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정원문화를 대중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일반인이 식물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온라인에서 자생초본식물의 판매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5년 6월 현재 인터넷에서 자생초본식물을 판매하는 업체는 130개소였으며, 그 중 자체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구축한 업체가 50개소, 통합사이트 2개소에 등록한 업체가 80개소였다. 일반인이 온라인에서 구입가능한 자생초본식물은 75과 248속 468종이었으며,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CR), 위기종(EN), 취약종(VU) 31과 66속 87종을 판매하고 있었으며, 귀화식물은 10과 13속 14종 판매하고 있었다. 온라인에서의 식물 유통은 실제 식물을 보지 않고 판매업자가 구매자에게 주는 정보가 바탕이 되어 판매되므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와 정확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야생화의 범주에서 재배식물, 외래식물을 판매하는 업체가 74%였고, 초본식물을 야생화로 인지한 경우가 60%였다. 또한 야생화의 세부 분류 카테고리가 위계 없이 나열되어 소비자에게 혼란과 불편함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식물공급업자의 50% 이상이 식물의 시각적인 특성과 이용적인 특성과 같은 식물의 문헌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식재시 고려사항과 식재 후 관리방법 등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구매할 식물에 대한 정보에서 식물명에 오류를 보인 업체가 74%나 되어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현황 조사 결과 온라인에서 자생식물의 유통을 활발하게 하려면 첫째, 다품종으로 소량 생산하는 영세한 업체들을 위해 자생식물을 전문으로 하는 포털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며 둘째, 무분별하게 판매되는 희귀식물에 대한 보존과 유통을 위한 관계기관의 법제정 또는 보완이 필요하며, 셋째 자생식물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명칭, 세부분류기준을 체계적으로 두어 대중들이 보다 쉽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2.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경식물인 금낭화, 돌단풍, 할미꽃, 붉은잎동자꽃, 벌개미취의 개화기 예측에 필요한 적산온도를 구명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3년 3월 시험포에 식재된 관상식물 5종을 채취하여 컨테이너(30×30×30cm)에 원예용 상토를 이용하여 식재하여 시험포와 온실에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1주일 간격으로 개아기, 전엽기, 개화기를 조사하였으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온실과 시험포의 적산온도의 비교 결과 조경식물 5종의 생육단계에 따른 적산온도는 금낭화 개아기 176.3±9.12℃, 전엽기 265.1±47.63℃, 개화기 476.1±112.43℃, 돌단풍 개아기 170.0± 32.56℃, 전엽기 352.8±176.84℃, 개화기 452.3 ±17.74℃, 할미꽃 개아기 152.0±7.17℃, 전엽기 266.2 ±54.36℃, 개화기 410.4± 41.58℃, 붉은잎동자꽃 개화기 186.1±22.92℃, 전엽기 205.8± 16.92℃, 개화기 1426.6±135.99℃, 벌개미취 개아기 163.5±9.02, 전엽기 190.6±4.55, 개화기 2714.9±88.97로 나타났다.
        23.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원 디자인시 초화류를 선정하기 위한 체크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초화류 선정에 필요한 항목을 설정하고 항목별로 초화류 선정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초화류는 용도, 식재지 환경, 생육 특성, 그리고 시각적 특성에 의해 선정되는데, 용도를 화분, 화단, 목본식물 하부식재, 지피식물 및 다양한 양식과 목적의 정원으로 구분하고, 식재지 환경을 토양, 광, 수분, 바람 및 온도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고, 생육 특성은 다년초를 중심으로 일년초, 구근류, 그리고 그래스류(대나무, 사초류, 골풀류 포함), 암석원식물, 수생식물로 나누었다. 그리고 시각적인 특성을 1) 형태, 초장 2) 초폭, 식재간격, 식재수량 3) 질감 4) 화색 5) 개화기와 예외적으로 6) 향기로 나누어 초화류 선정 기준을 도출하였다. 체크리스트에는 초장을 고, 중, 저로 나누어 초장마다 흰색, 분홍, 빨강, 보라, 파랑, 은색(회색), 녹색, 노랑, 오렌지색의 9개 색으로 구분하고, 화색별로 선정된 초화류의 개화기 또는 월별 색변화를 표시하도록 했으며, 선정된 식물은 m2당 식재 수량을 표시하고, 부가적으로 질감 차이를 3단계로 그리고 향기 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체크리스트는 정원 디자인시 초화류 선정을 위해 여러 가지 요소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기준표로서 디자이너에 따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24.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0년 첼시 플라워 쇼의 휴식 정원의 경우는 꽃은 꽃대가 높이 올라가며, 꽃의 크기가 작고, 착생밀도가 높고, 파스텔톤의 꽃이 주로 사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꽃의 특징이 두드러지기 보다는 잎과 잘 어울리는 소재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나타내었다. 잎의 경우, 작은 잎이 밀생하고, 선형의 형태이고, 열과 거치가 있으며, 두꺼운 잎과 무늬가 있는 잎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었다. 잎의 풍성함을 통하여 야생적인 느낌과 시각적 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촉각적 특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여 관상 가치를 높이고 있었다.지금까지의 자연적인 식재에 관한 연구는 개념에 중심을 두었으나 이 연구는 2010년 첼시 플라워 쇼의 휴식정원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와 질감의 분석을 통해 특성과 경향을 알아본 것으로 최근의 정원에서 나타나는 주제와 식재경향을 구체적인 수종의 제시와 함께 질감이라는 미적기준을 통해 그 특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25.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기존 옥상녹화용 상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간이관수에 적합한 옥상녹화용 상토조합 선발을 위해 실험을 시행하였고,실험장소의 대기환경은 대기온도 최고 27.7℃,최저 12.5℃범위로 오후 12시 30분경에 대기온도와 광량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상대습도는 이에 반비례하였고 바람은 오후 2시경부터 5시까지 가장 많이 불었다. 이와 같은 옥상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상토 내의 수분함량의 경우 대조구인 파라소 100% 단용 처리구의 29~31%에 비하여 Perlite:Peatmoss:Vermiculite:Coir=1:1:2:1처리구에서 47~50% 정도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식물 생육의 결과는 각 식물별 지상부·지하부의 건조 전·후의 길이 및 무게와 shoot·root의 길이 및 엽록소함량 측정결과 각 처리구별 우수한 생육을 보이는 식물들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나,Perlite:Peatmoss:Vermiculite:Coir=1:1:2:1에서 1:1:1:1의 상토조합이 다른 처리구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식물생육이 양호하였고, 관수량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이 조합을 옥상녹화에 이용한다면 효율적인 관수로 다양한 옥상환경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식물의 선택에 있어 그 종류가 한정적이었고,전국에 걸친 현장 적용 실험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그러므로 향후 이와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옥상녹화용 상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from the perennial herbaceous plants (Houttuynia cordata, Filipendula glaberrima, Peucedanum japonicum, and Ainsliaea acerifolia) was determined by GC/MS spectrometric analysis with the aid of NBS, Wiley Library and RI indice searches. The major constituents identified were α-phellandrene (18.97%), γ-terpinene (12.32%), decanal (8.72%), 1-decanol (10.92%), decanoic acid (12.12%), and 2-undecanone (12.32%) from H. cordata, farnesol (2.83%), l-α-terpineol (2.72%), benzenmethanol (2.03%), (Z)-3-hexen-1-ol (4.32%), and T-muurolol (2.07%) from F. glaberrima, α-phellandrene (14.25%), endobornyl acetate (3.84%), heptanal (47.52%), octanal (2.65%), (E,E)-2,4-decadienal (2.75%), and octanoic acid (4.52%) from P. japonicum, and geyrene (9.74%), β-cubebene (11.15%), berkheyaradulen (22.32%), β-elemene (6.21%), (-)-A-selinene (4.85%), benzaldehyde (4.52%), and benzenacetaldehyde (3.40%) from A. acerifolia.
        2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 native plants of south-east of Mt. Gumsan in the summer was 32 families and 77 species, then the compositae had the largest species as 16. The pteridaceae was I species. The south-west of Mt. Gumsan was 32 families and 72 species. The gramineae was 9 species, and selaginellaceae and aspidiaceae was 1 species, respectively. The north-east of Mt. Gumsan was 42 families and 100 species. The compositae was 9 species, and aspidiaceae was 5, polypodiaceae was 2, and pteridaceae was 1 species, respectively. The north-west of Mt. Gumsan was 43 families and 135 species. The compositae was 24 species, and aspidiaceae was 3, pteridaceae was 2, and lycopodiacea was 1 species, respectively.
        2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 native plants of south-east of Mt. Gumsan in the spring was 13 families and 31 species. The liliaceae was 10 species, the largest plants of them. The south-west of Mt Gumsan was 13 families and 23 species, the orchidaceae and cyperaceae were 5 species, respectively. Selaginellaceae was 2 species and polypodiaceae was 1 species. The north-east of Mt. Gumsan was 15 families and 32 species, Fumariaceae was 5 species and aspidiaceae was 1 species. The north-west of Mt. Gumsan was 29 families and 68 species, among of them, the compositae was 9 species. Aspleniaceae, lycopodiaceae, and aspidiaceae was 1 species, respectively.
        2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물상과 초본군락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생지 복원 및 보전대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 조사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을 보인 지역은 괴산군 율지리(III)로 48과 91속 99종 15변종 등 총 11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진천군 용정리(V)로 28과 49속 47종 7변종 등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초본군락의 우점종은 환삼덩굴과 쑥(괴산군 추점리 I), 주름조개풀(괴산군 송덕리 II와 영동읍 매천리 IV), 대사초·칡·쑥(괴산군 율지리 III), 덩굴닭의장풀(진천군 용정리 V), 조릿대(부안군 중계리 VI)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쑥과 대사초, 조릿대와 김의털, 조릿대와 청미래덩굴, 김의털과 청미래덩굴이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은 것은 III과 VI지역으로 27.27%를 보였다. 환경요인과 식물종수간의 회귀분석 결과, 해발고도와 식물종수의 설명력은 약 70.0%였다.
        30.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ppropriate wild herbaceous plants on the rooftop.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14 wild herbaceous plants were chosen.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wild herbaceous plants growing on the culture soil(perlite) Among the 14 kinds of wild herbaceous plants, such as Chrysanthemum boreale,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Aster yomena,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Patrinia scabiosaefolia showed good effects on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Callistephus chinensis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showed good height growth, wherase covering rate was worst. Chrysanthemum boreale, Platycodon grandiflorum, Patrinia scabiosaefolia were plant height, wherase covering rate was not good . For the expected number of seedings more than 3,000 per square meter, many seedings got withered to death while the survivors were suppressed to grow slow in the early stage due to the densityproblem.
        32.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olyembryony in the seeds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iflora Pall. The polyembryonic rate was approximately 4% among 4,114 seeds harvested at peony field. Most of polyembryony were twin-embryo seeds, while t
        33.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mplified technique which cryoprotects zygotic embryos by encapsulation-dehydration was developed for the germplasm conservati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The highest survival rate (85~%) was obtained from embryos treated by encapsulation-dehydration. The zygotic embryos were pre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0.3mg/L GA3 for 1 day. The precultured embryos were encapsulated in 3~% (w/v) alginate beads and immersed for 1 h in MS medium containing 2 M glycerol and 0.5 M sucrose. The encapsulated embryos were dehydrated for 5h by air drying prior to direct immersion in liquid nitrogen. This encapsulation-dehydration method appears to be a promising technique for germplasm cryopreservation of a herbaceous peony.
        34.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약(芍藥)의 개화조절(開花調節)을 위(爲)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꽃눈의 분화과정(分化過程)과 동계(冬季) 가온재배(加溫栽培)시의 적정(適定) 가온시사(加溫時斯) 및 편온처리(偏溫處理) 효과(效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약(芍藥)의 꽃눈분화 과정을 보면, 6월(月)17일(日) 조사시(調査時) 눈의 분화는 이미 시작되어 있었고, 화기의 분화는 9월중순(月中旬)에, 꽃잎의 분화는 10월(月) 에 관찰되었으며, 이른 봄눈이 지상부(地上部)로 출현(出現)하면서 암술이 분화된 개체가 관찰되었다. 2. 동계(冬季)에 시기(時期)를 달리하여 가온재배(加溫栽培)한 결과, 밀양지역(密陽地域)에서 작약(芍藥)의 촉성재배(促成栽培)시 12月 상순(上旬)부터 가온재배(加溫栽培)하면 낙화(駱花)가 가능하였으며 12월(月) 하순(下旬) 가온낙시구(加溫駱始區)까지 출현소요(出現所要) 일(日) 수(數)가 현저히 감소(減少)하다가 그 후에는 差(差)가 없었다. 3. 5℃에서 1주간(週間) 저온처리를 한 후 가온재배(加溫栽培)를 하면 잎은 출현(出現)하였으나 개화(開花)하지 않았고 2과(過)이상 처리시 개화(開花)하였다. 2주(週) 이상 저온처리시 처리기간에 따른 폐화소요일수(閉花所要日數)의 차(差)는 미미(微微)하였으나 출현경수(出現莖數)와 폐화률(閉花率)은 처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저온처리후 가온재배(加溫栽培)하면 동일가온재배(同一加溫栽培)시기의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가 크게 감소하였다. 저온처리에 의한촉성재배(促成栽培)의 경우빨리 개화(開花)한 것은 1월(月) 20일(日)이었고, 저온처리를 하지않은 것을 12월(月)에 촉성재배(促成栽培)할 경우 2월(月) 하旬(下旬)까지 개화(開花)가 가능하였다.
        35.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 10월부터 1991년 5월까지 국내시판 생약중 목단근피에 대하여 생약으로서의 안전성과 유효성 및 품질 관리상의 기초자료를 연고자 생약근중에 존재하는 Paeonol 및 회분과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시판 목단근피중의 Paeonol 함량은 평균 0.65% 였다. 2. 회분함량은 평균 3.53%로 대한 약전규격 6.0%이하였으며 산불용성 회분은 0.77%로 기준치 1.0% 이하였다. 3. 시판 목단근피중의 총질소 평균 함량은 1.03%, 인산은 0.55%, 가리는 0.82%, 칼슘 함량은 1.50% 이었다. 4. 시판 목단근피중의 MgO는 0.21%, Fe는 325.83ppm, Cr은 1.82ppm, Cu는 3.73ppm, Zn은 18.93ppm, Mn은 21.27ppm 이었으며 인체의 잔류량 때문에 문제시 되고 었는 Hg는 각지방 별로 수집된 생약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5. 목단근피 생약중의 평균 Cd 함량은 0.25ppm였으며 Pb함량은 3.09ppm이었고 특히 생약 중 잔류량 문제로 심각한 Cd 및 Pb 함량으로 보아 국내산 시판용 목단근피로써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6. 국내산 목단근피는 재배기술 및 가공조제 방법에 따라 유효성분 및 무기성분들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향후 더 많은 연구검토가 요청 된다고 하겠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