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삽지각도, sucrose 전처리 시간 그리고 sucrose 농도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Sucrose soaking 처리시 sucrose 농도는 0.5, 1 및 2% 그리고 sucrose pulsing 처리시 sucrose 농도는 0, 1, 2, 및 4%를 이용하였다. Sucrose pulsing처리는 2 hrs 및 20 hrs 전처리 한 다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관에 100 mL씩 각각의 보존용액을 채 운 후 삽지각도는 수평(0o), 수직(90o) 그리고 중간정도 (45o)를 유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Sucrose soaking 처리시 sucrose 농도와 각도에 따라서 꽃잎의 개화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아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sucrose 농도를 높게 하고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sucrose pulsing 2hrs 및 20 hrs 전처리 후, 삽지각도 45o 처리구에서는 개화가 지연되고 색상의 유지가 양호하였으나 90o 처 리구에서는 조사 시작일 부터 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색상도 빠르게 변색이 진행되므로 절화수명연장의 측 면에서 삽지각도 90o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 된다.
망개떡의 주원료인 청미래덩굴 잎은 소금물에 저장한 후, 이용 시 세척하여 사용한다. 이에 염장 시 저장 과정에서의 잎의 특성변화를 확인하였다.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염장 후 저장한 잎의 수분함량 변화 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소금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분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실온에서는 정제염에 저장한 잎의 전단력이 높았으나, 저온(4℃)에서는 천일염에서 저장한 잎의 전단력이 높았고, 소금의 농도는 높을수록 저장기간은 짧을수록 전단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실온보다 저온에서 저장과 소금의 농도가 10% 이하에서 저장한 잎의 색도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황사 사례 동안 WRF 기상모델과 SMOKE 배출량모델, CMAQ 및 CMAQ-MADRID 대기질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황사 발생량 경험식에 대한 PM10의 농도를 추정하였다. 특별히 Wang et al.(2000), US EPA 모델, Park and In(2003), GOCART 모델, DEAD 모델의 5가지 황사 발생 경험식이 중국과 몽골 등의 황사 발생량을 추정하기 위해 WRF-SMOKE-CMAQ(MADRID) 모델에 적용되었다. 일기도, 후방궤적 및 위성이미지 분석에 따르면 한반도로의 황사 수송은 절리저기압(위성에서 콤마형 구름)과 관련된 지상 전선의 뒤쪽에서, 그리고 상층 제트류의 발달에 기인한 파의 정체현상과 함께 상층 골에서의 풍속이 하층으로 전이되는 풍하 바람에 의해 생성되었다. 그리고 WRF-SMOKE-CMAQ 모델링 결과, 황사의 시 공간적 분포에 있어서는 Wang et al.(2000)의 경험식이, 평균 편의 및 평균 제곱근 오차에서의 정확도 부분에서는 GOCART 모델의 경험식이 관측값을 보다 잘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ang et al.의 경험식을 이용한 황사의 연직분포 분석 결과에서 강한 황사 사례(2007년 3월 31에서 4월 1일 800 μg/m3 이상)의 경우는 황사 수송이 한반도 상공 대기 경계층 내를 통과하였기 때문으로, 약한 황사 사례(2009년 3월 16일과 17에 400 μg/m3 이하)의 경우는 황사 수송이 경계층 위를 통과하였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CMAQ 모델과 CAMQ-MADRID 모델에서의 미세먼지(PM10) 민감도 분석 결과에서는 CMAQ-MADRID 모델이 CMAQ 모델에 비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최대 25 μg/m3 정도가 높게 모사되었고, 모델 내 구름 액상과정에 의해서는 최대 15 μg/m3 정도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환경변수의 시계열 분포도 작성과 불확실성 모델링을 위해 시공간영역으로 확장된 다중 가우시안 크리깅을 제안하였다. 다중 가우시안 틀 안에서, 우선 정규점수변환된 환경변수를 결정론적 경향 성분과 확률론적 잔차 성분으로 분해하였다. 그리고 시간 경향 모델 계수의 내삽을 통해 경향 성분의 시계열 공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정상성 잔차 성분의 시공간 상관 구조는 곱-합 시공간 베리오그램 모델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이 베리오그램 모델과 시공간 크리깅을 이용하여 국소적 누적 확률분포함수를 모델링하였다. 이 국소적 누적 확률분포함수로부터 평균값과 조건부 분산을 계산하여 공간분포도 작성과 불확실성 분석에 각각 이용하였다. 제안 기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인천광역시에서 3년간 13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월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 자료를 이용한 시계열 분포도 작성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제안 기법을 통해 기존 공간 정규 크리깅에 비해 작은 편향과 높은 예측 능력을 가진 시계열 미세먼지(PM10) 농도 분포도 작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건부 분산과 특정 농도값을 초과할 확률값들은 해석을 위한 유용한 보조 정보를 제공하였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urinary phenol of workers exposed to phenol. Subjects and Methods : Total 41 workers were selected at bisphenol A manufacturing plant and their urinary phenol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work along with the phenol concentration in the workplace air, and carried out a survey on work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factors that could affect urinary phenol. Results : The phenol concentration in air during work hours was 0.91 (non-detection~2.88) mg/m3, and the worker’s urinary phenol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work were 100.27±75.76 and 138.13±109. 58 mg/g creatinine, respectively,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Comparing smoking and urinary phenol concentration, smokers had 194.54±137.52 mg/g creatinine while non-smokers had 108.88±80.10 mg/g creatinine, thus showing the urinary phenol concentration of smoker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0.046). The urinary phenol concentration increased as work hours, the frequency of skin exposure to phenol, and the amount of drinking increase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ts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work type and whether or not workers wore protective gear. The results of carrying 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henol concentration in air, work hours, frequency of skin exposure, and smok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urinal phenol concentration increased more for smokers than for non-smokers, when work hours became longer, and when the frequency of skin exposure was over five times. Conclusions : The factors that influenced urinary phenol in workers exposed to phenol were phenol concentration in air, work hour, frequency of skin exposure, smoking, work and lifestyle habits. Accordingly, biological monitoring for phenol exposure assessment must reflect these factors, and effort must be made to reduce skin exposure at workplace.
마산만의 수질변화와 chlorophyll-a의 관계를 밝히고자 이 해역을 대표할 수 있는 4개 정점에서 2010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강우와 기온을 포함한 기후학적 요인, 물리 화학적 요인, 그리고 chlorophyll-a의 변화를 집중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온, 염분, SS, 규산염은 정점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OD 및 DIN은 마산만 내만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시계열적으로는 여름철 집중 강우 시 마산만 지류 하천 및 낙
해양의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경제적, 생태적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출현장에서의 신 속한 방제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제의 신속․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사고초기 오염의 정도와 오 염범위 확산추세 등에 대한 신속한 자료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현장검증 등 기초데 이터 등을 수집하여 필수적인 근거자료로 활용하여야 하나, 해상오염도라든지 구체적인 현장의 오염현황 을 신속․정확하게 측정․파악하기란 상당히 난해한 일이다. 본 연구는 방제조치에 앞서 정확한 기름오 염 확산 범위, 농도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제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해양오염사고 현장의 기름농도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국내외 현황 및 구체적인 분석기술 조사를 통하여 실시간 수중 기름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장비, 프로그램 등)의 도입과 이동편의성, Data logger, 국내 해역 위치정보, 운용프로그램 등 국내 해역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tokine-induced osteoclastogenesis on tooth movement related to orthodontic force. We evaluated the cytotoxicity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OPG and RANKL, which influence the homeostasis of bone metabolism. Titanium particles were applied to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subcultured fourth generation cells. The ALP assay and the MTT assay were used to assess changes in cytotoxicity. After 48 hours, cytotoxicity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concentration of titanium. With 20 mg, the cytotoxicity was the lowest. R T-PCR was u sed for assessing m R NA l evels of O PG a nd R ANKL; after 96 hours, t he m R NAs of O PG a nd R ANKL increased steeply. A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with 20 mg of titanium, the protein expression of OPG increased linearly with time, especially a fter 96 hours, while t he p rotein e xpression o f RANKL d id n ot s how significant changes with titanium processing. Given the increase in OPG expression after the initial cytotoxicity, changes in cytotoxicity with titanium may be attributable to the antagonistic effect of OPG on cytotoxicity
The study of wave propagation and scattering in biological media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recent years. The propagation of light within tissues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confronts the dosimetry of therapeutic laser delivery and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spectroscopy.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photodynamic therapy(PDT) and in photobiology, the photon deposition within a tissue determin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otochemical reactions. Scattered light is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r) between the axis of the incident beam and the detection spot. Consequently, knowledge of the photosensitizer(Chlorophyll-a) function that characterizes a phantom is measured. To obtain the results of scattering coefficients(μs) of a turbid material from diffusion described by experimental approach. It was measured the energy fluency of photon radiation at the position of penetration depth. From fluorescence experimental method obtained the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scattered light as the values of (I/Io)wavelength v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incident beam and optical fiber in terms of the condition of "in situ spectroscopy(optically thick)" and real time by fluorometric measurements. The result was compromised with transport of intensities though a random distribution of scatters.
In this study, we estimated nitrogen dioxide (NO2) concentrations in microenvironments where residential indoor, residential outdoor, other indoors, and transportation using measured personal exposur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ime-weighted average model, and compared with measured NO2 concentration in microenvironments. Measured residential indoor, outdoor and other indoor NO2 concentration was 22.22±9.59 ppb, 23.64±9.62 ppb, and 22.07±13.90 ppb, respectively. NO2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total outdoor, other indoor, and transporta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significantly estimated as 20.48 ppb, 32.79 ppb, 24.35 ppb, and 28.82 ppb, respectively (p= 0.000). Measured and estimated NO2 concentration were similar with each other, therefore NO2 concentrations in each microenvironment were able to be estimated using time-weighted average model and personal exposure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스카리 우점품종인 ‘Early Giant’ 의 대량증식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잎 절편으로부터 소인경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MS 무기염 농도, 당 농도 및 광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스카리의 잎 절편을 2주간 암 배양 후 MS 기본배지에 NAA 0.01mg·L−1, kinetin 0.2 m·L−1, 자당 30 g·L−1와 gelrite 3 g·L−1가 첨가된 배지에 16시간 일장으로 명 배양하였을 때 자구형 성 및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다만, 자구 비대는 MS 배지 내 60 g·L−1 당 농도에서 촉진되었다. 온실에서 순 화된 식물체는 정상적으로 개화하였으며 정식 2년차에 1.5개 내외의 자구를 가진 구를 생산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fetal deaths an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of bitches. Seri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small-pet 23 dogs from gestation day (GD) 15 through parturition. The dogs were 3 non-pregnant bitches, 9 spontaneous delivery bitches, 6 partial early embryonic death bitches, 2 whole early embryonic death bitches, and 3 aborted bitches. The late pregnancy (GD 51-54) appeared in 2 of the 3 aborted bitches and the hypoluteoidism appeared in 1 of the 3 aborted bitches. The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of partial early embryonic death bitches (n=6)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spontaneous delivery bitches. We observed that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dramatic decrease before the onset of embryonic death in whole early embryonic death bitches that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of aborted bitches at late pregnanc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spontaneous delivery bitches. The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of the hypoluteoidism bitch were lower than those of spontaneous delivery bitches. At the hypoluteoidism bitch, fetuses were resorbed in early pregnancy and aborted in late pregnanc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diagnosis of partial early embryonic death could not be confirmed without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 partial early embryonic death was considered a spontaneous phenomenon and uncorrelated with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However, aborted bitches and whole early embryonic death bitches were related to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that of bitches gradually decreased before fetal dea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ministration of progesterone may be a useful preventing agent against fetal death.
에멀션 기반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주형합성법을 이용하여 산촉매로서 염산과 실리카의 전구체인 테 트라에톡시실란을 사용함으로써 메조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스피어를 합성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농도 증가에 의해 구형의 입자 형태가 파괴되었고, 기공구조도 크게 변하였다. 산촉매 농도 증가에 의한 구형의 입자형태 파괴 현상은 적었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형의 마이크로입자가 더 많이 생성되 었다. 하지만, 산성조건에서 입자들 간의 강한 응집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낱개의 분리되어 있는 단일입자 를 얻기 위해서는 초음파 등의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였다.
Diabetic patients tend to exhibit delayed bone formation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which results in osteopenia. Recently, numerous clinical reports suggest that 635-nm light irradiation improves bone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and reduces pain in patients suffering from diabe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635-nm irradiation can influence bone formation by MC3T3-E1 osteoblasts cultured o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25mmol/L D-glucos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and to establish an in vitro pathological model of bone formation. The effect of 635-nm irradiation on bone form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lizarin Red S staining, and alkaline phosphatase enzyme activ ity and calcium deposition assays. In addition, gene expression of the o steogenic markers BMP-2, osterix and osteocalcin were assayed by RT-PCR. Calcium deposition by MC3T3-E1 cells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or by PMA supplementation. However, 635-nm irradiation led to an increase in calcium deposition by MC3T3 cells, followed by increased bone mineralization. mRNA expression of BMP-2 and osterix at an early stage and of osteocalcin at a late stage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635-nm irradiation in MC3T3-E1 cells supplemen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Irradiation at 635 nm increases bone mineralization in MC3T3-E1 cells cultured in vitro o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alters osteogenic gene expression, which accelerates bone formation in hyperglycemic conditions.
NaCl 처리에 대한 물푸레나무, 모감주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NaCl 용액을 0, 25, 50, 100, 200mM 농도로 4개월간 처리하고 생존율, 상대생장율 변화, 생체중 및 건물중, 잎의 색소함량을 분석하였다. NaCl 처리에 따라 토양의 pH와 EC가 증하였으며,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4수종의 생장율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최종 생존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참느릅나무로서 200mM 처리구에서 15%의 생존율을 보였고, 나머지 3수종은 200mM 처리구에서 모두 고사하였다. 상대생장율,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총 엽록소 함량은 60일 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였으며, 모든 수종에서 NaCl 처리에 따른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NaCl 처리 시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4수종의 생장반응을 종합한 결과 참느릅나무, 모감주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내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blood components caused by metabolic syndrome increasing in postmenopausal elderly women. The blood samples of these subjec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lasma taurine levels and plasma homocysteine levels, and serum lipid profiles. The subjects were 33 elderly women(72.8±4.4 years). Their mean height, weight and BMI were 150.5±5.7㎝, 57.5±6.3㎏ and 25.4±2.5㎏/㎡. 16 women of this study subjects have been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or diabetes. Their fasting blood glucose was 98.2±24.0㎎/㎗, and their plasma total cholesterol (TC), HDL-C, LDL-C, triglyceride(TG) were 216.5±29.9, 52.1±10.7, 145.7±27.9 and 141.2±59.6㎎/㎗, respectively. Their blood lipid profiles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 levels of metabolic syndrome, thus these levels of lipid profiles may play a role as risk factors on the elderly person. Plasma taurine level of the subjects was 278.5±48.1 μMol/ℓ, and their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12.8±2.9 μMol/ℓ. The concentration of plasma vitamin B1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ging(p<0.05). The correlation of plasma homocysteine and plasma folat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p<0.05). Thus, the decreased levels of plasma vitamin B12 and folate by aging might affect on the plasma homocyteine concentration acting a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for elderly person. The correlation of plasma taurine and hemoglobin, and their platele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p<0.05). In conclusion, the diet on the elderly pers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prevent their health from chronic diseases. This study recommends that well balanced diets are needed for elderly person to keep their health and prevent from metabolic syndrome.
EC 기준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식물의 양분 흡수와 배액율은 재사용 양액 내의 이온 비율과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파프리카(Capsicum annum L. 'Boogie')의 EC 기준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시간과 배액율에 따른 이온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수집된 배액을 EC 2.2dS·m-1로 조정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하여 재사용 하고 주기적으로 샘플링 하여 이온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두번째 실험은 7%, 16%, 39%, 51%의 배액율을 적용하고 배액과 배액을 원수로 희석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하였을 때의 EC 변화와 이온 농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재사용 양액에서의 K+ : Ca2+와 SO42- : NO3-와 같은 이온 간의 비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의 이온 농도의 변화 범위는 각각 K+ 1.13, Ca2+ 5.35, Mg2+ 0.92, NO3- 0.9 SO42- 1.10, PO43- 0.19meq·L-1이었다. 이온 간의 비율 변화는 양이온에서는 주로 K+ : Ca2+을 중심으로 음이온에서는 NO3- : SO42-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 배액율에 따른 배액의 배액율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액 내 각 이온의 농도도 배액율의 증가에 따른 감소 경향을 보였다. 배액율에 따른 배액 내 이온 간의 비율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액을 희석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함에 따라 교정 효과에 차이가 나타났다. 7% 의 배액율이 새 양액의 이온 비율에 가장 근접하였으며, 16%, 51% 39% 순으로 교정되었다. 교정에 따른 이온 비율 변화는 K+ : Ca2+와 NO3-와 PO43-를 중심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