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3

        4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 ortho-phenylphenol을 함유한 훈증소독제, Fumagari OPP®의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에 대한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French standard NF T 72-281에 따라 수행하였다. 배양 현탁액 중 S. aureus의 균수 (N 값), 훈증소독제에 노출된 각 담체의 균수 (n1, n2, n3), 평판배지법에 의한 시험균주 현탁액 중 균수 (N1), 여과법에 의한 시험균주 현탁액 중 균수 (N2), 그리고 대조 담체의 회복 균수의 평균값 (T 값)을 예비실험을 통해 구하였다. 또한, 훈증소독제에 노출된 S. aureus의 감소 균수 (d 값)는, T 값, 회복액 중 균수의 평균값 (n'1) 그리고 배지의 담체에서 증식한 균수의 평균값 (n'2) 등을 이용하여 산출 하였다. N 값은 4.0 × 108 CFU/mL이었으며, n1, n2, n3은 각각 0.5N1, 0.5N2, 0.5N1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T 값은 3.4 × 106CFU/mL이었다. 훈증소독제의 살균효과에 있어서, d 값은 6.43 logCFU/mL이었다. 훈증소독제에 대한 프랑스 기준에 따르면, 효과적인 살균력을 갖는 훈증 소독제의 d 값이 5 logCFU/mL 이상이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Fumagari OPP®는 S. aureus에 대해 높은 살균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병원성 세균으로 오염된 식품재료와 주방기기의 소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E. coli와 S. typhimurium을 대상으로 orthophenylphenol 20%를 함유한 훈증소독제, Fumagari OPP®의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비 시험에서, E. coli와 S. typhimurium의 현탁액 균수는 모두 4.0 × 108CFU/ mL이었으며, 모든 훈증소독제에 노출시킨 담체의 균수는 모두 평판배지법과 여과법으로 배양한 시험균주 현탁액의 균수의 50%보다 많았다. 또한, 대조 담체로부터 회복된 E. coli와 S. typhimurium 균수는 모두 3.4 × 106CFU/mL이었다. 훈증소독제의 살균효과 시험에서는, 훈증소독제를 처리한 담체의 E. coli와 S. typhimurium의 감소 균수는 각 각 5.64와 5.26 logCFU/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훈증소독제, Fumagari OPP®은 E. coli와 S. typhimurium에 대해 효과적인 살균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식품재료 및 주방용품의 소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종이기록물 보관 시 해충에 의한 직, 간접적인 피해예방을 위하여 소독약제, 소독방법에 따른 살충효과를 검증하여, 종이기록물 소독처리의 경제성, 소독효과 및 소독표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사용된 공시충은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ilium castaneum) 성충 및 유충,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성충 등으로 종이 묶음책 내부에 이들 공시충을 투입하고 국가기록원 원내 지침에 따라 약제별, 처리시간 별 소독처리한 결과, 약제 무처리구에서는 처리위치(상, 중, 하단)에 상관없이 치사율이 0% 이었으며, B사 약제 20시간 처리 경우 화랑곡나방 유충은 치사수가 4~8마리,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과 성충은 2~5마리, 약제에 노출된 경우 4~15마리의 치사수를 나타냈고 어리쌀바구미 성충의 경우 약제 노출된 처리구에서만 15마리의 치사수를 보였다. E사 약제처리의 경우 처리시간에 따른 살충효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치사수는 1~6마리 범위였고, 약제에 노출된 경우 어리쌀바구미 성충에서만 16~20 마리 범위의 높은 치사수를 보였다. 약제 처리 후 치사율 조사는 처리직후, 12시간, 48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져 약제에 대한 Knock-down 저항성 발현여부도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제에 직접 해충이 노출되지 않고 책 내부에 해충이 서식할 경우 2종류 처리약제 모두에서 만족스러운 살충효과를 기대 할 수 없으며, 약제에 직접 노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해충의 종류에 따라 살충효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44.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전과 방전이 빈번히 발생하는 축전지의 사용수명을 늘리고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과 방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중 하나이다. 축전지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본 논문에서는 가장 간단하게 축전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단자전압을 이용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축전지의 잔존용량을 파악하였다. 일정 전압 이하로 축전지의 전압이 떨어지지 못하도록 간단하게 비교기를 이용하여 과 방전이 되지 못하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상수도 시설이 없는 장소의 저수조탱크의 물 소독을 목적으로 제작된 태양광발전을 응용한 소독약 자동 주입장치의 축전지에 설계한 회로를 제작 설치하여 그 동작실험을 하고 그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4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Lamia-Kill®, disinfectant,containing 20% benzalkonium chloride and 10% citric acid. In acute oral toxicity, Lamia-Kill® was orally administered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0 mg/kg body weight.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both sexes of SD rats,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 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Lamia-Kill® for 24 hr and observed for 3 days. All rats treated with Lamia-Kill® were induced no toxic signs in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body weights and gross findings. Also, the disinfectant did not induce any 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on intact skin sites for the most part rabbits, but on abraded skin sites, some rabbits showed very slight erythema on 24 hr after topical application.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Lamia-Kill® have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50 of primary irritation index.
        4,000원
        4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재배지에서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의 피해를 경감하고자 두선충이 복합 감염된 논산 딸기재배지에서 여름철 휴경기에 녹비(Crotalaria)재배, 태양열소독과 녹비재배후 태양열소독 처리에 의한 선충의 밀도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비작물을 2개월간 키운 다음 잘라서 토양에 넣은후 태양열 소독한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각각 99%의 밀도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태양열소독 단독 처리구에 비해 방제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녹비재배 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해 선충밀도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녹비재배전 선충밀도는 뿌리혹선충 154마리/토양 100g, 뿌리썩이선충 725마리/토양100g에서 딸기정식 6개월후의 녹비재배+태양열소독 처리구의 토양100당 선충밀도는 뿌리혹선충 1마리(무처리 130마리), 뿌리썩이선충 0마리(무처리 2,889)였으며, 태양열소독 처리구는 뿌리혹선충 6마리, 뿌리썩이선충 59마리로 감소한데 비해, 녹비처리구는 뿌리혹선충 695마리, 뿌리썩이선충 819마리였다. 녹비재배후 태양열 소독 처리구의 딸기 생육은 무처리에 비해 초장은 142%, 건물중은 133% 높았다.
        4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anitizer concentrations and treatment time against two major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a stainless steel surface. As a result, stainless steel, treated with 100 ppm of chlorine showed reduction of E. coli(1.56, 1.49, 1.95 log cfu/25 ㎠) and S. aureus(0.49, 0.88, 1.27 log cfu/25 ㎠) after 0, 5 and 10 min, but none was not detected in treatment with 200 ppm. The population of E. coli(0.73, 0.90, 1.55 log cfu/25 ㎠) and S. aureus(0.37, 1.00, 1.45 log cfu/25 ㎠) reduced in 35.5% ethanol treated group, but none was not detected in treatment with 70%. The population was reduced E. coli(0.28, 0.64, 1.07 log cfu/25 ㎠) and S. aureus(0.53, 0.87, 0.99 log cfu/25 ㎠) by treatment with 45.5ppm of hydrogen peroxide, but none was not detected in treatment with 91 ppm. Quarternary ammonium compound with 100 ppm was reduced E. coli(0.82, 1.62, 1.71 log cfu/25 ㎠) and S. aureus(0.46, 0.93, 1.38 log cfu/25 ㎠), but none was not detected in treatment with 200 ppm. Predictive models of sterilization for all 4 disinfectants were suitable to use with r2 value of higher than 0.94. These models may be of use to food services and manufacture of safe products by controlling E. coli and S. aureus without the need for further detection of the organisms.
        4,000원
        4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환경조절열처리는 일명 CATTS (controlled atmosphere temperature treatment system)로 특정 해충의 생존 한계에 해당하는 고온을 처리하면서 방역효과를 극대 화하는 기술로써 수확 후 소독 처리 기술인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처리를 대체할 친 환경 수확 후 소독 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은 수출국의 검역 대상 해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사과를 일부 외국으로 수출할 경우 검역대상으로 지목받고 있는 복숭아심식나방에 CATTS 기술을 적용하였고, 이에 따른 수출용 후지 사과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소독 처리에 사용된 CATTS는 시간 당 16℃씩 증가하여 기기의 내부 온도가 46℃가 되었을 때 이산화탄소 15%, 산소 1% 환경 조건을 맞추어 주었고, 과실 내부의 온도가 44℃에 도달하였을 때 소독 처리를 시작하였다. CATTS 소독 처리는 0 분, 30 분, 60 분, 75 분, 90 분, 120 분, 150 분과 180 분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CATTS 소독 처리 후 후지 사과는 상온 (25℃) 조건에서 1 일, 7 일과 14 일 저장하였고, 저온(1℃) 조건에서 1 일, 7 일, 14 일, 30 일, 60 일, 75 일, 90 일과 120 일 저장하였다. 저장 시기별로 사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사과 품질은 이화학 품질 특성(경도, 당도와 산도), 호흡 속도(에틸렌, 이산화탄소)와 외부・내부 갈변율을 조사하였다. 이화학 품질 특성과 호흡 속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60 분 처리 시간을 기준으로 처리 시간과 저장 기간이 증가 에 비례하였다.
        4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ctericidal efficacy of three common sanitizers (100 or 200 ppm of sodium hypochlorite, 100or 200 ppm of n-alkyl(C12-C18)benzyldimethyl chloride, and 50 or 100 ppm of peroxyacetic acid) against Escherichia coli ATCC 10536 and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was studied using the suspension test method at various exposure temperatures (4~40℃) and times(1~60min) under both dirty and clean conditions, respectively. During the suspension tests, sodium hypochlorite (200 ppm) showed higher bactericidal activity than the other sanitizers under clean conditions, with 5 log reductions against E. coli as well as S. aureus in the first 1 min of treatments at 4℃. However,the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decreased markedly under dirty conditions due to its susceptibility to interfering substances. The efficacy of the n-alkyl(C12-C18)benzyldimethyl chloride increased considerable as the exposure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The bactericidal efficacy of the n-alkyl(C12-C18)benzyldimethyl chloride might be less effective on low temperature, however, the longer time the sanitizer is in contact, the more effective the sanitization effect. Treatment with peroxyacetic acid (100 ppm) showed at least 5 log reduction against E. coli and S. aureus for 5min at 4℃ under both clean and dirty conditions. The efficacy of the peroxyacetic acid was not much altered by interfering substances and affected by changes in temperature or time.
        4,000원
        5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ostharvest treatment called CATTS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nonchemical measure for methyl bromide fumigant treatment. This study applied CATTS to control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infesting stored grains. Adults of T. castaneum were susceptible to 46℃ heat treatment. The susceptibility was further enhanced by addition of CA conditions (15% CO₂ and 1% O₂). When CATTS (46℃, 15% CO₂, 16℃/h treating rate) was applied to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 castaneum, it showed 100% control efficacy by 120 min exposure. There was a variation in CATTS susceptibility among developmental stages, in which late instar larvae were most tolerant. Heat shock proteins of T. castaneum appeared to be implicated in the tolerance of CATTS.
        4,000원
        5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살균소독제의 국가 공인시험법은 시험관 내에서 행하는 현탁액시험법으로 실제 현장의 표면 살균을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는 3가지 정량적 표면시험법간의 유효성 평가력 비교를 목적으로 E. coli와 S. aureus를 대상으로 시중 유통되는 대표적 5개 계열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E. coli와 S. aureus에 대한 각 방법별 살균소독력은 ASTM(1)법에서 5.18 ± 0.03, 5.27 ± 0.04 log cfu/carrier, ASTM (2)법에서 4.63 ± 0.04, 3.97 ± 0.03 log cfu/carrier, CEN EN 13697법의 청정조건(CEN(1))에서 6.14 ± 0.05, 5.31 ± 0.10 log cfu/carrier, 오염조건(CEN(2))에서 4.37 ± 0.02, 4.06 ± 0.01 log cfu/carrier로 나타났다. CEN(1)시험법이 ASTM(2)와 CEN(2) 시험법에 비해 살균소독력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적용된 3개의 시험법 중 유리를 담체로 사용 한 ASTM(1)법에 비해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한 ASTM(2) 와 CEN법 적용 시 살균소독효과가 낮게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3 가지 국가 공인시험법간 유효성 평가결과가 달랐으며, 실제 식품제조 현장에서 사용되는 표면에서의 살균 소독력을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5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n environment-friendly phytosanitary measure, CATTS (controlled atmosphere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kill several quarantine insect pests infesting subtropical agricultural commodities. This study tested any possibility to apply CATTS to apples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quarantine insect from the imported countries. When the larvae of C. sasakii were directly exposed to 46℃ (an installed lethal temperature of CATTS), they showed a median lethal time at 14.66 min. Addition of high carbon dioxide to the temperature treatment enhanced the thermal limit susceptibility of C. sasakii to 46℃. CATTS device was constructed to automatically control CO₂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ith real-time monitoring both in the chamber and in the fruit. The larvae internally infesting apples were tested using the CATTS device and showed 100% lethality after 60 min exposure to a treatment of 46℃ under 15% CO₂ in the chamber. Relatively long exposure may be due to the deviation between the ramping temperature (0.35℃/min) of the chamber and the ramping temperature (0.12-0.23℃/min) inside apple fruit, where the tested larvae were located.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that CATTS can be applied as a quarantine measure to kill the larvae of C. sasakii locating inside the apples.
        4,000원
        5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ually, bacterial spores are hundreds or thousands of times more resistant to chemical sanitizers than are vegetable bacteria. Consequently, it is hard to assess whether a commercial sterilant,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and peracetic acid as ingredients, has or does not have sporicidal activity under certain conditions using the National Standard Test Method for assessing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Hence we established alternative the standard test method and requirement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effective in showing at least reduction of 103 in the number of Bacillus subtilis ATCC 6633 spores under the required test condition for evaluation of sporicidal activity including verification methodology. This standardized method has proved to be suitable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commercial sterilants and could be used as Standardization Test Method for assessing sporicidal activity.
        4,000원
        54.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nitary management status of chlorine sterilization methods used for raw fruits in a school foodservice,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sanitary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raw fruits. A questionnaire form predicated on HACCP standards was developed and utilized for self-reported evaluations of dietitians regarding their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7 dietitians that were employed in school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foodservi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emed necessary that optimized sterilization and washing methods for good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strawberries and bananas in school foodservice should be determined. Some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were also suggested. They included the following: (1) Improvement of policy for assuring the quality of raw fruits by designing some sanit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raw fruits; (2) Strengthening the research and accumulation of background data regarding methods for the sanitation of raw fruits; (3) Enforced improvement of personal hygiene for dietitians and employees; (4) Use of a variety of methods in sanitary education and employee training.
        4,300원
        55.
        200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disinfection effect of coliform group treated with ozone was analyzed for the effluent discharging from activated sludge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aims to get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sinfection facility in hospital wastewater treatment, suggesting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hydraulic retention time of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design basic factors necessary to ozone disinfection. Removal efficiencies of coliform group for the effluent according to HRT such as 4hr, 8hr, 12hr were analyzed using a lab-scale activated sludge process, respectively. To decay the microorganism regulates the CT value multiplied disinfectant concentration by contact time. CT value is highly correlated with a removal efficiency of coliform group and according to increasing an injected ozone concentration, the CT value was increased.. When HRT was 4, 8, 12 hours , CT value takes place at minimum condition 50, 40, 334 mg/L-min, respectively.
        5,100원
        56.
        200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of hospital wastewater by activated sludg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or your use of the UV disinfection process in the HRT and the UV intensity UV disinfection coliform group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sinfection facilities to meet basic data is for. Study the active sludge process coliform group emissions alone will not meet the accepted standards of the disinfection process needs to be separate. Active sludge from the same UV dose settling water interfere with my a particle substance acts as an argument between the disinfection effect a point of difference, which requires the removal of material a particle before in disinfect. The higher the UV intensity coliform group HRT long the effects of the disinfection was higher, permitted emission standards 3,000 EA/mL to meet UV dose said the 82 mJ/cm2. Existing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the design of the UV dose 2,310 mJ 1m/cm2 the a safety factor 50% of the company considered the same as after consideration, 120 mJ/cm2 to about 19 times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etup, and of the existing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UV disinfection equipment is installed, the excess.
        4,300원
        5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미국 및 유럽에서 공정시험법중 하나로 인정되고 있는 표면시험법을 사용하여 유기물과 함께 또는 유기물없이 세균만 건조된 식품접촉 표면에 서의 살균소독제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식품접촉표면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에 Escherochia coli ATCC 10536 또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접종하고 살균소독제로서 염화벤잘코늄, 차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에탄올을 20 ℃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그 결과, 각 표면의 종류는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200 ppm 농도의 염화벤잘코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유기물질이 존재할 경우 생균수를 4 cfu log10/carrier 이상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40% 에탄올은 생균수를 4 cfu log10/carrier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0.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ne-tab water (2.5 L) with 0, 2.5, 5, and 10% saline solution contaminated by P. aeroginosa or S. aureus, was electrolyzed with constant electrical current of 2A or 4A for different time durations (1, 2, 4, 8, and 16min). The electrolysis with 2A-4min showed disinfection effect against P. aeroginosa of 105 CFU/㎖ in all saline concentrations. When the electrical current was raised to 4A, P. aeroginosa of 106 CFU/㎖ was disinfected in 4 min. S. aureus of 105 CFU/㎖ was disinfected with 2A-2 min in all saline concentrations. S. aureus of 106 CFU/㎖ was completely disinfected with 2A-8 min. To compare the effect of constant current electrolysis with that of intermittent current electrolysis, solution contaminated with P. aeroginosa of 106 CFU/㎖ was electrolyzed with several pairs of intermittent current of 2A for 2 min followed by 2min pause. Disinfecting effect of intermittent electrolysis was very similar to the constant current electrolysis without pause in 16 mi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irect electrolyzing process with no septum membrane is a convenient and economic sterilization metho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