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7

        44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림휴양과 숲체험을 위하여 진주시 근교에 위치한 월아산에 도시숲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의 현황 및 역사 등 을 분석하였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인식과 선호도에 관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는 관리부실로 낙 후된 숲 시설, 프로그램 등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인접한 진주 혁신도시 인구증가로 인하여 휴게시설 증설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 었다. 설문분석에서 최근까지 월아산 이용목적은 운동 및 산책이며, 주로 가족단위로 자가용을 이용해 찾아오지만 이용빈도는 연중 1~2회 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현황 및 설문 분석을 종합하여 도시숲 프로그램 계획에서 3E라는 개념을 설정하였다. 3E는 Experimental(체험할 수 있는 공간), Everlasting(역사를 지닌 공간), Emblematic(상징적인 공간)로 구분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 개념을 대상지에서 구현하기 위 해서 먼저 낙후된 산림욕장, 청곡사 주변부지, 장군대봉 등을 연결하는 통로를 정비하고 휴게시설을 조성하여 통행 및 휴식의 매력과 이용 편리를 개선하고, 그와 같은 조건에서 방문객을 유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획하였다. 프로그램 계획의 주요한 특징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삼림욕장에 학습장을 조성하고 숲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산책로를 건강 및 휴식을 위한 힐링 숲길로 조성하고 산책, 휴식, 자연학습 등의 숲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둘째, 역사 및 문화자원인 청곡사 및 그 주변을 그 맥락에 부합하도록 정비하고 청곡사와 학영 지를 연결하는 학영지의 이름을 딴 학영로라는 역사 및 문화 산책로를 조성하여 역사 및 문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부가적으 로 청곡사와 휴게공간 사이의 연결성을 확보하여 기존의 산책 및 운동을 위한 통로에 역사, 휴식 등의 기능을 부여하여 잠재적으로 다양하 고 풍부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징적인 공간인 장군대봉 주변 부지에서 월아산 정상부로 월아산 이름의 유래 에서 모티브를 얻은 달을 형상화한 조형물을 랜드마크(landmark)로서 설치한다. 이를 통해 등산을 위해 산을 오를 뿐만 아니라 색다른 볼 거리를 즐기기 위해 산을 오르게 함으로써 더 많은 방문객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한다.
        442.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value of Mt. Samyeong.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10 times from October 2013 to July 2015 consisted of a total of 538 taxa; 92 families, 308genera, 466 species, 3 subspecies, 62 varieties and 7 forms. The observed rare plant species 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4 taxa. Endemic species were 25 taxa. 28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5.3% and 8.7%. Among the surveyed 538 taxa, edible, medicinal, pasturing, ornamental, timber, dye, fiber and industrial plants included 220 taxa, 195 taxa, 167 taxa, 65 taxa, 25 taxa, 8 taxa, 6 taxa and 3taxa, respectively.
        44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간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지리산권 문화 연구’를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수 행해 왔다.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지리산’에 함축된 ‘근대성’을 규명하기 위해 ‘기행(탐험, 여행, 관광 등)’에 초점을 맞춰 일제 강점기의 기행문학 등을 대상 으로 지리산의 근대적 표상을 다각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르포‧소설‧희곡‧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분석하여 지리산에 얽힌 역사적 상흔과 그의 문학적 대응 양상을 면밀하게 논구해 왔다. 본고는 기왕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성과를 집약하고, 지리산권 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試論的 논의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리산이 전근대시기에는 둔세자의 피난처이자 민중의 도피처였으며, 근대 이 후에는 남과 북이 대립했던 이데올로기 戰場이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리산을 배경으로 창작된 여러 문학 작품에 함축된 주요한 인문학적 사유와 태도 등을 靖獻 意識과 哀悼 倫理, 그리고 自癒 意志로 나누어 논구하였다. 정헌 의식이란 현실 정치와 거리를 두는 탈정치적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학문 적·사상적 신념을 고양하고, 이를 통해 도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식을 일컫 는다. 김택술과 이은상의 기행문학, 그리고 󰡔지리산󰡕의 중심 인물인 박태영에 게서 이와 같은 정헌 의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근대 이후 지리산에서 죽어간 ‘만혼령’에 대한 문학적 애도 작업은 일찍이 70 년대 지리산 소재 시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만혼령’을 존재론화‧의미론 화하는 상징화-애도 작업은 ‘國史로부터의 伸冤’과 ‘대문자 역사로의 기입’이라 는 두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성부와 송수권의 시편 에서 ‘지리산 만혼령’이 다시 출현하게 되는데, 그의 ‘비탄’과 ‘피울음’이 ‘만혼 령’에 대한 충실한 기억을 목표로 하는 哀悼 倫理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고찰하 였다. 분단과 전쟁은 ‘지리산 만혼령’을 출현시켰을 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자들에 게도 깊은 상흔을 남김으로써 그 후과는 또다른 비극의 맹아로서 상존하고 있 다. 이러한 후과는 우연적으로 혹은 운명적으로 해소되거나 극복될 수 없는 것 이다. 여러 작품들이 반목·불신·원한·증오를 넘어 화해와 용서를 향한, 자성·고 백·참회·공감·생명 존중이라는 자발적이고 자각적 행위, 즉 自癒 意志를 역설하 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44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2007년 9월부터 10년 동안 인문한국(HK)사업으로 지리산권 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근현 대사 영역에 한정하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와 방향을 모 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근현대사 영역에서 사업단 실적은 자료집 발간 총 7권, 사업단 소속 연구 자 논문 9편이며, 사업단에서 주최한 학술대회에 외부 연구자로 참여하여 그 성 과물을 사업단 저작물에 실은 논문은 5편이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자료집과 연 구논문이라는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논문은 주 제별로 검토할 경우 유형화할 수 없는 논문이 있기 때문에 편의적으로 근대시 기와 현대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근대사 연구는 동학농민혁명에 집중된 편이다. 이러한 논문은 지리산권 동학 농민혁명의 구체적인 전모, 지역별 확산과정과 향촌사회의 대응, 남원지역의 동학 포교와 조직화 과정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한말 의병장 고광순의 지리산 근거지론을 탐색함으로써 지리산이 의병의 장기항전의 근거지로 주목을 받았 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밖에도 지리산권 지식인 황현의 연구사 정리, 지리 산권의 근대학교 설립 등을 다룬 논문이 있다. 현대사 연구는 여순사건과 빨치산 활동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여 순사건을 둘러싼 정부와 국회의 대립 양상이나 수습방안, 여순사건의 주도층이 었던 14연대가 지리산으로 입산하는 과정, 그리고 지리산 지역에서 유격대를 조직하여 빨치산 활동을 전개한 전모, 빨치산 활동에 영향을 받은 지역의 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서 드러난 한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전망하였다. 먼저 연구 시기의 편중성을 들 수 있다. 앞으로는 일제시기, 해방 3년기, 한국전 쟁 이후 시기, 산업화시기로 넓혀 연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 상으로써 지역공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지리산권역을 지리산과 인접한 지역 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현 시기에 맞게 적절하게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셋째, 연구 주제가 운동사에 집중된 편이다. 지리산권역에서 펼 쳐진 사회, 경제적인 변동과 그에 따른 문화 양상의 변화상을 탐구한 연구는 거 의 없다. 따라서 지리산권역이 담아내고 있는 정체성과 다양한 가치를 파악하 기 위해서는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사회변동이나 문화 양상을 탐색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생활사, 일상사 연구가 필요하다. 일상사 연구는 주변화 되거나 배제된 지역민의 경험과 실천을 재현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 다. 넷째, 기초자료의 정리‧분석과 발간 작업을 보다 활발히 할 필요가 있다. 지 역사 연구의 활성화, 체계화를 위해서는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기초자료의 수 집과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445.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글은 HK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연구성과를 총결하면서 지리산인문학이라 는 새로운 범주의 학문으로의 이전을 준비하는 과정 중의 하나로 씌어진 것이 다. 이를 위해 우선 지리산권문화연구라는 HK사업의 아젠다가 갖는 ‘징후’로서 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10년전 징후읽기와 그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한 HK사업 은 10년 후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로 본모습을 드러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 HK사업으로서의 지리산권문화연구와 지리산인문학은 한국사회에 서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급박한 대응으로서 복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글에서는 먼저 지리산권에서 산출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어떤 것 이 있는가부터 살펴보았다. 고전문학은 전통시대에 산출한 국문문학과 한문서 사를 총칭하는 것이며 여기에 구비문학인 민요와 설화를 포함한다. 지리산권 고전문학 작품들을 쭉 열거해본 결과 전기소설이나 판소리, 동학가사 등 고전 문학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들이 이 지역에서 산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지리산권고전문학이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의 한국적 전개에 시사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작품세계는 기본적으로 증강현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작품과 사람들을 엮 어 하나의 장르가 생성되는 현장의 운동 논리는 기본적으로 지능과 연결로 대 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前驅的 특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글에서는 일 단 지리산인문학과 지리산권고전문학, 제4차 산업혁명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론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지만 앞으로 이러한 논의를 발전시켜 아젠다로서 지 리산인문학의 임무를 수행하는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446.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ategies to re-establish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in Bukhansan National Park, reflecting landscape ecological value by using the zonation program Marxan with Zones. Planning unit was set by watershed, and the basic data were mapped,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ecological values. Mapped indicators were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framework of Marxan with Zones by indexing some indicators. The zones divided into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Zone A), Park Nature Environment AreaⅠ(Zone B) which is reflected on the concept of Potential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and Park Nature Environment AreaⅡ(Zone C). The best solution for each of the scenarios was fixed through the sensitiveness analysis. From these, the final solution was selected considering five criteria including area ratio of conservation area and grouping. Lastly, the final solution was verified in the overlapped analysis with recent zo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watersheds was 77, with an average area of 1,007,481 m2. In terms of basic mapping and indexation, the slope index and number of landscape resources for topographical property were average 0.22 and 38 places, respectively. Biotope index was average 0.69 and legally protected species was 14 species, reflecting ecological values. As th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trail index was average 0.04, and the number of tour and management facilities was 43 places. Through the framework of Marxan with Zones, the best solution for scenario 1 which was set by the highest conservation criteria was selected as the final solution, and the area ratio of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and grouping was excellent. As the result of overlapped analysis, suggested zonation of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was better than the recent zonation in the area raito (28.3%), biotope gradeⅠ(15.4%) and the distribution points (10 places)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with verification of proper distribution of conservation features according to the zone.
        447.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Nochu (1,322m)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5.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5 taxa, including 89 families, 304 genera, 448 species, 4 subspecies, 57 varieties and 6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15 taxa, 11 Korean endemic plants and 14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clude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1 taxa of grade IV, 30 taxa of grade II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4 taxa that made up 4.6%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Medicinal plant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Korean Herbal Pharmacopoeia distributed in this area consisted of 67 taxa.
        44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research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on natural recreation forests near/within a city, the recognition of the residents was investigated and evaluated by using five-point Likert scale or frequency analysis for the plan of Mt. Wora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Jinju city, which included the awareness, importance, preference, and visit intention of the residents. Until now, the personal goals of most visitors at Mt. Wora have been exercising or walking, and showed different from those of visitors at recreation forests with lots of recreational facilities and natural resources. Also the satisfaction was 3.6 and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at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were 3.3 and 4.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awareness was lower than the necessity though most respondent (84.5%) had already visited and experienced natural recreation forest before this survey. In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and programs, recreation/relaxation places, family accommodation, education, and leisure and sports were 4.2, 3.7, 3.7, and 3.4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a feature that the education was equal/similar to the family accommodation and the leisure and sports was over 3.0. In the preference of the types of accommodation and outdoor stay, the frequency of bungalow was 57.4% and higher than others. And then the frequency of autocamping and glamping were 36.5% and 32.9% respectively, and higher than that of camping. It indicates that users prefer more convenient types to typical/common types.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forest culture education were 3.1 and 4.1 respectively. The awareness of leisure and sports facilities was 3.2. The preference of adventures (zip line, eco-adventure etc.) was 3.4 and higher than those of others.
        44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patterns and synoptic climatic patterns of thermodynamic föhn phenomenon accompanying orographic precipitation across Mt. Halla for the recent several decades. Analyses of surface observational data reveal that thermodynamic föhn days occur mainly between mid-spring and early summer (April-June) particularly in the form of North warm-South wet type across Mt. Halla due to the accelerated moisture advection around a migratory low pressure. In extreme cases of thermodynamic föhn across Mt. Halla, more than 6.0°C of daily mean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windward and leeward sides is observed though its spatial patterns vary seasonally. Composite maps of upper synoptic climatic variables for multiple strong föhn days show that the relative position and intensity of a migratory low or high pressure anomaly cores as well as of semi-stationary fronts and air masses affect the seasonal spatial patterns and severity magnitudes of thermodynamic föhn around Mt. Halla. These results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developing a proactive föhn prediction system to reduce potential damages of föhn phenomenon to local economic activities in Jeju Island.
        450.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세계적으로 자원고갈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폐기물을 에너지화하기 위한 연료화(MBT) 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부산광역시(900톤/일), 수도권매립지(200톤/일) 등 약 20여 곳의 생활폐기물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s) 제조시설이 가동 및 공사 중에 있다. 국내의 폐기물 연료화 시설은 최종 제품인 고형연료(SRF)의 함수율을 25%이하로 달성하기 위해서 건조설비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건조설비의 형태는 드럼형, 유동상형 등 다양하며, 사용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열풍건조, 스팀, 태양열,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 건조기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폐기물 연료화 시설에 설치된 대부분의 건조설비는 화석연료를 직접 연소시켜 건조열원으로 사용하는 열풍건조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가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폐기물 연료화 공정의 경제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연료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함수율 25%이상의 건조 대상 시료(중간물)의 특성 분석과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습도차 건조 공법을 이용한 건조 전・후의 고형연료(SRF)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조건별 원단위 소요 풍량 등 설계인자를 확보하여 상용화 설비를 설계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45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16-17세기에 찬술된 유학자의 금강산 유람록 27편을 통해 금강산 불교를 고찰한 글이다. 그 유람록을 통해 금강산 소재의 118개 사찰과 암자가 흥망성쇠를 거듭했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高僧이 있는 寺庵에는 많은 제자들이 함께 수행하고 있었지만, 임진왜란 이후 남한산성 축조에 동원되면서 금강산 사찰이 텅 비다시피 했던 때도 있었다. 금강산 유람객들은 대부분 사찰을 숙식처로 사용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유학자와 승려 사이에 교류가 있었고, 유학자들이 승려 비 문을 써주거나 글씨를 써주기도 했다. 대화가 통하는 경우에는 밤늦도 록 定慧나 理氣 등의 철학적 문제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유학자들이 불교에 관심을 가지거나 불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일 수 있었던 것 같다. 한편 유람객들은 승려들이 메는 가마를 타고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 가마를 메는 藍輿僧은 1565년부터 1572년 사이 금강산을 유람했던 楊士彦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鄭曄과 李世龜의 유람록에서 기록하고 있다. 실제 1572년 이전 금강산이나 지리산의 유람록에서는 남여승에 대한 언급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남여승의 관습이 확산된 시기는 16세 기 후반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明宗代 文定王后 승하 후 불교 계의 위상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5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Janggunbong (1,136 m) in Bonghwa-gun, Gyeou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15 times from 2006 to 2015, consisted a total of 462 taxa; 82 families, 279 genera, 397 species, 2 subspecies, 55 varieties, 8 forms. 10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recorded and 1 taxon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5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7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urthermore, Ⅳ, Ⅲ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ncluded 8 taxa and 14 taxa, respectively. Based on the usefulness, edible, pasturing, medicinal, ornamental, timber, stain, industrial, fiber and unknown usefulness plants included 352 taxa, 107 taxa, 71 taxa, 18 taxa, 8 taxa, 5 taxa, 3 taxa, 2 taxa and 111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45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loristic study was conducted 23 times from March 2010 to May 2016 on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region of Chungcheongnam-do which lies across Sapgyo-eup, Deoksan-myeon Yesan-gun, and Hongbuk-myeon Hongseong-gun. Based on voucher speciemens, list of vascula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contained 532 taxa in total including 105 families, 312 genera, 468 species, 4 subspecies, 47 varieties, and 13 forma. The 8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lematis brachyura Maxim, C. trichotoma Nakai, Indigofera koreana Ohwi,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Aster koraiensis Nakai. 4 taxa of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such as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Lithospermum arvense L., Allium senescens L.,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not found in this study. The 11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3 rd to 5 th degree were found. 68 taxa naturalized plants were found and the naturalized ratio was 12.8% while 21.2% of urbanized ratio which is regarded quite high.
        45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ass concentra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PM2.5, including water-soluble ions and elements were determined at the 1,100 m-highland of Mt. Hallasan in Jeju Island across four seasons from August 2013 to August 2014. The average mass concentration of PM2.5 was 12.5±8.41 /m3 with 45.8% of the contribution from eight water-soluble ionic species. Three ionic species (SO4 2-, NH4 +, and NO3 -) comprised 96.2% of the total concentration of ions contained in PM2.5 and were the dominant ions, accounting for 43.5% of the PM2.5 mass at Mt. Hallasan. On the basis of the mass concentration level, seasonal variation, enrichment factor, and relationship among elements, we can presume that Mg, K, Ca, Mn, Fe, Co, Sr, Ba, Nd, and Dy originated mainly from crust or soil and that V, Cr, Ni, Cu, Zn, As, Cd, and Pb were significantly enriched in PM2.5 owing to the effects of the anthropogenic emissions. These results and the local distribution of emission sources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near this sampling site suggest that the compositions of PM2.5 collected at the 1100 m-highland of Mt. Hallasan were largely influenced by inflow from outside of Jeju Island.
        45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research to improve the recreation and tourism of Mt. Keumwon, this study undertook a visitor survey and investigated a structure model analysis to evaluate visitors’satisfaction of sightseeing. I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60 percent of visitors was male, the 71.3% was 40s age and over, and the 80.7% was resident in Gyeongsang-do. A theoretical model with measurement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hich was developed with hypotheses and data from 15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013. The results supported that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more strongly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convenient use, convenient u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lso display qua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t use. The visitors tend to evaluate convenient use to be better as display quality increases.
        45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은 특정한 시공간이 지시하는 특정한 상황 속에 존재 한다. 흔히 소설의 3요소 중 하나인 배경이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 논문은 <최척전>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임진왜란 기간 동안 작품 속의 인물들이 존재 한 작중 배경, 즉 몇 년, 몇 월, 며칠에 어떤 장소에 있었는가를 작품 속 증거를 찾아내어 고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물이 존재하는 시간과 장소 곧 특정 한 상황이 전제되면 그때 그 곳에 있었던 인물과 사건은 그때 그 곳의 상황과 관련하여 좀 더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리라고 기대한다. 연구방법으로 따지 면 문학지리학의 맥을 잇고 있고 소설배경론에도 속한다. 이러한 시각으로 <최척전>을 보면 <최척전>의 첫들머리에서 최척이 정상사 에게 공부를 하러 가는 시기는 1592년 5월경이고, 옥영이 남원 정상사 집에 오는 시간은 1592년 8월경이다. 두 사람이 만나는 시점은 1593년 1월 말경이다. 최척이 변사정 의병부대에 종군하는 시점은 1593년 2월경이고, 두 사람이 다 시 만나는 시점은 1593년 10월 말이다. 옥영의 억지혼사의 뒷배경에는 제2차 진주성 전투 후 남원 남쪽까지 쳐들어왔다 물러간 일본군의 약탈이 있었다. 정 유재란 시기에 구례 피아골 연곡사로 피난을 간 최척 일가는 불과 하루 이틀 사 이로 엇갈리면서 동아시아 세 나라로 흩어지고 있다. 이렇게 따져놓고 보면 <최척전>에 등장하는 시간과 공간, 즉 인물들이 존재 하고 있던 정확한 날짜와 장소를 거의 재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품 속 인물 들의 형상이나 주제의식 등에 대한 좀 더 진전된 형태의 해석으로 나아갈 수 있 는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57.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bient mass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M2.5 were determined at the highland site with 1,100 m above sea level on Jeju Island from June 2013 to November 2014. Yearly averaged mass concentration of PM2.5 was 11.97±8.63 /m3. PM2.5 concentrations were highest during the spring, while they tended to be lowest during the summer. Eight water soluble ionic species attributed 45.5% to PM2.5 mass. SO4 2-, NO3 - and NH4 + were major ions, which occupied to 27.9%, 3.7% and 12.3%, respectively. The greatest contributors to total mass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ions contained in PM2.5 were sulfate, ammonium and nitrate. These three ions accounted for 96.6% in total ions mass concentration of PM2.5. We could infer that these three secondary ions exist mostly in the form of (NH4)2SO4 and NH4NO3. Ca2+ and Mg2+ had a good relationship and with r=0.9. The molar ratio of Mg2+/Ca2+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the value observed in sea water and higher than that in soil dust, indicating that these two ions originated from other sources rather than ocean and soil dust in this study.
        45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in the DMZ area of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eight times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and consisted a total of 450 taxa; 91 families, 279 genera, 391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6 forms. The observed rare plant species 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5 taxa including Tylophora floribunda Miq., Aristolochia contorta Bunge, Viola albida Palib., etc. Endemic plant species were 6 taxa containing Aconitum pseudolaeve Nakai, Clematis brachyura Maxim., Clematis trichotoma Nakai, etc. 33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 species based on phytogeographical in the investigated area. 35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7.7%, and 10.9%, respectively. Of the 450 taxa listed; 186 were edible plants, 173 pasture plants, 149 medicinal plants, 51 omamental plants, 20 timber plants, 13 stain plants, 4 fiber plants, 4 industrial plants and 92 unknown resource plants.
        45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on Mt. Seokbyeongsan (1,055 m) and provide a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The flora on Mt. Seokbyeongsan was classified as follows: 102 families, 295 genera, 454 species, 4 subspecies, 51 varieties, 7 forms, and a total of 516 taxa. Endemic plants included 17 families, 24 genera, 25 species, 1 variety, and a total of 26 taxa. The Korea Forest Service assignment of rare plants, including 21 families, 33 genera, 33 species, 3 varieties, and a total of 36 taxa, was investigated. Moreov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signment of rare plants, including 13 families, 17 genera, 17 species, 1 variety, and a total of 18 taxa, was investigated. Floristic special plants in the surveyed area were divided into five classes (Classes Ⅰ–Ⅴ): 42 taxa of Class Ⅰ, 26 taxa of Class Ⅱ, 35 taxa of Class Ⅲ, 20 taxa of Class Ⅳ, and 9 taxa of Class Ⅴ for a total of 132 taxa. Naturalized plants were 18 taxa, and plants threatened by climate change were 48 taxa.
        46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aegam (1,099 m) from March, 2014 to July, 2015.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06 taxa, including 90 families, 293 genera, 435 species, 5 subspecies, 58 varieties and 8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06 taxa, 14 Korean endemic, 16 rare plants and 80 specially designated plants (Ⅴ degree: 3 taxa, Ⅳ degree: 7 taxa, Ⅲ degree: 22 taxa, Ⅱdegree: 21 taxa, Ⅰ degree: 27 tax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6 taxa including 3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 The urbanization index and percent of naturalized plants species were estimated as 11.2% and 7.1%, respectively. Useful plants of 506 taxa listed consists of 207 taxa (40.9%) of edible plants, 200 taxa (39.5%) of pasture plants, 146 taxa (28.9%) of medicinal plants, 58 taxa (11.5%) of ornamental plants and 15 taxa (3.0%) of timber plant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