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4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on upper motor extremity function betwee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in terms of improving upper motor extremity function. A study with a single-subject design (A-B-C-A') was conducted with a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left hemiplegia. A repea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results of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Box and Block Test (BBT), and grip and pinch strength test performed daily in the study for 4 wee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WMFT score, BBT score, grip strength, and pinch strength were improved from 29.60 to 39 (24.10%), from 1.67 to 4.93 each (EA) (66.22%), from 2.06 to 2.66 libras (lbs) (22.61%), and from 1.57 to 1.93 lbs (18.94%), respectively, from the baseline period to treatment period B. The values were improved from 29.60 to 42.20 (29.86%), from 1.67 to 7 EA (76.21%), from 2.06 to 3.47 lbs (40.57%), and from 1.57 to 1.67 lbs (6.12%), respectively, from the baseline period to treatment period C. From treatment period B to treatment period C, the WMFT score, BBT score, and grip strength were improved from 39 to 42.20 (7.58%), from 4.93 to 7 EA (29.56%), and from 2.66 to 3.47 lbs (23.20%), respectively, but pinch strength was decreased from 1.93 to 1.67 lbs (15.83%). In conclusio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both have positive effects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However, we suggest that the posttreatment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as better than tha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4,000원
        4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neck disability index (NDI),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Following baseline measurements, the subjects (N=40) with unilateral neck pain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wo 5 weeks exercise intervention groups: a experimental group (EG, n1=20) that received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or a control group (CG, n2=20) that received routine physical therapy program.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5 weeks. All participants performed 2 repetitions of each intervention per day.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for pain, NDI, ROM,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were recorded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 for both groups. Paire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changes post-intervention compared with pre-interven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2 groups. After the 5-weeks intervention, both groups experienced significantly decreased pain and disability level (p<.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rvical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and rotation ROM (p<.05). The EG that received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level, cervical rotation,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than the CG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s reduce neck pain and neck disability level and enhance cervical ROM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level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4,200원
        4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전통적인 치료와 비교했을 때, 강제 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06년∼2013년까지 게재된 1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PEDro score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상지기능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선정된 14편의 연구는 PEDro score가 6점 이상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527명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환측 상지의 운동 능력, 사용빈도 및 질에서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1). 또한 분리된 움직임, 잡기 능력,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서는 “보통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결론:강제 유도 운동치료는 전통적인 치료보다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회복에 있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4,800원
        4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된 혀의 저항 운동 프로토콜이 혀의 근력과 전반적인 연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75명의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시행 받았으며 실험군은 아이오아 구강 수행도구를 이용하여 혀의 저항 운동을 추가적으로 시행 받았다. 혀의 근력 변화는 아이오아 구강 수행척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였으며 전반적인 연하기능과 식이단계의 변화는 비디오 투시 조영검사(Video Flu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기반으로 비디오 투시 연하장애척도(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VDS)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 Measurement System; ASHA NOMS)를 사용하였다.결과:본 연구 결과 혀의 저항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혀의 근력, 연하의 기능과 식이단계에 있어 효과에 대한 명확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혀의 전방과 후방의 근력 변화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연하기능의 변화와 식이단계 변화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두 그룹 모두 중재 전과 후의 변화량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혀의 저항운동이 혀의 근력 향상, 연하기능과 식이단계의 변화에 있어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그 효과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재 기간과 횟수가 수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한 효과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4,600원
        4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spect how the portfolio assess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fects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of 40 students utilized the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control group of 40 students were tested with a traditional assessment. A test paper on learning attitude and a measure on assessment of motor skills was estimated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fter a vaulting horse-rolling instructions were practiced 11 sessions for 4 week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with portfolio assessment.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with traditional assessment. Each group took a posttest about learning attitude and motor skill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ost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 the motor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ere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4,200원
        4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안면운동이 연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1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구강안면운동 및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각각 15분간 1회씩 받는 실험군 5명과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15분간 2회 받는 대조군 5명으로 나누었다. 각 치료는 4주 동안 주 5회로 실시하였고, 치료 전·후 연하기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새로운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 척도(New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New VFSS)를 사용하여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구강안면근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이오와 구강 수행 기구(Iowa O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압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치료 전·후 연하기능은 구강안면운동 집단과 전통적 연하재활치료 집단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료 전·후 구강안면근력에서 실험군은 혀의 거상, 혀의 외측와, 혀 내밀기, 볼의 압박, 입술의 압박 압력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혀의 거상 압력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구강안면운동은 연하기능과 구강안면근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4,500원
        4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Shaker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하장애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Shaker 운동을 6주 동안 주 5일, 하루 30분씩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로 비 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촬영한 후 신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 척도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 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 System Swallowing scale; ASHA NOMS scale) 를 사용하여 연하기능과 식이정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Shaker 운동 후에 식이별 구강기와 인두기의 연하기능 변화는 인두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인두기 세부항목별 변화는 후두개곡잔여물, 후두거상과 후두덮개폐쇄, 이상동잔여물, 인두통과시간, 흡인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모든 연구 대상자들은 ASHA NOMS 연하척도 단계에서 1∼2단계 향상되었다. 결론 : Shaker 운동은 뇌졸중으로 인한 인두기에 문제가 있는 연하장애 환자에게 식이단계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치료방 법임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4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iar exercise and novel exercise on motor function after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in rats. The rats were subjected to a unilateral striatal ICH via collagenase infusion. Th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he CON (control group; rested one week post-ICH), the FE (familiar exercise group; familiar exercise was performed two weeks after one-week post-ICH period), and NE (novel exercise group; novel exercise was performed two weeks after one-week post-ICH period). We measured neurological behavior using a ladder rung walking test and a beam walking test; we measured the level of nerve growth factor (NGF)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 performed a one-way ANOVA test to analyze the scores obtained from the neurological behavior tests and the differences of NGF protein level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present study, the FE group and the N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during the neurological behavior tests and in their expression of NGF protein level, as compared to the CON group. Especially, NE group more increase than FE group in neurological behavior tests, the expression of NGF on motor cortex.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fter ICH, familiar exercise and novel exercise enhance motor function and, novel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familiar exercise.
        4,000원
        49.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motor function recovery following a stroke through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In total, nine of the 48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search engines between 1997 and 2011, as well as from a review of the reference lists of each identified study.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assessed using Jadad scale,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as a Cohen's effect size using MetaAnalyst (Beta 3.13).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mirror therapy was 2.005 (95% confidence interval=1.041~2.970) in a random-effects mod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mirror therapy is beneficial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following a stroke. The results from the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was larger for an onset time of less than 1 year (1.166) than for a duration of 1 year or more (.668). Second, the effect size of unpublished dissertations (1.610) was larger than published articles (1.221). Third, motor recovery of upper extremities (1.609) had a greater effect than motor recovery of lower extremities (.903). The majo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relatively small study population. Therefore, further individual studies of mirror therapy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s. In addition, mirror therapy supervised by a physical therapist should be recognized as a potential approach to manage motor function following a stroke and recommended to patients to improve their motor function.
        4,200원
        50.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wo types of stretching extensor carpi radialis o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pressure-pain thresholds (PPTs), grip strength (GS), and strength of wrist extensor (SWE)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Sixtee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nventional stretching group (CS) and the stretching of proximal functional massage group (PFM); the VAS, PPTs, GS, and SW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ver a period of stretching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five minutes per day, five days per week. The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VAS, PPTs, GS, and SWE (pre- and post-test). The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s between the CS and PFM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 the PFM group, the PPTs, GS, and SW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VAS decreased (p<.05). In the CS group, the VAS and G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hree-week intervention (p<.05). Pain was decreased and strength (GS and SWE) was increased in the PFM group, compared to the CS group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FM technique can be applied for decreasing pain and increasing the GS and SWE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4,000원
        5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RECK MOTOmed viva2를 이용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수행을 통한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의 적용이 상지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2010년 3월부터 동년 9월까지 A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가 의뢰된 입원환자 들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46명을 각각 23명씩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중재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자들은 3주간 30분씩 주 5회 작업치료를 받았고, 추가적으로 RECK MOTOmed viva2를 이용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 혹은 과제 수행을 통한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를 3주간 30분씩 주 5회 동안 받았다. 상기 기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전, 후에 Fugl-Meyer Assessment(FMA), Manual Function Test(MF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은 FMA의 총점이 21.22±12.35에서 25.26±11.88로, MFT의 총점이 33.17±22.83에서 41.52±23.69로 향상되었고(p<.05),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은 FMA의 총점이 22.22±12.48에서 26.39±10.84로, MFT의 총점이 33.52±21.83에서 42.22±21.67로 향상되었다(p<.05). 결론 :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 향상을 비교해 본 결과,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대근육 기능 또는 소근육 기능과 같은 상지의 특정 기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전반적인 상지의 기능 향상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5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근 주입 후 상지 운동기능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환측 상지의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심지굴근, 천지굴근에 보툴리눔 독소를 각각 25 단위 주사하였다. 평가는 주사 전, 주사 2주 후와 8 주 후의 상지 기능 변화 및 동작 분석을 시행하였다. 상지의 경우 수정 에쉬워스 척도와 도수 근력 평가, 뇌졸중 상 지 기능 평가, 수지의 파악력 및 측면 집기력을 평가하였고 정량 분석을 위하여 3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하여 손 목관절의 최대 굴곡-최대 신전, 손바닥 두드리기, 검지 두드리기, 30cm 추적운동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 후 마비측 수지의 파악력, 측면 집기력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손목관절의 신 전, 수지의 신전 근력, 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3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손목관절 최대 굴곡-손목관절 신전 동작의 관절운동범위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며 손목관절 최대 굴곡-손목관절 신전 동작 및 손바닥 두드리기와 검지 두드리기 동작에서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진폭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 되었다(p<.05). 결론 :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환측 상지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4,000원
        53.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5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및 지상에서 시행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중에서 시행된 강제 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 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편마비를 가 진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 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는 Box and Block Test(BBT)와 Pediatric Motor Activity Log(PMAL)를 사용하여 시행되 었다. 결과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BBT 점수는 각각 27%(21.5점에서 27.3점으 로), 14%(33점에서 37.5점으로), 7.6%(46점에서 49.5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각각 16%(21.5점에서 25점으로), 6%(33점에서 35점으로), 0%(46점에서 46점으로)로 증가되거나 유지되었다. 대상 자 1, 2, 3의 PMAL 점수는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38%(0.8점에서 1.1점으로), 31%(1.3점에서 1.7점으 로), 17%(1.8점에서 2.1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25%(0.8점에서 1.0점으로), 15%(1.3점에서 1.5점으로), 11%(1.8점에서 2.0점으로)가 증가되었다.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지상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측정된 BBT와 PMAL의 측정값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치료과정 동안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수중과 지상에서 교차 적용한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시행 될 때 상지운동 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5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으로 구성한 과제 지향적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 치료는 3주 동안 매일 가장 활동적인 5시간 동안 건측 상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갑을 착용하였고 제한시간 동 안 환측의 움직임을 위한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은 건측을 제한하지 않고 일상생활활동과 밀접한 과제들을 1주 동안 수행하였다. 상지기능 변화는 뇌졸중상지기능평가(MFT)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의 변화는 운동처리기술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3번의 반복 측정된 자료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방법인 프리드맨 검정을 사용하였고 사후 검정은 윌콕슨 쌍대비교 분석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 후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한 후에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 행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손움직임을 위한 과제 지향적 치료 이후에도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통해 과제 지향적 방법이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향상된 환측 을 기능적으로 활용하도록 양손 활동 과제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본 연구의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900원
        56.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를 적용하여 환측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만 7세 2개월인 편마비형 뇌성마비 남자 아동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적용하여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실험 연구 방법인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기초선 자료는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4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Grooved Pegboard 검사와 장악력 검사를 사용하여 아동의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치료 시기에는 총 10주 동안 하루 5시간씩 건측 손을 제한하고 주 3회 1시간씩 집중적인 상지 치료를 실시하고, 훈련 후 주 1회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치료 이후 다시 기초선을 4회기 동안 측정하였다. 손 기능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손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보는 손사용의 빈도와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보는 손사용 숙련도는 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치료가 종료된 이후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각각 1회 측정하였다. 결과 : Grooved Pegboard 검사 결과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에 수행 시간이 감소되었으며 치료가 종결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하지만 악력 검사에서는 기초선 기간과 치료 기간, 치료가 종결된 이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손사용의 빈도를 보는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검사에서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손사용의 횟수가 증가되었으나 손사용의 숙련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저하된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치료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별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더 많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시행되어져야 하며, 치료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7.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standing awareness and wearing behavior of functional textiles for silver gener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lothing products development to improve and maintain their health and marketing strategy fit for user characteristics.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developed and the aged 50 and above were 332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for both comfort-oriented and health/safetyoriented functional fabrics in high health-conscious group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low health-conscious group. In number of wearing times, health body and high-conscious group wear comfort-oriented fabrics more frequently, while weak body group wear health/safety-oriented fabrics more often. The health-conscious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ossession of active sportswear with various func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functional fabrics in exercise activities group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exercise-conscious groups. High exercise activities group know more about the wet sensation-related fabrics and clothing materials for outdoor activities. Low exerciseconscious group put on health/comfort-oriented fabrics for casuals more frequent than functional fabrics for sportswear. High exercise activities group preferred to wear sportswear suitable for outdoor activities. The aged people have a lot of health/comfort-oriented functional casual wear appropriate for indoor activities regardless of exerciseconsciousness. However, the more they enjoy exercise activities the more they are interested in functional sportswear. Even though they were unconcerned with exercise, older people are interested in functional casual clothes. As a conclusion, the high interest in health and exuberant activities in silver generation arose the necessity of new multi-functional clothing products.
        4,800원
        58.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2 protocols recommended to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each protocol included breathing exercises (inhalation-oriented or exhalation-oriented) and facilitation maneuver for the accessory respiratory muscles. Seventee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 randomized these patients into 2 groups: the inhalation-oriented breathing exercise group (IOBEG) and exhalation-oriented breathing exercise group (EOBEG), consisting of 8 and 9 patients, respectively. Patients in the IOBEG performed inspiratory exercises using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breathing devices, while those in the EOBEG performed expiratory exercises using incentive spirometry. All exercises were performed by the subjects twice a day for 4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an average of 20 min. The outcomes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the pre- and post-treatment values of vital capacity (VC),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FEV1/FVC. In the IOBE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pre- and post-treatment values of any of the measured variables (p>.05); however, in the EOBEG, significant improvement was noted in the VC, FVC, FEV1 measured (p<.05) after the treatment. In addition, the rates of change in the values of VC, FVC, and FEV1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2 groups (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OBEs can enhance respiratory function and are clinically feasible in patients with chronic cervical cord injury. Further studies will be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se findings.
        4,000원
        6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on physical function of patients with anklyosing spondylitis (AS) through the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54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computerized search of published researches on PubMed, Embase, CINAHL, PEDro, KISS, KERIS database until February, 2008 and review of reference lists. The main search terms were the combination "ankylosing spondylitis", "exercise", "spondyloarthropathy and exercise", "ankylosing spondylitis and physical therapy". The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publication year, quality score, type of disease, content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provider, type of intervention, method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period and the point of outcome measur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elected trials for inclusion, assessed the quality and extracted the data.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10 trials were eligible for inclusion criteria, then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assessed on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The meta-analysis of 10 studies based on the random effect model showed that the exercise therapy was beneficial in treating the diseases (effect size .55; 95% confidence interval -.3.75~.61).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ercise therapy would be appropriate to manage the physical function of AS with evidence based on Meta-analysis. Therefore, the exercise therapy supervised by physical therapis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essential approach to manage the AS and necessarily recommended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