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ur animal model of stress contained two components: (1) acute trauma, immobilization of rats in close proximity to a cat twice in 10 days, and (2) chronic social instability, 31 days of randomized housing of cage cohorts. Her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daily social stimulation would block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thods and Results : Beginning 24 h after the first cat exposure, adult male rats were given our established stress model,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daily social stimulation, in which all rats within a group interacted in a large apparatus for 2 h each day for the final 30 days. All behavioral, for example, anxiety, memory, startle testing, and physiological assessments, for example, body growth, organ weights, and corticosterone levels, took place following completion of the psychosocial stress period. Conclusion : From the above study, V. fauriei possess significant anti-stress properties and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stress-induced disorders.
        2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on salinity stress has strongly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 as salinity stress is a main key factor limiting the global crop production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amount of genotypic data in a short time due to a reduction in genotyping costs. This wave of genomic information has effected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for the integration of molecular information in breeding programs. However, phenotyping is still a manual activity, and different from each species, environment, and trait. It often generates high labor costs, and can b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ometimes includes the individual biased assessments from different people.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phenotypic data of high quality. The current objective of phenomics is phenotyping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for many traits in a nondestructive manner and with good accuracy. Here we described the image-based technology as applied to alleviate the bottleneck for the development of high-throughput phenotyping platforms. Several trials to measure stress responses of rice plantlets based on image data under the salinity condition are underway to develop automation for the next-level of phenotyping.
        2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ng the abiotic stresses, heavy metal (HM) toxicity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ajor abiotic stresses leading to hazardous effects in plants. In spite of its potential physiological and economical significance, morphological alterations induced by heavy metals in plants have so far been grossly overlooked. In the present study,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eaf of sorghum plant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 50, 100, and 150 μM) of CdCl2. Results revealed that plants endured reduction i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nges amazingly altered by cadmium. The growth of sorghum seedlings treated with 150 μM cadmium was more inhibited than that of sorghum seedlings treated with 100 μM Cd, 50μM and non-treated plan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cadmium stress inhibited the root and shoot elongation after growing the rise seedling in the presence of cadmium. In the case of ion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s of Zn2+, Ca2+ were decreased whereas Fe2+ concentration was increased except 100 μM under cadmium stress. In confocal microscopy, results showed that the absorption degree of cadmium was increased by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admium.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cadmium was also increased. Thus, it seemed that cadmium has an influence on sorghum in the case of early stages of sorghum. This study reported the effects of heavy metal, cadmium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rghum seedlings, hoping to provide references on the mechanism of heavy metal damaging plants, and phyto-remediation for heavy metal polluted soil.
        24.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ological responses to salinity stress were evaluated in six rice genotypes differing in their tolerance to salinity at the seedling stage. Susceptible genotypes ('Dongjingbyeo', 'Hwayeongbyeo', and 'IR29') showed salt injury symptoms (mean 8.8) and higher visual score under salt stress than that of tolerant ones ('Pokkali', 'IR74009', and 'IR73571'). As salinity affects growth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the six genotypes thu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because of salt stress. Tolerant Japonica/Indica bred lines ('IR74009', 'IR73571') showed lower reduction, 33.9%, 34.5%, and 50%, respectively, in plant seedling height, dry shoot weight and dry root weight than those of the susceptible Japonica varieties ('Dongjingbyeo', 'Hwayeongbyeo'), and the highest reduction under salt stress was observed in dry root weight, followed by dry shoot weight and seedling height, respectively. Shoot Na+ concentration of IR74099 and IR73571 was lower than that of the susceptible varieties, 'Dongjinbyeo' and 'Hwayeongbye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otypes in root Na+ concentration. Shoot K+ concentration showed a reverse tendency compared to shoot Na+ concentration. IR74009 and IR73571 had considerably lower ratio compared to 'Dongjinbyeo' and 'Hwayeongbyeo' in Na+/K+ ratio of their shoot and was not different the tolerant check, 'Pokkali'.
        2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 warming means not only increase in average air temperature but also increase in frequency of extreme weathers such as extremely high temperature over 45oC. Crops are generally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 during their reproductive growth stage. This experiment was thus conducted to investgate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 (Oryza sativa cv. Chucheong) and soybean (Glycine max cv. Sinpaldal) to high temperature (HT) stress at their reproductive stage. Rice and soybean were exposed to different degrees of high temperature stress by keeping them in a growth cabinet deisnged to maintain air temperature up to 45oC for at least 5 hours in a day for different durations, 0, 1, 2, 3, and 4 days. HT stress treatment delayed heading and flowering of rice and increased the sterility of its' main panicle with increasing duration of HT treatment; 19.7 43.4, 68.1, 81.5 and 91.1% at 0, 1, 2, 3 and 4 days HT treatment, respectively. Increasing sterility due to HT treatment thus resulted in significant rice yield loss; 5.07 4.27, 4.32, 4.51 and 3.62 g/plant at 0, 1, 2, 3 and 4 days of HT treatment, respectively. Soybean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HT stress in its pod formation and sterility, particularly along the vertical stem. Increasing pod sterility with increasing HT treatemnt thus resulted in significant soybean yield loss.
        2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 the past few decades Miscanthus has been studied as a potential bioenergy crop in Europe but not much been studied in Korea although Korea has many native Miscanthus species and genetic resources. Because of their features, such as low demands of fertilizers and other agrochemicals, high water use efficiency and high productivity, Miscanthus can be cultivated in marginal lands. However, it is not known how Miscanthus can survive in saline soil and what extent Miscanthus can tolerate salt stress, one of main abiotic stresses in reclaimed lands or dry climat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response of Miscanthus species to salt stress and thus to establish a salt stress threshold. Miscanthus sinensis and M. sacchariflorus showed similar responses to salt stress. Chlorophyll contents, photosynthesis and plant growth were all significantly affected by salt stress. Both species were completely killed at > 100 mM NaCl. The GR50 values estimated by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logistic model were 116.2 mM and 63.1 mM for M. sinensis and M. sacchariflorus, respectively. These GR50 values can be used as their thresholds of salt stress.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screen salt-tolerant Miscanthus genotypes.
        2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atropha (Jatropha curcas L.) is a shrub or tree belonging the genus Euphorbiaceae and is cultivated in a tropical regions including South America, South-East Asia, India and Africa. Jatropha possibly is adapted to grow in a wide range of environments for producing non-edible oil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effect of salt and drought on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Treatments are thus followed, 100 and 200 mM NaCl and 5 and 10% PEG. Various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leaf length and width, stomatal conductance,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ene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from 2 days onwards, 100 and 200mM NaC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leaf length, width, and stomatal conductance, but 5% and 10% PEG treatments showed a similar trend of control plants. Gene expression of JcACBP of the 100 mM NaCl was slightly decreased compred to those of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00 and 200 mM NaCl treatments significantly showed negative response, but 5 and 10% PEG treatments improved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of Jatropha.
        29.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한발저항성이 다른 6개 보리 품종의 한발에 따른 생장, 잎의 수분포텐셜(leaf water potential, LWP), 상대함수량(leaf relative water content, RWC), 삼투압(leaf osmotic potential, OP), 삼투조정(osmotic adjustment, OA), 팽압(leaf turgor pressure, LTP), 순광합섬, 기공전도도, 엽육전도도, 엽록소형광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발 처리시 토양수분포텐셜은 -0.05㎫이었고. 종료시에는 -0.29㎫로 저하하였다. Dicktoo-S 동보리 1호, Dicktoo-L, Dicktoo-T, 수원쌀보리 365호, 탑골보리 품종의 한발처리구 건물중은 각각 대조구(처리기간종 -0.05㎫ 유지)에 비하여 68%, 69%, 70%, 86%, 55%, 37%를 나타내어 Dicktoo 계통과 동보리1호의 한발저항성이 강하였고, 수원쌀보리 365호와 탑골보리는 한발저항성이 약하였다. 2. 한발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삼투조정능력이 커서 한발처리에 따른 RWC와 LWP의 저하가 작았고 팽압유지능력이 컸다. 3. 한발처리에 따라 순광합성이 저하하였고 그 저하정도는 한발저항성이 큰 품종이 작았는데, 이는 한발저항성이 큰 품종이 기공전도도, 엽육전도도 및 PSII 최대양자수율(Fv/Fm)의 저하가 적었기 때문이었다. 4. 결론적으로 저항성이 큰 품종은 삼투조정에 의한 수분유지능력이 크고 이에 따라 광합성저하가 적어 상대적으로 생장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30.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rought tolerance of Japonica and Indica rice cultivars during germinating and seedling stages by using the polyethylene glycol (PEG) solution. Each 5 cultivars of Japonica and Indica were cultured from 14 days after seeding(DAS) to 21 DAS using the PEG solution in a moderate water potential (-0.63 MPa). The lengths of radicle and plumule during the germinating stage were inhibitied by the PEG treatment to about 50% and 85%, respectively. The application of PEG to the seedling of two rice types caused to inhibit the plant height and leaf age about 23 % and 10%, respectively. Shoot and root dry weights by PEG treatment were inhibited more severely in Japonica than those in Indica. The difference on delaying of leaf area expansion between both rice types was not found with treatment of PEG, while the leaf color was increased in both Japonica and Indica by 19.9% and 9.2%, respectively. The average photosynthetic ability was inhibited more in Japonica to 36.0% than did Indica to 27.9%. The stomatal conductance was severely affected by PEG treatment, and the degree was varied in both rice types, ranged with 80-85% in Japonica and 29.3-81.6% in Indica. These results indicate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under the stress of low water potential.
        31.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the time course changes of transpiration, diffusion resistance and photosynthetic rate of rice at several different growth stages subjected to soil moisture stress (SMS) and recovery by irrigation. A japonica rice cultivar 'Dongjinbyeo', was grown under flooded condition in a plastic container filled with silty loam soil. At 5 main growth stages, the container was treated by SMS until initial wilting point (IWP) and then reirrigated. The duration of SMS until IWP were the longest, 13 days for tillering stage, and the shortest, 7 days for panicle initiation and meiosis stage. The transpiration rate rapidly decreased during SMS and the transpiration rate at IWP of the stressed plant showed 10∼20%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transpiration rate of stressed plant at most growth stages also recovered rapidly after irrigation and then reached 100% of control within a week. The shoot photosynthetic rate in all growth stages rapidly decreased by SMS, and the rates at IWP of stressed plants were de-creased nearly to 0%, beside the treatment at tillering stage. The recovery degree of photosynthetic rate by irrigation ranged from 20 to 90%, showed higher at early growth stages of SMS treatment than that of later stages. At all growth stages the leaf diffusion resistance of stressed plants was over 3 times that of the control resulting from a rapid increase at 3 to 5 days after draining for SMS, and showed quick recovery by irrigation within 3 days after drainage. The above physiological parameters changed in close relation with the decrease of the soil matric potential after S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 all main growth stages of rice plants the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reduction by stomatal closure reponded sensitively to the first stage of SMS closely related with decrease of soil water potential, while those recovery pattern and recovered degree by irrigation are little different by growth stage of rice.
        32.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삼투 potential(~Psi~pi =-10 bar)이 같은 P.E.G.와 NaCl 용액을 사용하여 유묘의 한해와 염해를 비교한 결과 초장, 유묘건물중, 엽록소 함량 그리고 엽수분 potential의 감소와 유리 proline 함량의 증가는 NaCl 처리보다는 P.E.G. 처리구에서 더 심하였다. 2. 유리 아미노산은 무처리(호그랜드 용액)보다 한해유발처리(P.E.G.)에서 2.6배 그리고 염해유발처리(NaCl)에서 3.6배 증가하였으나 유리 proline은 전 아미노산 함량 중 한해과 염해에서 각각 66%와 61%를 차지하였다. 3. P.E.G. 처리구에서는 phenylalanine이 그리고 NaCl 처리에서는 phenylalanine, alanine 및 asparagine이 현저히 증가한 경향이었다. 4. 보리 유묘기의 한해와 염해반응은 전반적으로 볼 때 비교적 동질적이고 유사한 경향이었다.
        33.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품종들의 생리적 반응과 품종간 내염성을 이해하여 염해에 대처할 재배법 개선과 내염성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 후 포트에 이식하여 재배한 보리를 출수 20일전, 10일전 그리고 출수기로부터 각각 10일간씩 삼투 potential이 -20 bar인 NaCl용액을 매일 관수하여 염해를 유발시킨 결과 출수기 처리에서 비교적 피해가 컸다. 2. 대조구에 대한 출수 10일전 염처리구의 비율은 평균 간장 87%, 주당수수 82%, 일수위수 92%, 천입종 94%, 수량 75%에 불과하였다. 3. 품종별 염처리 시기에 따라 반응이 매우 상이하여 알보리, 백동, 향맥은 출수기 처리에서, 그리고 올보리와 두루보리는 출수 10일전 처리에서 ,각각 수량 및 수량구성요율의 감소율이 가장 컸다. 4. 종실수량의 관점에서 공시품종의 내염성은 백동>알보리>향맥>올보리>두루보리의 순으로 백동이 내염성이 가장 높았고 두루보리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34.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품종들의 염해반응의 생리적 특성과 품종간 차이를 이해하여 간척지에서의 재배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NaCl용액으로 염해를 유발하여 생장저해정도, 엽록소 및 유리 proline 함량, 그리고 엽수분 potential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품종간 생육저해 정도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는데 대조구에 비해 NaCl용액(Ψ/sub π/ =-20bar) 처리의 경우 초장은 2∼22%, 유묘건물중은 25∼39%가 감소되었다. 2. 엽록소함량은 대조구에 대하여 염분처리구에서 33∼49% 감소되었고 엽건물 g당 유리 proline 함량은 대조구가 0.2∼0.3mg이나 염분처리 구는 9.6∼14.7mg으로 32∼74%나 증가되었다. 3. 엽수분 potential은 대조구가 -3.0 ∼ -4.1bar이나 염분처리구에서는 -7.4 ∼ -11.2bar와 -15.0 ∼ -17.9bar로 낮아졌으나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많지는 않았다. 4. 품종별로 엽생존율은 백동>밀양1002>올보리>두루보리>향맥의 순으로 높았으나 유묘 건물중 감소율은 백동>올보리>향맥>밀양1002>두루보리 순이었다. 5. 염처리구에서 제2엽의 유리 proline 증가율은 밀양1002>향맥>백동>두루보리>올보리의 순이 었다.
        35.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는 생식생장기에 수분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보리 5품종 (겉보리 :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쌀보리: 백동, 맥주보리: 향맥)을 공시하여 생식생장기에 해당되는 출수전 20일, 출수전 10일 및 출수기에 각각 10일간씩 단수처리를 하여 한발을 유발하였으며 처리 후에는 관수를 하여 정상적으로 재배하였다. 보리 품종들을 10월에 포장에 파종하여 익년 2월에 대형 폿트에 이식하여 재배하였으며, 건물중, 유효경비을, 간장,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유리 proline함량과 상대팽압도를 측정하였다. 1. 한발에 의한 피해는 출수전 10일>출수기>출수전 20일 처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수전 10일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간장은 85∼98%, 주당수수는 52∼83%, 일수립수는 71∼86%, 천립중은 80∼84%, 그리고 10주당 수량은 60∼94%를 나타내었다. 2. 출수 10일전 단수처理에서 수량 및 수량구성 요소들의 감소율이 가장 컸고, 수량구성요소 중에 주당수수와 일수립수가 비교적 한해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3. 올보리>밀양 1002ㆍ두루보리>향맥>백동의 순으로 내한성이 약하였다. 4. 한발처리를 끝낸 후에 다시 관수하여 지엽의 유리 proline함량의 감소율과 상대팽압도의 회복율을 품종별로 보면 피맥 3품종이 높고 백동과 향맥이 매우 낮았다.
        36.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유묘기의 수분스트레스가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품종간 차이를 밝히고자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백동 및 향맥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종자를 폿트에 파종하여 발아 후 10일이 경과한 다음 단수처리를 10일간 한후 다시 관수하여 40시간 및 88시간에 초장, 건물 중, 엽록소함량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발아 후 10일된 유묘를 P.E.G.로-20bar가 되도록 조정한 용액에 48시간 처리한 후 다시 재 관수하여 48시간 후에 엽록소함량, 잎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초장과 건물중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5 품종의 평균으로 보면 초장보다는 건물중의 감소가 심하였고, 백동과 향맥이 밀양 1002, 올보리 및 두루보리보다 감소 정도가 심하였다. 2. 엽록소함량 및 잎의 수분포텐셜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재관수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 proline 함량은 단수처리 종료시에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재 관수 후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재 관수후 40시간에는 42%를, 88시간 후에는 14%를 나타내었다. 3. 단수처리에 의한 한해유발처리 종료시의 엽록소와 유리 proline 함량의 변화, 잎의 생존율 및 건물중 감소율을 근거로 한 품종들의 내한성을 보면 공시품종내에서는 겉보리(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쌀보리(백동)>맥주보리(향맥)의 순이었으며, 겉보리 품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4. P.E.G. 용액 (Ψ~pi =-20bar)으로 조정 한 48시간의 한해유발처리의 결과는 엽록소함량, 일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 모두 10일간단수처리 한 결과와 일양성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백동과 향맥이 수분스트레스시의 증가 및 관수시의 멸소반응이 모두 둔하여 수분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얻어짐을 알았다. 여기서의 합성분말을 이용하여 실
        37.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Cl이 함유된 배지에서 보리가 자랄 경우 문제가 되는 생리적 현상들 - 광합성 능력, 엽록소 함량. 식물체의 체액 유출량, 유출액 중 단백질 함량 등 - 및 이들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유출액의 전기전도도나 Na함량은 수경액의 NaCl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세포액 유출양상으로 볼 때 NaCl에 의한 해는 건조나 동결에 의한 해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 유출되는 속도가 완만하였다. 2.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은 수경액의 NaCl농도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 받지 않았으나 배지의 NaCl 농도가 높을 경우 근활력은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3. 아미노산 함량은 염해에 의해 증가, 감소, 변화가 없는 군 등 3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나 잎과 뿌리의 변화양상은 일치하지 않았다. 4. 식물체의 건물중 K, Na, 당함량은 NaCl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당이, NaCl의 농도가 100mM인 경우 Na이 가장 높았다. 5. 배지의 NaCl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잎에서는 Na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K의 경우 배지의 Na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지상부 K함량 감소는 약 63%이었던데 비해 뿌리에서는 92%였으며 Na과 K을 합한 양은 수경액의 NaCl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잎에서는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38.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 1호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콩의 영양생장기에 15일간 습해처리하고 그에 따른 엽생장 및 지하부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습해처리기간중 근류는 심토층에서부터 사멸되기 시작하였으며 습해기간이 7일 이상 지속될 경우 전체 근류의 35%이상이 사멸되었다. 2. 습해를 받으면 근류의 Bacteroid층이 균열되기 시작하였으며 습해기간이 지속될 경우 균열 양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3. 습해기간중 토심 5cm이하에 분포한 뿌리활력은 무처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표토층에 분포한 뿌리는 큰 변화가 없었다. 4. 7일간의 습해처리로 주근의 외피조직 및 유관속조직의 분리현상과 일부 파괴현상이 관찰되었다. 5. 습해처리 기간 중의 엽면적 생장은 정상식물체의 엽면적 생장의 절반에 불과하였다.
        39.
        199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분의 작물에 대한 피해 또는 피해과정을 구명함으로써 염분함량이 높은 간척지에서 염해에 대한 피해정도를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도에 해수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공저항성은 해수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뚜렷한 증가를 나타냈는데 그 정도가 생식생장기보다는 유모기에 더 큰 경향을 보여 유묘기에 피해가 더 심하였다. 그리고 광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각인 11시경의 기공저항성 변화를 볼 때 무처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는 비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어서 염하에서는 광합성이 저해됨을 알수 있었다. 처리 기간에 광합성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처리 기간에 따른 변화도 계속 증가하는 경향으로 처리기간이 증가할수록 피해가 더 커졌다. 2. 엽록소는 해수농도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다. 3. 식물체의 Na+와 Cl-의 해수농도의 증가에 따라 흡수가 많았으나 K+, Mg++, Ca++의 흡수는 약간 감소하긴 하였으나 그 차이가 대동소이하여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4. 초장과 근장은 해수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는데 초장보다 근장의 감소율이 현저히 높았다. 5. 기공저항성과 기타 여러 항복들간에 상관이 고도로 인정되는 바 특히 기공저항성은 bio-information으로서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