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2

        485.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지진요소 결정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파형분석과 두 점을 잇는 파선추적을 이용한 지진요소 결정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지진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을 때(일반적으로 m_{b}
        4,000원
        486.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이동식 지보를 이용한 MSS공법에 의해 건설되는 콘크리트 교량의 설계 모멘트를 산정하기 위한 관계식을 제안하고 있다. 각 시공 단계에 따른 시간 의존적 거동해석을 통해 교량의 부재력 변화와 처짐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변위와 하중조건을 토대로 한 지배방정식을 구성한 후 복잡한 장기 거동 해석 없이 탄성 해석 결과를 토대로 설계 부재력과 임의의 시간 경과 후 모멘트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관계식을 구성하였다. 나아가 다양한 예제 해석을 통해 제안한 관계식의 적용성을 검증하였으며 모멘트 포락선을 토대로 보다 합리석인 설계 부재력의 산정 방안을 소개하였다.
        4,200원
        487.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general, the cutting pattern of the membrane structures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complicated curved 3-D surface into several 2-D plane strip by using flattening technique. In this procedure, however, some discrepancies ore occurred between actual stresses of equilibrated state and designed uniform stresses because the material properties are not considered. These deviations can cause the critical structural problems, wrinkling or overstress, and thus a optimization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paper, a new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um cutting pattern considering material properties is presented. Here, iterative procedure is introduced to decrease the errors caused in numerical process. The optimization method proposed can diminish the deviations occurred by material properties and numerical errors, simultaneously. As a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final stress distributions for the HP shell model are sufficiently near to design stress distributions,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method can be used to obtain the optimized cutting pattern of membrane structures.
        4,000원
        488.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채벌레류의 토착천적인 Orius strigicollis Poppius의 사육에 영향을 주는 부화율, 산란수 및 산란시기,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내적자연증가율을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10%, 온도 의 사육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부화율과 알기간은 각각 88.5%, 5.7일이었다. 사육용기 당 산란수는 50-100개일 때에 우화율이 50.8%로 가장 좋았고, 새로 얻은 성충의 회수시기는 산란 후 17일이 적당하였다.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새로 얻은 성충의 수와의 관계는 Y= -10.7971n(X)+44.659(=0.7619)와 같았다. 사육실에서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 일세대 평균기간(T), 순번식율( )과 내적자연증가율( )은 각각 26.5일, 6.18과 0.0687이었다.
        4,000원
        48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센서는 극 미량의 Na+채널 차단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고감도 측정 장치로 해조류 내 Na+ 채널 차단 생리활성물질의 양을 측정하기에 적합하였다. 본 연구는 해조류 내 Na+ 채널 차단 생리활성물질의 존재를 학인 함으로써 해조류를 이용한 신성분 개발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해조류는 총 92종으로 녹조류 13종, 갈조류 42종, 홍조류 37종으로, 주요 해조류 내 Na+ 채널 차단 생리활성물질은
        4,000원
        490.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 of 3-monochloro-l,2-propanediol(MCPD) analysis,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was-used. Determination of MCPD derivatized with phenylboric acid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underivatized MCPD. In derivatization of MCPD with phenyl boric aci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iling for 2min at 90℃ and vortexing for Smin at room temperature. Extrelut column was suitable for extraction of MCPD diluted in 20% NaCl solution and recovery rates were higher than direct extraction of MCPD with ethyl acetate. But, the method of direct extraction of MCPD with ethyl acetate was useful for rapid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sample extracted in soysauce(ganjang) was derivatized with phenylboric acid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That was confirmed as MCPD-phenylboronate.
        4,000원
        491.
        200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ducted a deep CCD observations in V band to obtain stellar density distribution and to determine the distances toward two molecular clouds with anomalous velocity in the Galactic anti-center region. Star count method based on the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CCD photometric data. We found two prominent peaks at distances of around 1.4 and 2.7 kpc. It is found that the first peak coincides well with stellar density enhancement of B8-A0 stars and the second one with the outer Perseus arm. The effect of the choice of the luminosity function is discussed. The stellar number density distribution is used to derive the distances to the molecular clouds and the visual extinctions caused by the clouds. We found that two molecular clouds are located almost at the same distance of about 1.1 ± 0.1 kpc, and the peak extinctions caused by the clouds are about 2.2 ± 0.3 mag in V band.
        4,000원
        49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factors on achieving good viability of embryos biopsied fur sexing, to investigate pregnancy rate following embryo transfer(ET) with sexed embryos, and to confirm the accuracy for the calves bort following ET with sexed embryo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To investigate viability of Hanwoo embryos after biopsy for sexing, fresh and frozen/thawed embryos were biopsied according to different developmental day of blastocysts, different stage of blastocysts, and different biopsy grade and the embryos themselv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in TCM199 after microsection to be evaluated morphologically for recovery as blastocys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rate of oocytes cleaved in vitro and the rate of blastocyst of the cleaved oocytes were 52.5% and 21.6%, respectively. The rate of blastocyst on day 8 was 11.2%, denoting the highest rate during whole culture period posterior to in vitro fertilization(IVF) 2. After biopsy for sexing, the viability rate of blastocyst on day 7, 8 and 9 was 75.0%, 88.4%, and 100.0%, respectively and the viability of early, mid, and expanded blastocyst after biopsy was 75.0%, 88.9%, and 91.1%, respectively The viability rate of fresh and frozen/thawed embryos was 89.9%, 71.4%, respectively. And the viability of expanded, hatching, and hatched blastocyst of frozen/thawed embryos was : 75.0%, 75.0%, and 50.0%, respectively. The viability of embryos according to biopsy grade of 10∼20%, 21∼30%, and 31∼40% was 85.7%, 91.5%, and 71.4%, respectively. 3. Pregnancy rate after transfer with biopsied embryo between flesh and frozen/thawed embryos was 22.6% and 20.0%, respectively. 4. In comparison between sex by PCR method and sex of calves born after embryo transfer, the accuracy of sex deterimination was 92.3% (12/13).
        4,300원
        49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rst, in order to improve selecting method of quality characteristic level desired by customers, S/N(Signal-to-Noise) ratio of Taguchi in larger-the-better characteristics was applied. Second, the Matrix classification standard of ACE(Attribute Categorization Evaluation) is presented using KANO model on difference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rough questionnaire from customers. This is for reflecting the diverse EC which customers want in EC quality sufficiently. Also, establishing sales point will be helpful in business strategy through presenting types that are able to decide planning quality. Third, the important measure of EC about correlation amon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 new weight of EC are calculated depending on importance of EC and the weight of customer attribute and materials of relationship matrix through correlation matrix analysis.
        4,300원
        49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단고추 자루식 양액재배시 육묘일수에 따른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풋트당 2주로 하여 육묘일수 20일, 30일, 40일, 50일, 60일 처리구를 두고 재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묘 소질은 육묘일수가 길수록 묘 생육이 좋았고 정식후 개화일 빨랐으나 평균 개화소요일수는 30일묘에서 48일로 가장 짧았고 다음으로 20일묘 순이었다. 뿌리활력은 20일과 30일묘에서 양호하였고 1차측근수는 30일묘가 1.5mm 이하 굵기의 뿌리수가 106.5개로 가장 많았으며 1차 측근장도 1,085cm로 가장 길었다. 정식후 생육은 엽중, 그중,경중 모두 30일묘에서 좋았으며, 수량은 수확초기에는 육묘일수가 긴 60일과 50일묘에서 수량이 많았으나 재배기간이 길어질수록 30일과 40일묘에서 수확량이 많았고 총수량도 많았다.
        4,000원
        496.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의 한국 연근해산 참조기의 연령사정은 전부가 비늘에 의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참조기의 이석을 연령형질로 사용하여 가장 적절한 연령사정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참조기의 이석은 외관상으로는 윤문이 보이지 않으므로 얇게 절단하여 판독하는 방법(thin section method)이 적절하며, 성장 초점을 기준으로 가로, 세로, 대각선 세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여 윤문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나는 방향을 알아본 결과 세로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가 윤문의 판독이 가장 용이하였다. 체장-체중 관계식과 성장식의 추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성장에 관한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오차구조를 밝혀 매개변수의 추정에 정확성을 기하였다. 체장-체중 관계에서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오차도 증가하는 곱의 오차구조를 가지며 관계식은 W=0.0049L3.2153으로 나타났다. 성장식에서는 오차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며 비선형 회귀분석에 의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t=37.11(1-e-0.20(t+1.88))로 나타났다.
        4,300원
        497.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위의 TM-1A와 GPS(모델명: 4000SSI, GPS 45 Garmin corporation)를 활용하여 공주대학교 천문대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경위의를 이용한 관측에서는 2개의 별(α Aur, α Boo)을 선정하여 남중시각과 남중고도를 측정한 다음위도와 경도를 얻어내었다. 또 GPS를 이용한 관측에서는 6개의 GPS 위성에서 보낸 자료를 수신하여 위도와 경도를 측정하였다. 공주대학교 천문대의 위치는 경도 127˚8'33'.16 , 위도 36˚ 28'14'.20로 결정되었다.
        4,000원
        49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sphamidon의 가수분해속도상수는 25。C, pH 4, 7 및 9에서 각각 0.0020, 0.0022 및 0.0049이었고, 40。C에서 각각 0.0040, 0.0050및 0.0150으로 측정되었다 같은 pH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촉진되었으며, pH 9의 염기성조건에서는 15。C상승에 반감기가 약 3배 정도 빨랐다. 또한 같은 온도에서 산성(pH 4)과 중성조건(pH 7)에 비해 염기성조건에서 가수분해반응이 약 2∼4배 정도 빨랐다. Profenofos의 가수분해속도상수는 25。C, pH 4, 7 및 9에서 각각 0.0022, 0.0047 및 0.0860이었고, 40。C에서 각각 0.0031, 0.0086 및 0.1245로 측정되었다. Profenofos의 가수분해는 phosphamidon과 마찬가지로 같은 pH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촉진되었으며, 같은 온도에서 산성과 중성조건에 비해 염기성조건에서 가수분해반응이 약 15∼40배 정도 빨랐고 반감기가 모두 8시간 이내로 가수분해반응이 현저하게 일어났다. Profenofos의 가수분해속도가 phosphamidon보다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수분해에 의한 분해산물을 확인하고자 GC/MS분석을 한 결과 phosphamidon의 분해생성물은 m/z=153의 O, O-dimethyl phosphate(DMP)와 m/z=149의 N, N-diethylchloro acetamide로 추정된다. Profenofos의 분해생성물은 m/z=208로 4-bromo 2-chloro phenol과 m/z=240으로 O-ethyl S-propyl phosphate로 추정된다.
        4,000원
        49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ebrafish(Brachydanio rerio)를 실험어류로 하여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생물농축계수(bioconcentration factor: BCF)와 배설속도상수(depuration rate constant) 및 LC$_{50}$를 측정하였다. Phosphamidon의 24, 48, 72, 96시간 LC50 모두 l00 mg/l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Phosphamidon 1 mg/l(고농도)와 0.2 mg/l(저농도)에서 어류 체내에서의 농축정도는 두 농도군에서 각각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168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도 12시간에서 16시간 사이에 고농도(0.89, n=7)와 저농도(0.96, n=7)모두 1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Phosphamidon의 배설속도상수는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각각 0.21 h-1과 0.18 h-1 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3.30및 3.8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각각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07 및 0.04 $\mu\textrm{g}$이하로 떨어져 대부분 배설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ofenofos의 24, 48, 72, 96시간 LC50는 각각 2.9, 2.6, 2.2, 2.O mg/l로 측정되었다. Profenofos의 96시간 LC$_{50}$ 농도의 1/100농도(0.02 mg/l)와 1/500농도(0.004 mg/l)에서 어류체내에서의 농축정도는 phosphamidon과 마찬가지로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168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은 12시간에서 168시간 사이에 96시간 LC$_{50}$농도의 1/100농도와 1/500농도에서 각각 111.3(n=7)과 141.9(n=7)로 측정되었다. Profenofos의 배설속도상수는 96시간 LC50 농도의 1/100농도와 1/500농도에서 각각 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4,000원
        50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의 목적은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량 교각의 비선형 이력거동을 해석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반복적인 횡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교각의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도출하고자 수정된 trilinar 이력거동모델을 이용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비선형 거동특성과 각 하중단계에 따른 교각의 중립축을 구하여 소성힌지부의 모멘트와 변형률을 구하고 반복하중하에서의 강성의 변화를 해석적으로 모형화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강성을 갖는 5가지 지선을 갖춘 형태의 이력거동모델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구한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이용하여 축하중비 주철근비 및 구속철근비에 따른 강도감소지수와 강성감소지수의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일반식으로 제안하였다 새로운 이력거동 해석 모델을 프로그램 SARCF III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강도 및 강성감소 현상을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