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3

        501.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textiles는 학습자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STEAM 교육에 적합한 도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을 설계 및 적용하여 이 방법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자기 확신과 독립성, 확산적 사고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이 학습자의 자기 확신과 독립성, 확산적 사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킨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507.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질적접근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이중언어 강사들의 학교생활의 어려움과 그 대응 및 이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이중언어 강사들은 업무적, 사회적, 제도적 차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업무적으로는, 적절한 교재 부재와 명확한 예산의 부족, 연수 배제와 연수 기회의 제한, 사무 처리와 언어적 곤란, 업무 한계의 모호와 과다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 사회적으로는, 비정규직이라는 소속의 모호함과 그에 따른 처신의 어려움, 물리적·사회적 고립, 동료 및 기관 간 업무 협조 부재, 낯선 학교내 조직문화 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끝으로 제도적으로는, 고용 불안정과 저임금 및 일방적 행정 처리와 무계획성에 힘들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이들은 제도권 진입과 양호한 근무여건이라는 점에서 현재의 직업에 만족을 표하고 있었으며, 화이트 칼라 동료와 인간적 교류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사고 있었다. 아울러 교사에 대한 한국 사회의 높은 사회적 인식 속에서 이주민으로서 한국사회에서 교사로 일할 수 있다는 것에서 보람과 자긍심을 느끼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기초로 이중언어 강사 제도와 다문화교육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50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에서 배운 내용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시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 4, 5, 6학년 795명을 대상으로 연구 취지와 실시 방법을 사전에 설명한 후 학습자 배경 변인, 학습자 내적 특성, 교육내용 및 설계, 학습 수행 환경, 학습 전이 등의 관련 검사를 실시하여 786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7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 내적 특성, 교육 내용 및 설계, 튜터 지원, 사이버가정학습 수행 환경, 학습만족도가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적 향상에 대한 기대와 사이버가정학습을 학습할 수 있는 준비 자세 등 학습자 내적 특성을 사전에 잘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지원하는 튜터의 역할과 사이버 상에서 안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이 중요하므로 무엇보다도 효율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주어야 한다. 셋째, 학교 수업과 연계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물론, 학습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설계해야 한다.
        509.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체험에서 나타나는 상황적, 정서적 공통요인과 체험과정이 어떤 것인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현상을 체험하는 연구자가 직접 자신의 체험 속으로 들어가 체험현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 현상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을 찾도록 돕는 방법인 체험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년 이상 20년 이하의 경력을 지닌 초등교사 8명이었다. 이들은 공동연구자로서 각각 자신의 자기성찰 체험을 3회 이상 작성하고, 2개의 집단으로 나뉘어져 자기성찰 체험에 대한 집단합의과정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교사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상황적 공통요인으로 ‘의미 있는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 ‘관계를 사려 깊게 바라볼 때’, ‘당연하게 바라보던 상황을 낯설게 경험할 때’, ‘주위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때’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가 자기성찰 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공통요인은 ‘화남’, ‘당황함’, ‘미안함’,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과정은 유발, 탐색, 이해, 실천, 확산의 5단계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자기성찰은 진정성을 바탕으로 한 관계 속에서 실현된다는 점과 자기성찰의 체험 과정에서 긍정적 확산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실천의 단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51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이버 괴롭힘 예방을 위한 학급 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라 선별된 활동안을 이론 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과 예비적용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총 14회기로 구성된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C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에 사이버 괴롭힘 가해 위험 요인 검사를 실시하고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참가자의 경험 보고서와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이버 괴롭힘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사이버 괴롭힘 가해 위험 요인인 학교폭력, 충동․공격성, 존중․지지감, 부모관계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511.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주변의 작은 생물과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작은 규모의 생물과 미생물에 관한 연상 용어 및 이미지, 이로움과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대학 재학생 21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작은 생물을 대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와 연상 단어를 선택하고 서술하도록 구성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이 선택한 연상 용어와 이미지의 빈도 및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선택 이유 및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답변하였는가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 예비 초등교사들은 우리 생활에서 활용되는 미생물보다 작은 규모의 동식물을 작은 생물의 이미지로 생각하는 빈도가 높았다. 연상 용어는 특정한 생물명과 포괄적인 명칭이 많았으며,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하지는 못하였다.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변의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맥락적인 상황을 활용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51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 커리큘럼의 일부로, 교육용 게임을 개발 시 필요한 “게임제작 방법 론”을 서울 사립 초등학교 역사수업에 도입 된 교육용 게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 다. 교육용 게임 개발 시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매체들을 학 습 도구로 정의하고, 플레이어를 사용자로 간주하여, 기존의 게임 개발 프로세스와는 다르게 학생 과 교사를 최종 사용자와 의사 결정자라는 관점에서 UX 디자인 중심의 개발을 실행하였다. 게임 의 플랫폼은 UX디자인 중에서도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경험 디자인 중심의 개발 과정을 도입하 였다. 이를 통해 의사 결정권자인 선생님들이 게임이라는 학습 도구를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도 록 게임 플랫폼 설계 단계부터 사용자 중심으로 디자인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게임과 게임 플랫 폼을 통해 교사들이 의도한 학습 방향으로 학습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학습효 과 역시 최종 사용자인 아동들의 학습 동기와 성취도를 높여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사 례를 통해 국내 사립학교 학습 환경과 교과에 도입 가능한 수준의 교육용 게임 모델을 제시 하 고, 이를 위한 실질적인 교육용 게임 개발 방법론을 제안 하고자 한다.
        51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CT(computational thinking)를 기반으로 공유와 리믹스 기능을 활용한 스크래치 프 로그래밍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본 과정은 초등학교 5, 6학년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6주 간 사이버수업으로 실시되었다. 스크래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제작을 위하여 학생들은 댓글활동 및 모둠활동과 더불어 작품 공유 및 리믹스를 하는 활동에 계속해서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들은 실생활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향 상을 보인 학생들의 공통점은 스크래치의 공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고, 리믹스 기 능을 2회 이상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에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능력도 고루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CT를 기반으로 설계한 스크래치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창의 적인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준다고 볼 수 있겠다.
        51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practice on badminton skil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during practice with observation learning, repeated reading and mixed practice combining observation learning and repeated reading. Methods: Thirty-six 5th grade mal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control, observation learning(OL), repeated reading(RR), and mixed model(MD). Before performing the striking skill, they observed the badminton expert’s performance three times in real time. They were asked to peform high clear striking as a badminton skill 20 times at pre-test, practice, retention(RT) and delayed retention(DR). During intervention, control group watched video clips not related badminton, OL was asked to watch the video containing the expert performance in saggital view, RR was required to read the customized reading material, and MD watched the expert’s video and read the reading material.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score between pre-test, RT, DR in MD.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MD seems more effective practice to learn badminton skill for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
        515.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진주, 남해, 하동, 산청, 의령에 위치한 초등학교 10곳 을 선정하여 4, 5, 6학년 학생들의 식물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설문지는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의 중요 성,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 식물에 대한 흥미도, 식물에 대한 이 용에 대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총 2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를 종합하여 식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총 1,690부의 설문지 를 배부하여 회수된 1,606부를 SPSS/WIN(Version 18.0)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학년에 따라 세부 항목별 분석 결과를 보면 식물 의 중요성에서는 4학년에 비해서 5, 6학년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 다. 식물에 대한 흥미도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이 낮은 흥미도 값 을 나타내었다. 식물에 대한 이용은 5, 6학년이 4학년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식물에 대한 태도 전체값은 4학년과 6학년 사이는 차이가 있으나 5학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서 식물의 중요성, 식물에 대한 흥미도, 식물에 대한 이용에서는 남 학생, 여학생이 서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더 식물에 대한 태도값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 항목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님 농사 여부에 따라 평균비교를 해본 결과, 식물에 대한 태도는 부 모님의 농사여부에 따라 식물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 었다. 부모님이 농사를 짓는 학생들이 식물의 중요성, 식물에 대한 흥미도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 식물에 대 한 이용 항목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학년별, 지역별, 성별과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대한 빈도를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학년에 따라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 다. 이는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가 가장 높은 학년은 4학년이고 그 다음으로는 5학년이고 그 다음으로는 6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대한 빈도를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지역에 따라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고 나 타났으며, 성별과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 결과 성별에 따라 부 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 가 높게 나타났다.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따라 식물의 중요 성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에 대한 태도, 식물에 대한 흥미도, 식물에 대한 이용은 통계적 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도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따라 식물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51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초등학 생의 환경의식과 행동과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 하고 전후 설문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8회차로 회당 120분으로 전반 60분은 이론수업, 후반 60분은 환경실습수업 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 시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환경태도, 환경행동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프로그 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수준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경 지식부문에서는 석탄사용연료 사용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가 발 생한다는 지식에 대한 이해가 여타 부문에 비하여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조작적 이해부문에서는 자연보호활동에 대한 참여 인식 및 재활용 사용 중요성 인식에 대한 이해가 다른 이해부문에 비하여 보다 높아지는 유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환경가치 및 신념부문에 서는 화학약품의 사용 저감, 과학기술의 발전 가치, 자연보호를 위 한 편의 포기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향상 폭이 높았으며, 정서영역부 문에서는 회사가 동물로 제품테스트하는 것에 화난다는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환경자극경험 부문 중 학교에서의 경험에 대한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활동진술영역 부문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은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환경교육은 단순한 지식습득이나 이해의 교육이 아니라 태도와 가치관 교육이며, 습관의 형성에 의한 교육이기에 어린시기 에 이루어질수록 그 효과가 크다. 이에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은 환 경, 생태계 등에 대한 일반적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라는 점에서 매 우 중요하며, 본 연구의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결과는 초등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각 환경교육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환경 인식, 태도, 행동부문별 세밀한 분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경우, 각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부문의 긍정적 효과를 도출하는 데에 보다 유 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보다 효과적인 초등학생 대상의 환경교 육 프로그램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51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이 아닌 일반가정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매뉴얼’을 일 반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에 서 개발한‘다문화 통합교육용 원예활동 매뉴얼’(NAFC, 2008)에 근거하여 자아존중감 모형 8회기, 공감과 배려 모형 6회기로 총 14 회기의 다문화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범주의 자아정체성, 자기애 와 이기심의 구분, 자아실현 3개의 내용요소로, 공감과 배려 범주의 sympathy 와 empathy, 존중에 근거한 배려, 편견과 차별 3개의 내 용요소로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명(남 15명, 여 12 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 고 자아존중감, 배려, 다문화 이해, 다문화 태도 사전-사후 설문 검 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자아 존중감(t=5.68, p=0.0000), 공감과 배려(t=3.04, p=0.0026), 다문 화 이해(t=6.92, p=0.0000), 다문화 태도(t=8.14, p=0.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초등 학생의 자아존중감, 배려, 다문화 이해,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본 프로그램이 단기적인 활동이었기 때문에 배려의 하위 영역인 행동적 영역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