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2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 가지 도자기 분화 식물의 관상 위치에 따른 생장 반응 을 알아보기 위해 호랑가시나무 (Ilex cornuta Lindl.), 백자단 (Cotoneaster dammeri), 무늬산호수(Ardisia pusilla ‘Variegata’) 및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Sw.)을 수태로 도자기분에 심어 재배온실, 실내의 밝은 쪽, 중간 쪽, 어두운 쪽에서 3개월 간 처리한 후에 식물의 생존율 및 생육 조사를 하였다. 실내위 치에 따른 호랑가시나무의 생존율은 온실이 100%, 실내 밝은 쪽은 80%, 중간은 60%, 어두운 쪽은 60%이었다. 석곡은 호랑 가시나무와 비슷한 생존율을 보였고, 무늬산호수의 생존율은 모든 처리에서 100%이었다. 하지만 백자단은 온실에서 75%, 실내 밝은 쪽은 50%, 중간은 25%, 어두운 쪽은 25%이었다. 호 랑가시나무의 처리기간내의 초장 생장율은 온실이 31.1%, 실 내의 밝은 쪽은 27.3%, 중간 쪽은 27.3%, 어두운 쪽은 4.4%이 었고, 백자단, 무늬산호수 및 석곡의 초장 생장율도 호랑가시 나무와 유사한 경향으로 광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한편 호랑가시나무의 엽수 증가율 또한 초장 생장율과 비례하여 온 실이 7.5%, 실내 밝은 쪽은 7.2%, 중간 쪽은 6.1% 그리고 어 두운 쪽은 2.7%로 나타났고, 백자단, 무늬산호수 및 석곡의 엽 수 생장율도 호랑가시와 유사한 경향으로 광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도자기 분화 식물을 실내에서 오랫동안 관상하기 위해서는 햇볕이 가장 잘 드는 실내 밝은 쪽에서 관 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00원
        2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purpose of selecting succulents that are capable of retaining their ornamental value under lower light levels of indoor spac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locations within an apartment balcony (0.0 m and 1.6 m from t he w indow) and u nder d iffering l ight intensities (13.5 μmol・m-2 ・s-1 and 96.4 μmol・m-2 ・s-1). Ninety-seven species of succulents from 23 genera were selected as experiment material, based on the criteria of propagation ease and affordable price. As a result, 37 species were selected as suitable for indoor decoration and consisted of 27 species (Echeveria macdougallii, E. 'Momotaro', E. 'Fun Queen', E. derenbergii, E. 'Pulv-oliver', E. multicaulis, E. lilacina, Crassula 'Buddhas Temple', C. mesembryanthemoides, C. ‘Moonglow’, C. ovata, C. ovata 'Gollum', C. ovata 'Tricolor', Aeonium arboreum 'Atropurpureum', A.sedifolium × A. spathulatum, A. sedifolium, Graptoveria 'Albert Baynes', × Graptoveria 'Silver Star', Pachyphytum oviferum, P. oviferum 'Momobijin', Sedum clavatum, S. morganianum, Sinocrassula yunnanensis, S. densirosulata, Kalanchoe tetraphylla, Cotyledon tomentosa, Adromischus cooperi) from Crassulaceae, 6 species (Haworthia fasciata, H. retusa, H. turgida var. longibracteata, Aloe perfoliata, A. juvenna, Gasteria gracilis) from Asphodelaceae, 2 species (Corpuscularia lehmannii, Faucaria bosscheana) from Aizoaceae, 1 species (Peperomia graveolens) from Piperaceae, a nd 1 s pecies (Sansevieria trifasciata ‘Hahnii’) from Asparagaceae. The majority (67.6% of the selected species) of the selected species had overwintering temperature of 0 – 5°C and while most of the selected species had fibrous roots, all species with thick roots were selected as suitable. Of the selected species, 78.3% had a growth rate of moderate level or faster, and 56.8% were summer growing type. Sixty species were found to be unsuitable, and included 5 genera from Crassulaceae (× Pachyveria, × Sedeveria, Graptopetalum, Orostachys, Monanthes) and o ne g enus f rom Asteraceae (Senecio).
        4,000원
        2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anded greenhouse thrips, Hercinothrips femoralis (Reuter, 1891) (Thysanoptera: Thripidae: Panchaetothripinae), has been reported as a pest on many kinds of crops such as banana, sugar beet, eggplant, green pepper, and greenhouse ornamentals. Originally from the African continent, the species has expanded its distribution worldwide, including North and Central America, Europe, Asia, and Australia. In our country it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by Woo in 1973, with six females from Jeju island, but after that there was no subsequent report about occurrence and damage until present. Recently, it was rediscovered in private homes, severely damaging to ornamental plants, angel’s trumpet (Brugmansia suaveolens) and ivy (Hedera helix) in Gyeonggi-do and Jeollabuk-do. For identification and future management of this exotic pest, represen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lready known biological informations are provided.
        2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examined a task to foster into the export industry, through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namental fish industry and identifying the position of Korea’s ornamental industry in the world. Ornamental fish in Korea holds the world’s leading aquaculture technology, but products are limited to a few species, lacking competitive products. In the case of aquarium supplies, the Korean technology level is receiving relatively positive marks in the global market, but ornamental fish products are lagging behind the global trend. In other words, Korea’s ornamental fish industry has the overall technical foundation, but lacks differentiation in the global market. Meanwhile, Korea’s market share of world trade market in fishery products is minimal. Growth was also analyzed not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Various trade competitiveness index results rated very low in competitiveness, but it is hard to compare Korea with other countries which have already built a strong foundation in the ornamental fish industry. Therefore, for the mid to long term Korea should adapt a“Choice and concentration”strategy and focus on the production of ornamental fish and aquarium supplies, which will enable Korea to become differentiated in the global market and capture the world exports.
        4,600원
        2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식물공장 및 친환경적 농업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화훼생산에서도 환경측정센서를 이용한자동제어시스템 관련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은 고품질 화훼류의 생산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재배방법으로 현재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원예 생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 측정센서 종류로는 토양수분장력계, 석고블록, 중성자수분 측정기와 유전상수측정기 등이 있으나, 현재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토양수분센서는 FDR(frequency domainreflectometry) 방식으로서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면 고품질의 화훼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토양수분함량 기준을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식물생육환경에 대한 연구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화훼생산을 하게 되면 관수량을 절약할 뿐 아니라, 비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병충해를 줄이며, 고품질의 화훼작물을 생산해내며, 균일한 생장을 통해 생육시기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통해 농가에서는 고품질의 화훼작물을 생력적으로 생산해낼 수 있으며, 소득을 증대시키고, 환경오염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양수분센서를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에 대한 개요, 제작 방법 및 실제활용에 대해서 논하였다.
        4,000원
        29.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Ardisia crenata Sims. recently has been used increasingly as an ornamental plant, It is endangered in natural forest. The optimum treatments of the various concentrations priming agents to improve seed viability and germination of A. crenata (ornamental plant) were also estimated. Germinability was significantly when the seeds of A. crenata was soaked in PEG solution at 15oC for 4 days, the optimum treatment for improving germination of A. crenata was observed when the tested seeds was soaked in −0.5 MPa of PEG solution in 92%. Overall results would be useful means for propagation and production of A. crenata.
        4,000원
        3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에서 재배되는 수입 드라세나묘목 및 게발선인장에서 채집된 뿌리깍지벌레 2종 Ripersiella multiporifera Jansen 및 Rhizoecus albidus Goux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들은 수입된 식물을 통해 온실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 추가적인 유입과 정착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종의 진단형질, 사진자료, 기주 및 분포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31.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ethod for rapid micropropagation of Ophiopogon japonicus through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rhizome and root explants derived calli has been developed. Leaf, rhizome and root segments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2,4-D, NAA, IAA; 0~3.0 mg/ L) for callus induction. Callus production was highest at 1.0 mg/L 2,4-D where 91%. These calli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2,4-D (0, 0.5, 1.0, 3.0 mg/L) in combination with 6-benzyladenine (BA: 0, 0.5, 1.0 and 3.0 mg/L) for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The addition of low concentration of 2,4-D into BA containing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shoot regeneration in both leaf, rhizome and root derived calli. The highest frequency of adventitious shoot (88%) formation wa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2,4-D and 1.0 mg/L BA. For rooting of the shoots,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2,4-D, IBA, NAA) 0, 0.1, 1.0, 3.0 mg/L was tried. The optimal results was observed on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0 mg/L NAA (average of 42.9 roots per explant). In vitro raised plantlets were acclimatized and transferred to soil with 100% success.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ould be useful for conservation as well as mass propagation of this medical plant.
        4,000원
        3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소처리에 따른 여러 관엽식물의 생육반응 및 엽내 질소 함량을 구명하여 초기 생육을 단축시키고 관엽식물의 영양관리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 벤자민고무나무, 관음죽, 필로덴드론, 스파티필럼, 아이비 등 많이 이용되고 있는 관엽식물들을 선택하였다. 화분에 식재한 관엽식물에 질소량을 각각 120, 150, 180, 210mg·L-1로 처리하고, 8주 후 식물의 초장, 폭,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을 측정하였다. 식물 부위별 질소 함량도 분석하였다. 벤자민고무나무와 아이비는 N1 처리에서 식물의 생육이 우수하고, 초장 및 엽수의 증가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필로덴드론과 관음죽은 N4 처리의 경우 식물 생육이 일부 향상되었으나, 초장 및 엽수의 증가량은 다른 질소수준들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특히 관음죽은 식물의 생장량이 거의 없었다. 스파티필럼은 N4 처리에서 식물의 생육이 우수하고, 초장 및 엽수의 증가량도 가장 큰 것으로 보여졌다. 각 식물별 적합한 질소수준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소수준별 처리가 엽록소 함량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고, 식물 부위별 질소함량도 일관된 경향을 보여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관엽식물에서는 잎 등 식물체 부위별 영양 상태보다 식물의 생육반응으로 영양상태를 진단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란다의 층별 온습도와 광도를 파악하고 층별로 재배하기에 적합한 식물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실제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베란다 3개동 3개층 (2, 9, 그리고 16층)의 베란다 환경 (온습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에 30일 동안 조사하고, 가장 온도가 높았던 여름의 베란다 환경 (온습도와 광도)을 2008년 8월 19일부터 9월 14일까지 24시간 동안 조사한 후 외부와 비교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의 광도에 따른 오색마삭줄과 피토니아의 생육변화를 식물생장상에서 관찰하였다. 광도를 24시간 동안 아파트 베란다의 층수별 조사한 결과 2, 9, 그리고 16층에서 베란다 내부의 일일 평균 광도는 각각 약 40, 70, 그 리고 100 μmol·m-2·s-1로 층수가 높아질수록 높아졌다. 식물생장상 연구에서, 모의 광도 (40, 70, 100, 그리고 600 μmol·m-2·s-1)에 따른 오색마삭줄과 피토니아의 생육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엽색의 변화 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관상가치를 고려해 볼 때 오색마삭줄은 광도가 높은 층에서 재배하고, 피토니 아는 광도가 낮은 층에서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식물의 미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3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농도에 따른 여러 관엽식물의 생육반응을 구명하여 양분관리의 기준을 설정하고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 벤자민고무나무, 관음죽, 필로덴드론, 스파티필럼, 아이비 등 많이 이용되고 있는 관엽식물들을 속별로 선택하였다. 화분에 식재한 관엽식물에 0, 1/4, 1/2, 1배액의 Sonneveld 분화전용양액을 저변관수하였으며, 28주 후 식물의 초장, 폭,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관엽식물은 종류에 따라 영양요구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벤자민고무나무와 필로덴드론은 양액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의 생육이 증진되었으나, 아이비와 스파티필럼은 1/4과 1/2배액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관음죽의 경우 l배액에서만 생육이 약간 증진되었고 1/4과 1/2배액에서는 무처리구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관엽식물의 엽내 무기이온을 정량한 결과 중 N, P, K 등이 생육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엽식물에 대한 관수와 시비의 기준들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고, 재배시 초기생육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이 기간을 단축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런 점들을 보완하려고 하였고, 양액에 의해 식물의 생육도 증진됨을 알 수가 있었다. 적합한 양액농도로 관리해주면 생육이 빨라지고 품질도 우수해졌다.
        4,000원
        4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된 아파트단지내 녹지를 대상으로 식재개념, 식재밀도, 식재유형 및 패턴 등 배식특성을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아파트단지 녹지면적이 크게 달라지는 시기의 대표대상지인 1978년에 준공된 강서구 화곡주공아파트(2단지)(용적률:99%), 1983년에 준공되 강남구 삼익그린아파트(2차)(용적률:175%), 1992년에 준공된 강서구 동신대아아파트(용적률:225%)를 선정하였으며 녹지를 전면녹지, 측면녹지, 후면녹지로 구분하였다. 대상지의 녹지유형별 식재개념은 경관식재로만 이루어져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식재종에 있어서도 외래종 조경수목이 주를 이루어 녹지공간별 차이는 없었다. 아파트단지의 식재밀도은 교목 및 아교목층 0.0~0.2주/m2로 관목층의 식재밀도가 부족하였으나 조성시기에 따른 식재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층위구조는 교목.아교목층과 관목층 수목이 각각 다른 위치에 평면적으로 식재된 단층구조이었으며 녹지공간과 관계없이 독립식재, 열식재, 부등변삼각식재가 주로 활용되었다. 아파트 단지내 녹지는 공가별 식재개념에 따라 식재종, 식재밀도, 층위구조, 식재패턴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식재개념에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전면녹지는 시각적 차폐와 미적인 기능, 후면녹지는 녹지량 증지 및 생태적 개념, 측면녹지는 녹지량을 증진을 주된 목적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4,5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