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21.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동규는 1958년, 󰡔현대문학󰡕을 통해 문단에 나온 이래 쉬지 않고 창작을 이어온 시인이다. 오랜 기간 시를 써온 만큼 그의 시적 여정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왔고, 그런 만큼 비평적, 학술적 접근 또한 적지 않았다. 청년의 감성을 노래하다 사회 비판 의식이 고조되기도 하였고, 죽음의 문제를 고민하던 시기를 거쳐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시화하는 시기로 이어진다는 것이, 그의 시적 여정에 대해 대략적인 정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오랜 기간 시작을 이어오며 새로운 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는데 여기에 중요하게 작용한 것이 다른 예술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이다. 그 가운데서 음악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특히 더 강하였 는데 이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그의 시에 나타나는 음악이 지니는 의미가 어떤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 황동규에 대한 비평과 연구 가운데 이러한 관점의 접근 거의 없었던 까닭에 이 논문의 기획이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은 기존의 비평과 연구가 밝힌 것을 참조하면서도 황동규 시에 나타나는 음악의 문제에 대해 집중하여 논의하였다. 그가 산문에서 자주 밝히는 대로 음악이 그의 삶에서 중대한 영향을 끼친 데다 최근에는 음악 작품을 시의 표면에 드러내는 경우가 잦은 까닭에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은 황동규 시학의 정체를 밝히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더구나 그의 문학이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데 음악과 같은 인접 예술을 접하는 것이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까닭에 이러한 접근은 유용한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황동규의 시 가운데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를 다룬 시들을 중점적으로 살피며 이 음악이 지니는 의미를, 음악학적 분석을 경유하여 탐구하는 과정을 거쳐 황동규의 작품이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폈다. 베토벤과 슈베르트가 그들의 생의 만년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는 모두 삶과 예술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탄생한 곡들로, 이 곡들은 변주와 반복을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한다. 이 곡들이 걸작으로 이야기되는 것은 아름다운 선율 덕분이기도 하지 만 동시에 이 곡들이 지닌 특기할 만한 변주와 반복의 형식 덕분이기도 하다. 변주와 반복은 기존의 선율에 변형을 가하며 새로운 선율을 만드는 방법이거니와 이러한 특성은 삶과 예술에 대해 새로운 통찰과 깨침 을 제공한다. 황동규는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음악을 시에 담으며 이러한 것들을 문학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던바, 이러한 인접 예술의 형식을 차용하고 거기서 새로운 상상력의 감화를 받으며 자신의 시를 새로 이 하며 시적 여정에 중요한 원기를 얻었다고 할 수 있겠다.
        5,700원
        2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호텍스트성 동화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학이론에서 현대적 개념으로 적용되고 있는 열 린 텍스트관점을 적용하는 것은 동화를 읽어간다는 의미보다 독자가 동 화의 주인공과 만나는 것이다. 또한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독자와 책의 만남을 친밀하게 지속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과정에 서 독자는 새로운 삶의 세계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그 발견된 것에 대 해서 깊이 성찰하는 활동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260여 개의 언어로 번역되고 전 세계 1억 부 이상 판매되며 현재까지도 많은 독자들의 사랑 을 받고 있는 생텍쥐페리의 대표작인 『어린 왕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상호텍스트성으로 분석한 결과, 『어린 왕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 둘째, 어 른과 어린이가 살아가는 세상이 다르다는 것, 셋째, 세상은 보이는 세상 과 보이지 않는 세상이 있다는 것, 넷째, 어린이를 어른의 세계관으로 대 하면 안 된다는 것, 다섯째, 어른과 어린이는 함께 성장하는 상호텍스트 성 관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화활동의 유아교육적 의 미와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9,600원
        23.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transform old words into new words is a very efficient mode of word derivation in contemporary Chinese, which mainly involves the transformation of word form and the transformation of meaning.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old words language users have created a lot of new words that are very novel in form or mean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s in terms of sound, shape and meaning or the structural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lists more than 130 new appellations including sound-based words, form-based words, meaning-based words and words produc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names the ways how old words transform into new words as JieYinFuXing, XieYinFuYi, BieJieFuYi, FanBeiFuYi, GaiZiBianXing and describ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se words. These lexical phenomenons reflect some language psychology such as pursuing new differences, playing jokes and mental association. They have some impacts on the lexical system of contemporary Chinese as they open up new ways for the generation and change of contemporary Chinese words, they supplement the word-making methods and lead to some unconventional combinations in contemporary Chinese lexis. This paper intends to further clarify the important role of Chinese characters in word creation and word development,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study and contemporary Chinese lexicology.
        5,800원
        2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사회에 웰다잉(well-dying) 담론 확산은 연명의료결정제도 시행 이후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다. 인구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장기요양이나 돌봄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노인의 의료비 부담과 같은 사회적 이슈와 생애 말 삶의 질이라는 개인적 이슈들이 결합 되면서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에 관한 논의는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생애 말기를 보내고 있는 환자들의 웰다잉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요양병원 종사자 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들의 죽음 인식과 그들이 경험한 환자와 환자 가족들 의 웰다잉 경험을 듣는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4개의 대주제와 그에 따른 11개 하위 주제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주제로는 요양 병원 종사자의 관점으로 본 웰다잉의 의미, 제도적으로 웰다잉이 적용되기 힘든 요양병원의 현실, 웰다잉에 대한 종사자들의 바람, 그리고 요양병원과 웰다잉, 공존을 위한 방법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의 웰다잉에 관한 논의와 요양병원에서의 웰다잉을 위한 몇 가지 방안 제시를 시도하였다.
        6,300원
        25.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llows learners to gain vocabulary autonomously. This study presents data from a self-report surve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mparing meaning discovery strategies they employ to comprehend unknown singleword items and unknown idioms. Survey data recorded strategies used by learners, and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measured by rates of correct meaning discovery. The survey revealed that learners relied on context clues, dictionaries, and vocabulary analysis for both idioms and single word vocabulary items with equal effectiveness. Dictionary use wa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correct meaning discovery for both types of vocabulary, although context clues might be a positive factor for idioms but not for single-word items. Data also showed that learners tended to apply strategies methodically rather than heuristically but that methodical application did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higher rates of correct meaning discovery. Implications for learners and path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5,400원
        26.
        202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년기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예비노인세대는 중년기에서 노년기의 전환과정에 있는 연령집단으로 개인과 가족의 문제, 급변하는 사회구조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겪게 되는 죽음불안의 영향으로 삶의 희 망에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동안 영성과 삶의 의미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삶에 대한 불안의 기초가 되는 죽음불안으로부터 예비노인세대를 보호해주는 주요요인으로 밝혀져 왔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일본어로 출간된 후 영어, 독일어, 한국 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인들에게 책으로부터 선구자로부터 삶과 죽음을 둘러싼 다양한 만남을 통해 영성과 삶의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 하게 한 『잘 살고 잘 웃고 좋은 죽음과 만나다』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영성과 삶의 의미는 예비노인세대의 삶의 희망을 위협하는 죽음불안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노인세대의 영성과 삶의 의미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6,300원
        27.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Western Zhou dynasty in China, the word 聖人began to have a special meaning, entered various social fields such as literature and history and medicine, and gradually integrated into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s an important symbo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ulture, 聖人 shows a basic category of the core concept and value system of traditional Chinese medical classics represented by the book of Huangdi Neijing(also named The Inner Canon of Huangdi) in the pre-Qin and Han dynasties. In Huangdi Neijing which is the foundation work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聖人is not only a man with perfect personality under the traditional Chinese moral and ethical concepts, but also a regimen practitioner and a master of universe laws and the best mod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ook Huangdi Neijing, this paper uses the knowledge of Chinese philology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ulture to trace the origin meaning of the Chinese word 聖人 from the perspective of genesis, and examines the semantic evolution of 聖人 and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nation and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5,700원
        2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설 󰡔완득이󰡕를 통해 장애인,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족 등 한국사회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 는 사회적 조건들을 가진 완득이네 가족이 정체성을 회복하면서 사회로 나오는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장애 인 아버지, 결혼이주여성인 베트남 어머니, 혼혈아(본인) 등의 이유로 완득이는 친한 친구도 없이 심리적으 로 혼자 숨어 지내고 있다. 이러한 완득이를 담임인 이동주 선생이 수시로 이름을 불러 밖으로 나오게 만든 다. 완득이의 가정이 완전체를 향해 가는 과정은 완득이가 먹는 음식을 통해 나타난다. 완득이가 평소 주식 처럼 먹었던 라면과 즉석밥은 공장에서 만들어진 간편식으로, 불완전한 식사인 동시에 완득이의 불완전한 가족 상태를 의미한다. 담임의 주선으로 어머니를 만나게 되고, 그 후 어머니가 해준 반찬도시락은 절반의 완전함이었다. 어머니와 아버지가 해후한 후 이웃과 함께 폐닭 백숙을 먹으면서 완전한 가족의 모습을 구현 한다. 폐닭 백숙은 아버지의 인생을 상징하는 한편, 온 가족이 함께 먹는 첫 번째 식사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 자리에서 완득이가 ‘어머니’라고 공개적으로 말함으로써 완득이의 가족은 완전체가 된다. 또한 완득이는 적성에 맞는 킥복싱을 배우며 타인과 소통하고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한다. 이같은 논의들을 통해 본 연구는 소설 󰡔완득이󰡕가 우리사회의 주변부 인물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탐색하는 작품임을 보여주었다.
        6,600원
        2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글은 황해도굿에 등장하는 무복과 무구인 오방신장기의 연 원과 향방을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 뿐만 아니라 한국의 무속 에서는 오방색은 감각적 측면의 표현보다는 주술적, 종교적 의 미로 오방색을 받아들이고 활용하여 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특히 적색은 복을 기원하는 가장 기본적인 색으로 다양하게 활 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남색 역시 벽사의 힘을 가졌다 믿는 장군·신장의 무복에서 많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무속에 나타나는 오방색은 중국의 경극에서도 나타나는데, 무복과 경극의 의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무복과 오방신장기에서 나타난 오방색은 <오제설>에서 비롯된 것이며 오방신장기는 방위의 의미와 함께 신장이라는 신령과 결합하여 다양하게 활 용되고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을 밝 혔으며, 오방색으로 구성된 무복이 가지는 미의식을 색채관으 로 서술하였다.
        8,300원
        3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는 해안지역의 바위언덕을 중심으로 윷판암각화가 산재해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윷판암각화의 위치와 형태상의 특징에 의거해서 놀이용이 아니라, 밤하늘에 뜬 달의 모양과 위치로 하루의 시간을 알려주는 달 시계의 역할을 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달의 변화를 주기로 한달간의 날짜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리와 조금의 날짜를 알려주는 캘린더의 역할을 했으 니, 이는 농경사회 이전의 어로(漁撈)사회에서의 시계/달력 역 할을 수행한 일종의 천문의기(天文儀器)였음을 논증했다. 그리 고 윷판암각화의 사분원(四分圓)을 시공간에 적용하므로써 동 서남북과 춘하추동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삶의 주기를 규정하 는 기준으로 삼았을 가능성을 분석해보았다. 윷판암각화는 고대 한반도에서 일어나 아메리카 대륙에 까지 영향을 미친 고대문명의 자취이자, 그 이후에도 한국인의 우주 론·세계관과 인생관 그리고 생활습속 등에 걸쳐서 달중심의 문 화를 형성하는 바탕이 되었다고 본다.
        8,400원
        3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thing, as a signsystem, implies many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different circumstances. Korean fashion designers’ designs also imply various mean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xplo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Greimas’ Semiotic Square. As sublimi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modern fashion design, this study discusses the in-depth aesthetic meaning innated in Korean fashion design through the semiotic square proposed by Greimas. To fulfill this goal, Korean fashion designers were sought after on the internet; consequently, four Korean designers became subjects for the analysis. Their collec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redefined criteria adopted and modified from previous studies. Sublimity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Greimas’ and Floch’s semiotic squares for further interpretation.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ublimity, which is typically found in Korean fashion designs, varies depending on different points of view. In terms of culture, this study discovered a relationship of contrariety between sublimity and beauty. This finding opposes the theory of Greimas’ semiotic square, in which sublimity stands as a contradictory of the technician. According to the culture industry theory, suggested by Held, the technician is an implication of sublimity. Through a technician, sublimity may pose as a complementarity or implication of beauty. Finally, sublimity might substitute beauty as well; furthermore, it constitutes practical valorization in the semiotic square of Floch. Moreover, the artist present as a ludic valorization stands as a contradictory, while art, serving as a utopian valorization, enacts as a contrary.
        4,600원
        3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troduced the Agrifood Voucher in 2020. The Agrifood Voucher is the program that provides vouchers to purchase selected food items with dietary management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value and meaning of dietary management based on the Agrifood Voucher. First, the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Agrifood Voucher of Korea were reviewed. Second, various terms used for describing the purpose of food assistance programs were comparatively reviewed and ‘food and nutrition security’,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Korean term, was propos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term for the purpose. Subsequently, the value and meaning of dietary management based on the Agrifood Voucher were presented as enhancing food and nutrition security of the vulnerable. Divers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the dietary management capacity of the Agrifood Voucher recipients in order to properly realize the meaning and value of dietary management based on the Agrifood Voucher in the future.
        4,000원
        3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당대 시인이 시각적 이미지를 접하는 수단, 즉 ‘보다’의 의미를 나타내 는 시어 중에서 ‘뒤돌다’라는 특별한 의미소를 지닌 ‘顧’라는 시어를 집중적으로 분석 했다. 뒤를 돌아보는 행위의 대상은 당시에서 주로 시인 자신, 자신을 알아봐주는 지 기, 본인을 등용할 수 있는 집권자, 자신을 상징하는 그림자, 과거와 역사, 자신의 고 향 혹은 꿈을 이룰 수 있는 도성 등이 있다. 이 대상들은 모두 ‘자신’이란 개념과 관 련이 있었고, 시인이 시 안에 담은 ‘자신’의 정서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대상들을 뒤돌아보았을 때 ‘顧’가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지 고찰했다. 또한, ‘뒤’ 또는 ‘후방’이라는 ‘顧’의 의미소가 나타내는 부정적인 뉘앙스와 개념적 은유에 입각하여 ‘顧’의 의미가 시인의 감정 및 사상과 정확히 어떠한 관계가 있고, ‘顧’자가 어째서 시인의 처지와 정서를 드러내는 데 최적화되어 있는지 문학적 각도에서 연구 했다.
        6,700원
        34.
        2022.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시작된 한류 문화의 현상, 단계적 성장 과정, 유행과 쇠퇴요인, 한류 문화와 ‘파친코’ 드라마를 통 해 본 한일 역사논쟁 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한류 붐의 요인은 서울올림픽, 일본 대중문화개방과 한일 공동선언,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 ‘겨울연가’의 인기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둘째, 일본에서 한류의 단계적 성장은 한류 영화, 한류드라마, K-POP 순서로 발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에서 K-POP 가수의 유형은 ‘한류드라마 유형’, ‘한일 동시 활동형’, ‘기타 유 형’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일본에서 한류 붐의 유행과 쇠퇴에 관해 기존 연구는 영토문제와 역사문제 등 정치적 요인들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류 문화가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나 넷플릭스를 통해 다 양한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K-문화와 ‘파친코’ 드라마의 의미는 한류 문화와 재일동포의 디아스포라적 서사가 결합된 작품이라는 점을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 내 한류, 즉 K-콘 텐츠라고 할 수 있는 K-영화, K-드라마, K-POP는 일본 청년층 수용자 들을 대상으로 한류에 의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태도 를 호의적인 태도로 바꾸는 모멘텀 역할을 해 왔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35.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중국 강소성 소주 운암사 탑과 서광사 탑, 그리고 절강성 금화 만불탑 안에서 발견된 소형 금동불상의 종류와 상태, 그리고 상들이 탑 내 봉안된 의미를 탐색한 글이다. 오대~북송 초, 즉 10세기 후반~11세기 중엽에 조성된 세 탑 안에서는 탑의 제3층 탑신부 혹은 탑 아래에 조성된 석실에서 각기 6구, 9구, 그리고 60여 구의 금동불이 수습되었다. 이 시기 불탑 안에 소형 불상이 안치되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안치된 상의 성격이나 그 의미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은 상의 상태와 제작 시기 를 조사하여 대체로 이들은 탑보다 적게는 50년, 많게는 500여 년 앞서 제작되었으며, 광배 가 결실되거나 상의 일부가 파손된 채 안치된 것이 많음을 확인했다. 파손된 옛 불상을 탑 안에 넣은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唐宋전환기라 불리는 이 시기 두드러지게 보이는 佛事의 신경향을 주목했다. 개인적인 발원을 담은 소형 불상의 제작이 감소함과 동시에 불상이나 탑내 다양한 공양물을 넣는 불사가 크게 유행했으며, 파손되었을 뿐 아니라 제작된 지 오래되 어 발원의 의미가 희미해진 옛 불상을 매장한 관습이 그것이다. 파손된 불상을 수리하여 사 찰의 경내에 보관하거나 소형 금동불을 불전에 진열해 놓았던 唐 이전의 관습 대신 오래된 상들을 매장하는 것이 당시 중국 각지에서 유행했는데, 江浙 지역에서는 그러한 불교 교장 을 조성하는 대신 탑이라는 공간 안에 옛 금동불을 모아 넣었을 것으로 보았다.
        7,000원
        3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conceptual spaces of the diachronic semantic evolution of “gen” are constructed through the diachronic literature surveys, then the cross-dialect/language semantic maps are drawn as a tool to examine the rationality of the diachronic evolution. “Gen (跟)” is an action verb with the meaning of “following (跟隨)”, in Chinese history the dominant words with the semantic field of “following” have experienced the diachronic evolution of “cong (從)”, “sui (隨)” and “gen (跟)”. The development of these three words not only follows the law of parallel grammaticalization, but also each has its own feature. From the comparison diachronic and cross-dialect /language semantic map of the “following (跟隨)” meaning, it can be seen that, non-cognate words with family characteristics may also have the same semantic evolution. Some phenomena in the synchronic regional semantic maps that violate the “semantic map connectivity hypothesis”, may not be due to the complet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two nodes, but due to the choice of semantics of a specific symbolic form in the diachronic development.
        7,000원
        3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인지 감수성을 비롯하여 인권 감수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의 변화에 맞게 최근 대학 내 인권 업무를 전담하는 인권기구의 도입이 법제화되었다. 학내 인권센터의 설치 및 운영이 대학의 의무가 된 것이 다. 하지만 대학 인권센터가 법에 따른 형식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인권 전담 기구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객관적·중립적인 인권침해 사건 처리와 관련하여 조직 상의 독립성과 함께 운영상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나아가 조직이 신설되는 만큼 이에 대한 적절한 예산 지원과 인력의 충원 역시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학내 다른 유사 기구, 대표적으로 양성평등상담소와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업무의 중복과 분절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인권센터 설치·운영 의무의 불이행에 대한 벌칙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 인권센터 법제화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인권센터에 관한 사항을 국가 재정지원 사업의 평가 항목으로 편성하거나 대학 알리미 사이트의 공시 항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해 볼 수 있다.
        6,400원
        3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사찰에는 전통이 오래되었든 그렇지 않든 경판이나 책자가 전 해지고 있으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책자의 하나가 경중왕(經中王)으로 신앙 되는 『법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법화경』의 ‘수지(受持)ㆍ독송(讀 經)ㆍ송경(誦經)ㆍ해설(解說)ㆍ서사(書寫)의 오종법사(五種法事) 사상은 불 교의 전통 의례 문화를 산출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수지하여 독송하고 송 경하며 해설하고 서사하는 신앙 문화는 한국불교의 법석의례(法席儀禮)로 서 17세기 중엽을 지나면서 영산작법(靈山作法)→영산재(靈山齋)라는 독 특한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무형문화로 발전하였다. 영산재는 망자의 칠칠재(七七齋)를 위해 『법화경』을 독송하고 명부의 시왕(十王)에게 권공하는 의례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혼령을 모시 는 시련(侍輦)의식, 혼령을 맞이하여 법문하는 대령(對靈)의식, 혼령을 목 욕하는 관욕(灌浴)의식, 저승돈을 만드는 조전(造錢)의식, 옹호도량(擁護 道場)를 청하는 신중작법(神衆作法)의식, 괘불탱화를 모시는 괘불이운(掛 佛移運)의식, 영산작법의식, 재승(齋僧)의 식당작법(食堂作法)의식, 명부권 공(冥府勸供)의식, 혼령에게 제사를 올리는 관음시식(觀音施食)을, 끝으로 봉송(奉送)의식 순서로 진행된다. 영산재에는 전통의 소리인 범패와 신업 공양(身業供養)이라는 작법무(作法舞)가 동반된다. 한국의 사찰에 『법화경』이 소장 전승되고 있다고 하는 것은 오종법사 를 봉행하고, 아울러 세계 인류의 無形遺産인 영산재와 같은 전통의 불 교문화를 설행(設行)하기 위해서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7,800원
        39.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19세기 수많은 작곡가에 의해 완성된 ≪들장미≫ 노래가 독일정원의 장미꽃 문화와 무관하지 않음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어 19세기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본 독일정원의 장미 꽃 문화로 탄생된 ≪들장미≫ 노래와 그 의미를 새롭게 주목하고자 한다. 괴테의 들장미 시는 1770년경에 작시 되지만 19세기 들어 장미꽃-붐과 함께 독일어권의 많은 작곡가에 의해 ≪들장미≫ 노래로 작곡된다. 그리고 괴테의 시를 가사로 한 ≪들장미≫ 노래는 19세기 독일정원 특히 장미원에서 소통력을 더욱 발휘했던 문화적 소리였음을 알아차리게 했고 동시에 시청각적 정서활동을 지원하는 매개체로 작용했다. 이는 당시 자연을 배경으로 한 시민들 의 생활음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음악사에서 19세기 독일정원의 장미꽃 문화로 탄생된 ≪들장 미≫ 노래와 그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논문투고일자
        6,700원
        4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where overall development has not been made, it is not difficult to observe the asp ect of the urban change process over time accumulated. Seochon(西村),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13 legal dong s in the west of Gyeongbokgung Palace, is also considered a representative historical village with high value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scape because of historical context remains throughout the lot. Therefore, research ex amining the process of changing parcels in this area is useful for a more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ce of several layers of time.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time of each road, the river co ver process, and the current building establishment process is examined using maps after the pre-modern period and modern era. In addition, to examine the specific change process of individual lots using the old land register, building management ledger and cadastral map.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