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5

        50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SM (response surface method) is a statistical method that optimizes a response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multiple explanatory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 [1]. RSM visualizes responses of the target depending on experimental conditions, using a regression equation containing an intercept, and coefficients of first-order, second-order, and interactive terms (equation 1). Response surface experimental design is a method for designing RSM experiments [2] which aims to identify the optimal number of trials (number of data points) and number of conditions (range of experiment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regression model. Generally, the number of trials in an experiment is composed of central points, factorial points, and axial (or star) points,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variables. In this study, we used three widely used response surface experimental designs, i.e., simplex, central composite, and equiradial designs to propose experimental set-up applicable for a future study regarding the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e.g., temperature and humidity) on glucosinolate content.
        50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uttle-Based Storage/Retrieval System (SBS/RS) is relatively new to industry. The system is in the category of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em (AS/RS), but it is different in that the SBS/RS uses shuttles as Storage/Retrieval (SR) machine instead using a stacker crane. The shuttles are assigned to each tier on multi-tier system and operated for pick-up or drop-off order. Since the system can handle multiple orders simultaneously, it can provide much higher throughput than that of general AS/RS with single stocker crane. Thus, this new system is well fit to recent tendency of increasing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and orders. One of the drawback of this system is that it needs a lot of investment to set up.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ystem would be one of the critical matters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of capital investment.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dwell point policy for shuttles to find efficient way of operating the system. There are four basic policies for the dwell point and we had simulation-based experiment for two different scenarios based on the speed of the shuttle and inter-arrival time of the loads coming to the system combined with four different policies. As it was mentioned above, this SBS/RS relatively new to the field and there is no such experiment shown on previous research and the study of dwell point policy for this SBS/RS could provide the direct comparison of each policy with different hardware specification; the capability of the system. The policy that achieves most efficient operation among the given environment is proposed and the usability of the system is discussed.
        4,000원
        50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을 갖는 전극 제조를 위해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단일벽 탄소나노튜 브 복합체를 금이 코팅된 PET 기판 위에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제조된 플렉시블한 전극의 전기 용량 값 은 1 M의 황산 전해질과 100 mV s-1 의 주사속도에서 82 F g-1 으로 측정 되었으며, 이 용량 값은 500 번의 굽힘 시험 후에 38 F g-1 로 감소되는 현상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정전류 충 방전과 전기화학 임피던스법을 포함한 전기화학적 분석 결과와도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연성을 갖는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전극은 500회의 반복적인 굽힘 시험 후에도 대략 50%의 초기 전기 용량 값을 유지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미래 개발 가능한 플렉시블한 에너지 저장 매체로써의 적용이 가능 하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 다.
        4,000원
        50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the shelf-life of mushrooms, Lentinula edodes GNA01 mushrooms were treated with gel packs containing slow-released chlorine dioxide (ClO2) gas at 5~10 ppm for 5 days at 20℃ and the weight loss rate as well as the changes in pH,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the treated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weight of the control and ClO2 gas treated samples were decreased slightl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during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weight of the control changed faster than those of the ClO2 gas treated samples during storage period. The pH in the control and in the ClO2 gas treated sample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but the samples treated with 5 and 7 ppm ClO2 gas were the least changed. On the other hand, the samples treated with 10 ppm ClO2 gas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other treatments during 4 days, but the pH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the fifth day. The lightness of inside and outside in mushroom were decreased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However, color changes in the ClO2 gas treated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Especially, the samples treated with 5 and 7 ppm ClO2 gas were the least changed. The texture of the mushroom were decreased consistently during storage period. The texture of the control changed faster than those of the ClO2 gas treatments during 5 days. Especially, the samples treated 5 ppm ClO2 gas were the least changed.
        4,000원
        505.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광역의 방사성 오염부지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제염작업으로 인하여 다량의 제염폐기물이 발 생하였다. 일본에서는 이를 보관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임시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피난지시해제가 이루어진 지역의 일반인에 대하여 방사선학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저장시설 인근에 거주하 는 일반인의 방사선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임시저장시설 특성에 따른 거리별 공간 방사선량률 및 선량제한치를 만족하 는 임시저장시설로부터의 이격거리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임시저장시설의 형태 및 크기, 복토 두께 등을 고려하였으며, MCNPX를 이용하여 방사선량률을 평가하였다. 복토에 의한 차폐효과는 두께가 10 cm일 때 68.9%, 30 cm일 때 96.9%, 50 cm 일 때 99.7%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형태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지상 보관형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반 지하 보관형, 지하 보관형일 순으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크기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5 × 5 × 2 m 시설을 제외한 시 설에 대하여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임시저장시설 내 적재된 제염폐기물에 의하여 자기차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최종 적으로 크기가 50 × 50 × 2 m이고, 복토가 없는 임시저장시설의 경우, 지상 보관형의 평가된 이격거리는 14 m(최소농도), 33 m(최빈농도), 57 m(최대농도)이며, 반지하 보관형의 이격거리는 9 m(최소농도), 24 m(최빈농도), 45 m(최대농도), 지하 보관형의 이격거리는 6 m(최소농도), 16 m(최빈농도), 31 m(최대농도)로 나타났다.
        4,000원
        50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36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임목(지상부와 지하부), 고사목, 유기물층, 토양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총 3개의 표준지 내에서 11 그루의 표준목을 선정하였고 고사목, 유기물 층, 토양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대한 지상부 및 지하부 탄소저장량은 각각 51.0 ton C/ha, 29.6 ton C/ha로 나타났다. 부위별 구성비는 줄기 목질부 41.0% > 뿌리 36.8% > 가지 12.8% > 줄기 수피 6.0% > 잎 3.4%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목의 탄소저장량은 0.65 ton C/ha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층 탄소저장량은 6.40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의 총 탄소저장량은 51.62 ton C/ha로 나타났으며 층위별 탄소저장량은 0∼10㎝에서 20.27 ton C/ha, 10∼20㎝에서 12.83 ton C/ha, 20∼30㎝에서 12.27 ton C/ha, 30∼50㎝ 에서 6.24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층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탄소농도와 용적밀도에 의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은 총 139.27 ton C/ha로 나타났고 탄소저장량 구성비는 토양에서 37.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지상부에서 36.6%로 나타났고 지하부(21.3%), 유기물층(4.6%), 고사목(0.5%)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 산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0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dates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weetpotato varieties was studied. Three sweetpotato varieties, Yulmi, Singeonmi, and Dahomi, were transplanted on 23 Apr., 21 May, 5 June, 15 June, 25 June, 5 July, 15 July, and 25 July. Fresh vine weight and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of the three varieties were the highest in transplanting plots on 23 April and 21 May, respectively, and those tended to decrease when transplanting dates were late after May. GDD (Growing Degree Days) and cumulative radiation seemed to be related to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Number of marketable storage root per plant, average weight of marketable storage root, and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ransplanting dates.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resh vine weight, number of marketable storage roots, and average weight of marketable storage roots. Hardness and dry matter content of storage roo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arch content and decreased with late transplanting dates in Yulmi and Singeonmi varieties. Pasting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luble solid content, dry matter content, and amylose content, but i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breakdown. Setbac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ansplanting dates.
        4,000원
        50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출 절화 백합 Medusa 품종을 대상으로 일본 모의 수출 환경에서 농가에서의 전처리와 습식수송이 절화 수 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절화 백합은 수확 직 후 증류수(대조구), 상업용 전처리제 Chrysal SVB 단용, Chrysal AVB + SVB 혼용으로 전처리 되었다. 이 후 일본 모 의 수출 환경으로 프로그램된 생장조절실에서 건식(건조수 송), 습식(수분수송)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절화수명은 수확 후 일본 수송된 이후부터 조사되었다. 그 결과, 절화수명 및 절화 품질 개선에 있어서 전처리 효과보다는 수송방식 효과가 우수 하였다. 특히 습식수송은 절화수명을 건식수송보다 2일 연장 시켰다. 한편 농가에서 실시하는 전처리는 절화수명과 개화 율, 화색발현, 잎 황화현상 등과 같은 절화 품질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세균활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습식수송이 수출 시 절 화품질 개선에 핵심요소이며 전처리 효과는 계절에 차이를 보 일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50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1-MCP처리와 저장방법이 아스파라거스의 신선도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MCP 처리는 MA 조건과 유공필름(관행조건)에 처리 되었으며 무처리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여 저장하였다. 처리된 아스파라거스는 40일 동안 4oC에 저장되었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1-MCP 처리를 포함한, MA저장 처 리구에서 0.2% 이하였고 유공필름에 저장된 1-MCP 처리는 생체중 감소율이 저장 20일 후부터 다소 낮아졌다. 포장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MA저장 처리구 모두 최적 CA 조건인 5-12%(CO2)의 농도를 유지하였고, 산소농도는 5-15%를 유지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MA저장 1- MCP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저장 최종일의 외관상 품질, 이취, 경도, 당도, 그리고 Hue angle 값은 MA저장에서 관행저장보다 우수하였으나 1-MCP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1-MCP처리는 아스파라거스의 품질 및 저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51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k presented in this report was a detailed comparative study of the electrochemical response exhibited by graphite anodes in Li-ion batteries having different physical features. A comprehensive morp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was carried out for these graphite samples via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Later,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testing and the galvanostatic intermittent titration technique for these graphite samples as negative electrode materials in battery opera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material having a higher crystalline order exhibits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when evaluated in terms of rate-capability performance. All thes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t high C-rates ranging from 0.1C up to 10C. Such improved response was attributed to the crystalline morphology providing short layers, which facilitate rapid Li+ ions diffusivity and electron transport during the course of battery operation. The values obtained fo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se graphite anodes support this possible explanation.
        4,000원
        512.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 주도로 2009년부터 개발중인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스템은 금속 겸용용기와 콘크리트 저장용기의 두 가지 방식이다. 국외 건식저장시설 운영 시 주요 격납감시 방안으로는 금속 겸용용기인 경우 이중 뚜껑 사이에 압력센서를 설치 하여 실시간 압력변화를 감시하는 방법이 있고 콘크리트 저장용기의 경우는 캐니스터 기반으로 주요 격납 경계인 뚜껑을 이중으로 용접하는 방식으로 구조물(over pack 또는 module)의 공기 유로인 입구 및 출구에 대한 온도 변화를 감시하는 방 법으로 격납을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독일 등 30 년 이상 안정적으로 저장시설을 관리한 국가의 다양한 적용기 술 및 운영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우리가 개발중인 저장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격납감시 방안을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 도록 하였다.
        4,000원
        51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cuma alismatifolia ‘Chiangmai Pink’는 분홍색 화 포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꽃을 가지고 있다. Curcuma alismatifolia ‘Chiangmai Pink’는 하나의 근경에 2 ~ 5개의 괴근이 연결되어 있으며 C. thorelii ‘Chiangmai Snow’의 하나의 근경에 3 ~ 18개의 괴근이 연결되어 있다. 괴근은 11월에 수확하여 이듬해 4월에 식재하였다. 괴근을 3 ~ 6 개 가지고 있는 ‘Chiangmai Snow’의 개화율은 86%였으 나 15 ~ 18개 가지고 있는 것은 거의 100%를 나타냈다. 괴근 2개를 가지고 있는 ‘Chiangmai Pink’의 개화율은 50%였으나 5개 가진 것은 70%의 개화율을 보였다. C. alismatifolia ‘Chiangmai Pink’와 C. thorelii ‘Chiangmai Snow’는 괴근수가 많을수록 출아일, 화뢰출현기 및 개화 기가 단축되었으며, 초장, 화경장 및 화서장이 증가되었 고, 개화율과 수명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식 재 전 구근의 저장온도는 20oC에 비해 25oC 및 30oC의 경 우 정식 후 맹아가 출현되기까지의 일수가 감소되었다. 또 한 건식저장보다 습식과 상토저장 시에 맹아출현 소요일 수가 크게 단축되었다.
        4,000원
        51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계 조절 서비스 중에 하나인 기후 조절 서 비스 산정을 위한 국내 주요 생태계의 탄소 저장 지표를 산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 를 바탕으로 주요 생태계 (도시녹지, 경작지, 활엽수림, 침엽 수림, 혼효림, 초지, 담수, 연안, 해양)의 탄소 저장량을 이용 하여 탄소 저장 지표를 산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측정 방법 으로 추정된 탄소 저장 지표의 불확실도를 국제기준에 따라 산정하였다. 국내 주요 생태계의 조절 서비스를 생태계 유 형, 측정 방법 그리고 저장고별로 정량화한 결과 탄소 저장 지표는 산림 생태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4,000원
        51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 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황폐화 방지와 온실가스 감축을 목 표로 한 REDD+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북한 황해북도에서 10,000 ha를 대상지에 대해 다 중시기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산림 황 폐화는 계속 심해져, 1989년 7,035 ha로부터 2013년 4,293 ha로 약 39%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산림 탄소축적량은 약 284,399 tCO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 준선을 설정하고 REDD+ 사업에 의한 산림탄소 감소방지 량 (온실가스배출감축량)을 분석한 결과 약 364,704 tCO2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 수행이 불가능한 한계점과 단위면적 (ha)당 산림탄소축적량 을 이용할 시 북한의 수종 재적 자료가 없는 제한 하에 남한 의 자료를 사용한 한계는 향후 극복하여야 할 과제라고 판 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향후 북한에서 REDD+ 사업을 위 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1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히트펌프와 잉여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온실의 난방효과를 검토하고, 난방을 위한 FCU(Fan Coil Unit)의 적정 소요대수를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최저 및 평균 외기온은 각각 26.2℃, –11.5℃ 및 4.4℃정도이었고, 수평면 일사량은 0.75~20.54 MJ·m-2 정도의 범위에 있다. 이 기간 동안 온실로 부터 회수된 총 잉여 태양에너지는 1,579,884.9kcal 정도로 나타나 이상화탄소 배출량을 약 470.3 kgCO2정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히트펌프 작동에 의해 축열탱크에 축열된 총 열 량은 26,556,903.6kcal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8,366.2 kgCO2정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히트펌프에 의해 축열된 총 열량 중에 잉여 태양에너지에서 얻은 열량의 비율은 최소 0.0%, 최대 20.9%, 평균 6.1%정도로서 기상상태나 히트펌프 작동상태 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히트펌프 시스 템의 성능계수와 히트펌프의 효율은 각각 약 2.64정도 및 약 86.6%전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난방에너지는 23,554,744.7kcal으로서 실제 히트펌프에 의해 축열탱크에 축열된 량의 약 88.7%정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당 전체 난방에너지는 10,993.1~18,786.9kcal·h-1범위였고, 평균 14,381.3kcal·h-1이로서 대부분 난방부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CU는 대당 1,597.9 kcal·h-1 전후의 값이나 5.0~6.0m2당 1대 정도로 설계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4,800원
        51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eeded jujubes are commonly consumed as snack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ed-removing machine for jujubes that relieves hard work in manual seed removal. The seed-removing machine consists of a jujube supplying unit, a punching unit, and a discharging unit.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shape characteristics, seed removing rate, sarcocarp cracking rate, and flesh hardness were analyzed throughout the jujube storage period. The machine showed good seed removing and sarcocarp cracking rates at room temperature and cold temperature storage on days 2, 15, and 50. Seed removing rates were 80% at day 15 and 96% at day 50. The sarcocarp cracking rates were 33% for day 15 and 30% for day 50. Hardness started to decrease from day 8 to day 70 at both room temperature and cold temperature storage. The working capacity of the machine was 900 fruits/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ujube seed removing machine is useful for reducing the labor requirements of postharvest jujube processing.
        4,000원
        51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appropriate control device for a purge type controlled atmosphere (CA) storage in Korea. To determine ideal performance,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trol capability and airtightne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ostharvest management manual of CA storage of Fuji apples. In shortened experiments for CA storage, the condition was delayed CA at 0-0.5oC for three days and stored at 0.1-0.5% carbon dioxide levels for 3 days and then further stored 6 days under 1% carbon dioxide. As a result, the temperature control range of a developed CA container was 0.0-0.5oC,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more than 90%, except for the defrosting step for the freezer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rate of pressure reduction for the CA container in the negative and positive pressure states was 0.45 and 0.21 mmH2O/min, respectively, and it was twofolds higher than standard airtightness for CA storage. After nitrogen injection, oxygen concentration was achieved at 2%,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maintained at 0.1-0.5% for 6 days. Afterwards, carbon dioxide levels were tightly controlled between 0.1-1.0%.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eveloped purge type CA container could be effective in commercially maintaining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4,000원
        51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