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germination, nutrient concentrations and growth of spinach and radish. Both the spinach and radish seeds exhibited relatively higher germination rates in response to the low doses of gamma
        4,000원
        2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토마토 양액재배에서 펄라이트 배지를 순환식 재배방법에 적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펄라이트 배지의 입자를 소립(ø1∼2mm 미만), 중립(ø2∼3mm), 대립(ø4∼5 mm)으로 분리하여 양액공급량에 따른 토마토의 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제 3화방 개화(초기생육)시 초장은 중립과 대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길었으나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에 관계없이 길어 초기에 생육관리는 대립일수록 1일 양액공급량이 많아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제 3화방 개화기 이후는 소립에서는 주당 1일 공급량을 1.5L로, 그리고 중립과 대립에서는 주당 1일 3.0L로 관리하는 것이 착과수가 많고 수량이 높았다 기형과율은 펄라이트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적었다. 근활력은 정식 후 50일까지는 입자크기 및 양액공급량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나, 50일 이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정식 후 100일에는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중립과 대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컸다. 소립에서는 앙액공급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무기성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중립과 대립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N. K. Ca및 Mg의 함량은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1일 3.0L/주 처리구에서 가장 적었으나 대립과 중립에서는 1일 3.0L/주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마토 순환식 양액재배시 펄라이트 입자는 중립과 대립의 사용이 유리하고 양액공급량은 주당 1일 3.0L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4,000원
        23.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
        4,000원
        2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인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지와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 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 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 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연관된 퇴비(I보), 석회 (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보(II)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석회구, 2) 석회 보비구(27g), 3) 석회
        4,000원
        2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명(송정통)을 갖는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 토양과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필수적인 퇴비(I보), 석회(II보) 및 인신(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퇴비구, 2) 퇴비시용구(1,200kg/10a기준)를 처
        4,000원
        28.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개간 산지초지의 정착, 목초의 수량제고 및 품질향상 등에 미치는 초지조성비 비종별 시비효과를 구명하고, 초지조성 및 유지관리에 비효가 높은 적합한 비료를 선택하고자 미개간 산지토양을 공시한 pot 시험으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된 초지 조성비 3요소 비료처리구는 1) 무비구, 2) 요소-중과석-염가, 3) 요소-용성인비-염가 및 4) 3종 복비로 하였다. 본보에서는 무기양분 및 일반성분의 함량 및 양분수량(탈취량)을 검토하였다. 1. 무기양분의
        4,000원
        2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997 to October, 1998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mented saw-dust pig manure (FSP) application on the herbage production on a mixed pasture in the Cheju brown volcanic ash soil. Split plo
        4,000원
        3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ind out the residual effect of phosphate fertilization on botanical composition, mineral contents and mineral nutrient deprivation of pasture plants, this experiment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ix treatments(0-0, 50-50, 10
        4,000원
        3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relations of soil and leaf nutrients and growth of young ‘Enterprise’ apple (Malus × domestica Borkh.) trees were analyzed with tree damage, such as Japanese beetle (JB; Popillia japonica Newman)-damaged leaves, vole damage to trunk, tree mortality, and weed density in a certified organic orchard in warm and humid environment of Southern USA. Interaction treatments of four mulch and three fertilizers were applied around trees as follows: mow-and-blow (MB), shredded paper (SP), wood chips (WC), and green compost (GC) as a mulch, with no fertilizer (NF), poultry litter (PL), and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 (CF) as a fertilizer applied in April. Vole damage to trunk and weed density were little correlated with mineral nutrients and tree growth. JB-damaged leaves were highly stimulated to 26.5% in GC-treated plots while tree mortality were increased by MB treatments. Biomass production per tree was approximately 3,700 g on the WC- and GC-treated plots, which was two times higher than those values observed on the other two mulch plots. JB-damaged leaves tended to get worse when nutrients in soil and leaf increas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r2 = 0.585) observed between JB-damaged leaves and trunk cross sectional area, a vegetative indicator. Tree mortality was mo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of trees than those of soil nutrients. Wood chips was considered for a local organic mulch materials to increase organic matter contents and to produce healthy young trees in Southern USA, with control insect, such as beetle, and vole density in an orchard habitat.
        35.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천일염 생산 대표지역의 갯벌천일염 15종과 외국산 소금 38종에 대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금속 함량 및 phthalate 화합물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였다. MSS에서 DEHP는 9.00~669.89 ppb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FS는 FSS 5종(3,440.64, 3,266.56, 2,189.65, 4,010.69, 4,554.20 ppb)과 FLSS 1종(1,983.27 ppb)에서 DEHP 용출규격 1.5 ppm이하를 초과하는 높은 수준이 검출되었으며, FSS 2종(930.15, 1,310.07 ppb), FLSS 1종(924.92 ppb)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이 검출되었다. 그 외의 phthalate 화합물에서는 MSS와 FS 모두에서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검출되지 않았다. Na 이온은 MSS(363,633.98 ppm)에 비해 FS(407,345.87~426,612.14 ppm)에서 높은 수준(p<0.05)이었으며, Mg(p<0.01), K(p<0.05), Ca 이온(p<0.05)은 FRS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FSS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l 이온의 경우 MSS(532,727.07 ppm)에서 가장 낮은 함량(p<0.001)을 나타낸 반면, Br 이온(625.07 ppm)은 가장 높은 함량(p<0.001)을 나타내었으며 SO4 이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SS에서 Mn 함량이 높았으며, Al과 Fe의 함량은 FLSS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MSS와 FS의 중금속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용소금에 대한 중금속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아 소금을 통한 중금속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37.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s typical of a enormous biomass of marine zooplankton that could provide good nutrition in human bo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utrition of krill, a live in Antarctic Ocean. The analysis result of fatty acids of krill meal was as follow.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were saturated fatty (SFA) acid 41.41%,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21.69%,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36.89%, and p/s ratio was 0.89. The major fatty acids in all parts were eicosapentaenoic acid (EPA, 21.54%), palmitic acid (27.51%), oleic acid (13.35%)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12.42%). Especially, EPA and DHA were occupied 33.96%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e mineral contents of krill meal were calcium 24477.21 mg kg-1, sodium 14728.69 mg kg-1, magnesium 6973.49 mg kg-1, potassium 3981.67 mg kg-1, iron 395.33 mg kg-1 and manganese 5.74 mg kg-1. The contents of major vitamin were retinol 86717.37 μg RE, β-carotene 44.87 μg RE, tocopherol 2.60 mg, pantothenic acid 1.61 mg, indicating that krill meal contains large amount of retinol and β-carotene.
        3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in relation to early growth and inorganic elements i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Chung Chi Ma’). In morphological changes of leaves, shoot elongation and hypocotyl length showed poor growth in red light irradiation, while the red+blue light irradiation induced shorter plant height and much greater leaf numbers resulting in increased fresh weight. In change of the Hunter's color and SPAD values, lettuce seedlings grown under in red+blue and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had a higher a* value, otherwise SPAD values were not changed in these light irradiations. Interestingly, relative chlorophyll contents showed 1.8 times increased redness in the treatment of red+blue light irradiation. Inorganic element (N, Ca, Mg, Mn, and Fe) and ascorb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in lettuce plants grown under LEDs light irradiation compared to those of lettuce grown under the fluorescent light which showed higher P and Mn content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red+blue light irradiation which stimulates growth and higher nutrient uptake in leaf lettuce could be employed in containers equipped with LEDs.
        39.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2종 천일염 시료의 성분 분석을 비교한 결과, 식염함량은 국내산 장판염이 85.1%, 국내산 토판염이 89.3%, 수입산 천일염이 91.3%로 나타났다. 국내산 장판염의 불용성분은 0.0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장판염의 Na 함량은 수입산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난 반면 Mg, K 함량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게랑드 소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인체에 꼭 필요한 무
        40.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ushroom Agrocybe chaxingu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this potential food. The moisture content was 88.9% in the fruiting body of A. chaxingu, and the proportions of ash, crude fiber,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0.9%, 1.4%, 7.2%, 2.5% and 0.4% by weight, respectively. A. chaxingu contained 1.29 mg/100 g edible weight of vitamin , and the contents of vitamin , vitamin , and vitamin C were 0.15 mg, 0.32 mg, and 18.4 mg per 100 g of wet mushroom. Potassium (3,318 mg/100 g, dry basis) was foun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A. chaxingu. In addition, the mushroom contained many other minerals (all figures are mg per 100 g of dried mushroom) such as phosphorus (909.7), magnesium (141.3), sodium (12.7), zinc (7.4), iron (6.5), copper (2.8), manganese (0.8), and nickel (0.1). The results indicate that A. chaxingu is a valuable nutrient sourc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