대하는 교양교육의 특징과 그 특징의 학년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1)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바람직 한 교양교육’은 유용한 지식을 습득하고, 개인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하여 삶과 연결되는 교육, 실용적이고 실제적인 교육, 다양한 학문을 두루 접할 수 있는 교육이었고, 2) 1학년은 자신에 대한 이해, 2학년과 3학년은 관심과 흥미의 확장, 4학년은 개인적 흥미나 관심을 넘어 미래의 삶과 진로를 준비하고 미래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양교육을 기대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1) 교원양 성과정에서 교양교육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2) 예비교사의 진로발달과정을 고려한 교양교육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31.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to the students’ in relation to their satisfaction and loyalty.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seventh semester students of Universitas Muslim Nusantara Al-Washliyah,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as 312. Data analysis techniques in this study used was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SmartPL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s and students’ loyalty, between non-academic and students’ loyalty, between reputation and students’ loyalty, and between campus access and students’ loyalty; on the other hand, students’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in medi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gram issues and students’ loyalty.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r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bilities and communication skills. As far as non-academic aspects are concerned, conducting training and development efforts and increasing awareness programs for administrative staff is important. For the reputation aspect, to carry out several marketing campaigns which predict to have an effect upon students in building positive perceptions of campus has to be executed as well. Meanwhile for access aspect, it should be made certain that every student can have direct access to staff employees,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dimensions which can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so that students are convinced of their choice of campus and then they are likely to recommend their chosen university and spread positive things about their institutions.
        32.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과거 직전 단계의 교원양성기관에서 경험한 다문화교육이 현재 이들의 다문화교육 수업준비도 및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OECD 주관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 2,987명과 중학교 교사 2,677명을 대상으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사가 교원양성 교육단계에서 다문화교육을 경험한 경우 다문화교육 수업준비도와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의 다문화교육 관련 교과목 및 교직과목 편성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3.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H 오디세이 학교의 길잡이로 파견된 공교육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공교육 내 대안교육이 모색되는 시대에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사에게 함양되기를 요구되는 새로운 역량이 무엇일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오디세이 학교의 길잡이를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길잡이의 경험은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유형화되었다. 첫째, 길잡이는 국가 교육과정과 대안 교육 사이에서 딜레마를 경험 하며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길잡이는 공교육에서 경험하지 않았던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교실을 넘어선 지역사회로 확대된 배움의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마지막으로 학생이 배움의 주체가 되는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개발자이자 실행자로서 오디세이 학교 길잡이의 경험의 특징과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는 공교육 내 대안교육을 도전 하는 유사 사례에 적용점을 제공하고, 교원양성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3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교원직무연수에서 반성적 사고는 근전이와 원전이 사이를 매개하는지와 매개할 경우 그 영향력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의 개념과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설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먼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시교육청 소속 교사 5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유효설문지는 401부였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는 반성적 사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는 원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반성적 사고도 원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런 결과는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와 원전이 사이에 반성적 사고는 부분 매개함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는 자신이 참여한 직무연수 내용을 학습하여도 원전이를 바로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원전이 보다 근전이를 먼저 수행함으로써 적용의 가능성, 경험, 노하우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수월하게 원전이 수행을 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학습전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원리 또는 개념으로 발전시킨 후 다양한 상황에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원전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3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도에 시행된 다문화 교육 집합연수 22개(630시수)와 원격연수 9개(225시수)의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합연수는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30.63%)’,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 (19.21%)’, ‘다문화교육․지도 사례 공유(국내외)(19.04%)’ 순으로, 원격연수는 ‘다문화사회․ 다문화교육 이해(29.15%)’,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23.32%)’,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21.08%)’ 순으로 연수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교사교육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36.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ducation program and organization in Korea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center. In most cases, the program has steadily operated from 2014 to 2016 in metropolitan cities, specially, In Busan, the greatest education program has been set up twenty one classes during 2014~2016. This study surveyed 114 departments of 3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and 75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in 8 metropolitan cities, 9 provinces and 67 cities and counties, which implemented the consumer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2016. Twenty on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centers has started the consumer horticulture program undertaking for the first time in 2016. Experienced education program had been conducted to the facilities for the consumer horticulture programs in th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centers and training in the educational farm. Special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the largest educational training center in 53.136 m2, with the largest educational farm in Gangwon-do province and the most popular crops were fruit. The research suggested that the consumer horticultural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short & long term of improvement efforts of latent educational curriculum.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had lands and facilities for exiting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to use nearby farms as education farms by establishing a network. Furthermore reconsidering is needed to improve the content, a systematic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reformation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actice.
        37.
        2017.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익광고에 포함되어있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 사 공익광고자료실에 탑재된 공익광고(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6) 9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본 공익광고의 인성교육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유아에게 정서 표현을 가능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둘째, 모두의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유아를 대상으로 만든 것이 아님에도 그 소재는 유아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여 나와 가족,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셋째, 실천을 이끄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특정 행동의 모방이 아니라 사회문제해결 모색으로서의 문제해결력과 실천을 이끌어낸다. 넷째, 흥미를 더하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 속의 음악은 분위기 극대화는 물론 유아들이 반복해서 따라 부를 수 있는 지속적 흥미를 더한다. 다섯째, 빠져들게 되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영상과 음향이 어우러진 매체로서 유아의 시선을 사로잡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짧은 이야기이다. 유아의 주의집중 시간을 고려할 때, 공익광고의 30초 상영시간은 의미 있는 시간이다. 짧게 끝남은 긴 여운을 불러일으켜 유아들로 하여금 자신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여백을 준다. 이와 같이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볼 때 공익광고 속에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가 다면적으로 포함되어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공익광고 속의 숨은 의미 찾기가 지속될 필요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38.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수행적 글쓰기의 특성 및 구성 요인을 살피고, 예비 체육 교사 교육에서 수행적 글쓰기를 활용할 때 기대할 수 있는 효용 대해 탐색하였다. 수행적 글쓰기는 체육 활동을 하는 필자가 체육 활동을 한 뒤에 자신의 활동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글을 쓰는 활동인데, 여기에는 신체 활동에 수반되는 고통, 극복을 위한 노력, 극복 후의 성장 등이 잘 반영된다는 특징을 지 니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수행적 글쓰기가 예비 체육 교사 교육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 거가 된다. 수행적 글쓰기는 고통스러웠던 운동 장면의 회상, 극복을 위한 노력, 극복 후의 성 숙 등을 주요 구성 요인으로 한다. 수행적 글쓰기는 인문적 체육 교육에서 중시하는 심법적 자 질의 형성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예 비 체육 교사의 논리적 글쓰기 능력 신장과 연결시킬 수 있다.
        3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연계 나눔 경험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차원의 다문화 교육을 운영한 실행 연구로, 국제이해교육과 연결하여 나눔 봉사 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진행하며 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문화 교육 경험과 인식에 대한 설문지와 함께 지속적인 토 의, 면담, 저널 등을 통하여 국제이해교육 차원에서의 다문화 교육을 실행해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나눔 봉사를 위한 다문화 기관과의 연계 봉사활동의 초기 관찰자에서 계 획자이자 평가자로서의 역할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편견에서 벗 어나고 이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됨으로써 국제이해교육 차원에의 다문화 교육을 이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40.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숲유치원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자연중심의 녹색교육 전문화를 위한 숲유치원 활성화를 위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의 제공과 앞으로의 숲유치원 적합모델 개발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국민 1/2 이상의 생활권역인 수도권과 강원 영서지역에 운영 중인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7개 기관의 숲유치원 14개 원을 대상으로 숲유치원의 운영현황, 프로그램, 시설물, 참여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거의 모든 유치원이 체험형 숲유치원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모두 사전 협약을 체결하였고 주말 운영을 하였다. 둘째, 감각, 신체, 창의성, 자연지식, 영성・감성, 기타 교육 유형으로 구분하여 숲유치원 대상지의 시설물 및 환경에 맞춰진 지도교안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설물은 식물교육장 및 야외교육 시설이었고 대피소의 구실을 하는 시설물 마련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장 높은 참여도를 보인 곳은 접근성이 양호하고 숲해설 코스가 잘 발달하여 있는 수락산 숲유치원이었고 두번째는 강원 영서지역의 숲체원 숲유치원이었다. 이곳은 휴양 기능을 겸비한 국내 유일의 숲문화 체험 교육전문 시설로 숲 속 골든벨등 독특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