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3

        4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Method: A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59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fever may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4,300원
        4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학술적으로 논의되던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그 개념도 명확해 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 등은 많았지만 두 독립 변인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프로테안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 경력,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경력관련 변인간 관계를 보면 프로테안 경력은 경력개발정책과 긍정적 경력태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무경계 경력은 긍정적 경력태도와 미래 학습 준비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미래 학습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효과는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을 위한 의도와 학습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정책을 주관하는 조직내 HRD/HRM 부서의 역할에 따라 근로자의 미래를 위한 학습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4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eaching English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can suggest one of the solutions for underachievers to facilitate their English learning and restore their learning attitudes. To explore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wo research questions: (a) What are the effects of English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stories on underachievers’ reading abilities? and (b) How English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stories influences on their learning attitud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ven fifth-grade underachievers in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y were first tested what their strong intelligences are and engaged in customized activities based on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test results during the experiment English classes. The data collected include the read-aloud test,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affective test, students’ learning log and the interview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se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nglish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storie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creasing underachievers’ reading abilities and changing their learning attitudes positivel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strongly calls for the need to consider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vide customized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to facilitate their English learning and restore their learning attitudes.
        7,000원
        4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washback effects on the learning portfolio of university students. The washback effects were explored using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ith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learning portfolios have no effects on English learning purpose, other areas (English learning activities, language skills and languag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system) experienced partial washback effec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and differentiation in each language skill(reading, writing and listening) and significant partial changes in English knowledge (vocabulary). Third, overall, learners preferred the traditional result-oriented assessment system to a process-oriented assessment system like a learning portfolio, despite that two groups have n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ssessment systems between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product-oriented assessment system. Fourth, learners showed mixed opinions in the interviews: embarrassment from unfamiliar learning portfolio assessments and expectation of novelty. That is, although learners obtained their passive learning attitudes from the pre-existing instruction methods, they appreciated the merits and importance of learning portfolio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ashback effects of learning portfolio can be implemented for university students carefully.
        7,000원
        4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교육훈련이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학습 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업무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업무 환경의 여러 요소 중(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사회적 지원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들만이 수행되어져 왔으므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상황/맥락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전이결과로 혁신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지원, 무형식 학습, 혁신행동과 조직정치 지각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는데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것과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병원과 종합병원 등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와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직원들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6개의 설문이 최 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 학습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 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 동료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무형식 학습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 하고 있었는데 조직정치 지각: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가 높은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 지각: 임금/승진 정책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선행요소로 사회적 학습지원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 뿐만 아니라 동료의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활동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며, 높아진 무형식 학습의 학습전이 결과로 혁신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높은 경우는 무형 식 학습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낮추고 있어 조직정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800원
        4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경제적 변화와 고용 시장의 불안 등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취업관련 교육과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은 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사례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 교육 및 코칭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자는 제주시에 소재한 A대학에서 3up 학습 및 진로코칭 대상자 75명 중 본인이 코칭을 했던 9명이었다. 본 연구자는 9명의 코칭대상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5회 코칭을 진행하였으며, A대학 내 B센터에서 이루어졌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코칭프로그램은 B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뉴로피드백코칭이었고, 사용된 코칭대화모델은 5A모델이었다. 코칭사례분석은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기 전과 후의 만족도와 코칭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코칭을 받은 학생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슈 변화, 자신감 향상, 목표의 명료화, 진로탐색부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의 효과성과 함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장기적이고 보편적인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교육 개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4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tte étude vise à étudier les caractéristiques et la différence entre la classe traditionnelle et la classe inversée grâce à une analyse comparative de ces méthodes d’apprentissage. L’expérience a été réalisée sur un groupe d’expérimentation et un groupe de contrôle afin d’étudier l’effet de l’apprentissage inversé sur la motivation et la réussite scolaire des étudiants. Des outils de recherche tels qu’un programme d’apprentissage inversé et un questionnaire de motivation ont été utilisés. Les procédures d’étude comprennent, dans cet ordre, un pré-test, un processus expérimental et un post-test. Par la suite, le traitement des données a été effectué par un ‘test t’ réalisé sur un échantillon indépendant et un ‘test t’ réalisé sur un échantillon apparié. Les résultats montrent que l’apprentissage inversé a un effet positif sur la motivation de l’apprentissage. Par exemple, celui-ci a influencé l’amélioration des éléments de motivation tels que l’attention et la confiance. Par ailleurs, il a plus d’effet sur les élèves au niveau faible que sur les élèves de haut niveau dans les études académiques du français.
        5,800원
        4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코딩퍼즐게임의 모델링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동에게 효과적인 형식의 코딩게임을 구현하며, 그 적합도를 평가한다. 시중에 출시된 여러 코딩퍼즐게임들의 핵심체계가 되는 학습개념, UI체계, 게임시스템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학습용 퍼즐게임을 개발한다. 개발된 게임의 학습개념, UI체계, 게임시스템을 소개하고, 개발된 게임을 실제로 적용한 어린이집 모의수업과 실습수업 진행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실제로 게임을 실행하게 되는 아이들에게 있어서 적정 수준의 단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개발된 게임에 대해서 어린이집 방과후 학습교사들의 평가로 개념의 시각화, 직관적 요소, 난이도 조절의 세 항목에 대하여 평가과정(각각 5점 만점)을 거쳤다. 그 결과로 개발된 게임은 직관적 요소에서 4.08점, 난이도 조절에서 3.72점, 개념의 시각화에서 3.44점을 나타내어 모두 보통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개념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개념 자체를 활용할 수 있는 포맷의 적용, 직관적 요소로 스테이지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명확한 요소의 적용, 난이도 조절로는 연습문제 챕터의 적용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급격한 기업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일 방식으로의 전환은 인적자원관리 영역에 있어 대안적 접근방식을 요청하였다. 대안적 접근의 형태는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조직 구성원의 웰빙 향상으로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조직의 지속적 성장을 담보하는 것이다. 특히 조직 구성원 웰빙 요소인 일 몰입은 일터 현장 내 긍정적 가치를 확대하고 조직의 성과증진 및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일 몰입에 대한 선행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실증하는 것은 노동시장과 일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조직의 생존과 지속적 성장에 필요한 요인을 구명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일 몰입 관련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 간 영향관계를 실증하여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독립변인의 경우 리더가 긍정심리역량과 진정성을 바탕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리더십인 진성리더십을 선정하였고, 이것이 일 몰입에 미치는 영향경로에서 있어 조직학습역량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을 실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기업 조직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286부의 설문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은 일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성리더십은 조직학습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학습역량은 일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성리더십과 일 몰입 영향관계에서 조직학습역량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의 진성리더십이 조직 구성원들의 일 몰입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조직학습역량 또한 일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서 일 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성리더십과 조직학습역량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당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6,100원
        5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향상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미향(2014) CPA 코칭 모델과 코칭대화모델을 적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동기가 낮아진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학습전환기에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S시에 위치한 S중학교의 1·2·3 학년 중 13명을 실험집단, 1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학습동기 향상 코칭프로그램을 주2회 60분씩 총 12회기로 2017년 8월 22일부터 2017년 10월 19일까지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동기 검사를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로 실시하였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자신에게 변화된 점과 느낀 점 등을 간단한 소감문으로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습에 대한 긍정적 인지와 정서 경험을 통한 성취동기, 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해 학습 및 생활 전반에 대한 동기각성, 긍정적 사고, 유능감, 내적 통제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목표 설정, 진로 탐색, 학습 환경 관리와 학습 기술 향상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6,400원
        51.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CS-based cooking practice education method by using the full learning model and to confirm its effect. The study design was a pre-post test of the non-equality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8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NCS-based cooking practice training using the complete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cooking practice training based on the full learning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nd analyzed by SPSS WI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mogeneity test showed that pre - homogeneity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cooking ability, and knowledge of cooking theory were achieved (p>0.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at its cooking ability was high. With respect to the ability to cook food, the ability to cook, and the ability to prepare food ingredients (p<0.01), personal hygiene management, cooking hygiene management, and cooking safety management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 The mean value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 Third, the final theoretical knowledge score was not significant. The avera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69 points) was 5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64 points). This wa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e score of 37 points in the first stage preliminary survey. Finally, the final performance score was significant (p<0.05), and th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89 points) was 5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84 points). Therefore, the NCS-based cooking education method i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method, especially for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ability, improvemen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perfect learning standards.
        4,000원
        5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영화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증명하 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청소년 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영화코칭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질 수 있는가? 둘 째, 영화코칭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가? 이에 대한 결론은 첫째, 영화코칭 프로그램은 청소년에게 밀 접한 4개의 주제를 GROW 코칭 모델의 4단계로 적용하며 총 16회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 고 각 회기는 사전논의-영화감상-그룹코칭-개별코칭-사후토의로 구성된다. 둘째, 영화코칭 프로그램이 적용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대화 코칭이 적용된 통제집단의 비교에서 자아존중 감은 1차와 2차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자아존중감이 향상 되었으나, 집단 간의 차이 는 무의미한 것으로 나왔다. 자기조절학습은 집단 간의 차이가 1차에서는 무의미, 2차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왔다. 학교생활적응은 1차와 2차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왔다. 이 같은 결과로 본 연구는 영화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탐색해보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 외에도 영화를 활용한 다양한 코칭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9,000원
        5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using video debriefing on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o teams of 138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feedback after the simulation was run, and then the team was debriefed through the video recorded video in the debriefing room,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oral debrief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5 to December 10, 2015,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t-test. Results: The scores of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ho received the video debriefing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who received the oral debriefing training (control group).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debriefing using video in the simul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bility to perform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so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also helps strengthen nursing capacity.
        4,000원
        5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변화의 요구가 일상화된 시대에 조직구성원의 지속적 학습은 조직효과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Arneson, 2006). 이러한 관점에 입각해서 본 연구는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지속학습과정을 연구하여 전환 학습을 통한 적응학습에 이르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개인수준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킹이 각각 전환학습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여, 순차적으로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수준 변수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교차수준의 영 향력을 연구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45개의 팀에서 198명의 서비스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개인및 팀 수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과정에 대한 모형은 AMOS를 사용하고, 개인 및 팀 수준의 관계 는 HL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매개로 확인되었으며, 네트워킹이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수준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의 조절효과는 각각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학습활동을 자극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5,800원
        55.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대상의 한자교육의 학습 효과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의 주요 내 용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한자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언어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한자 교육 연구의 현황을 살핌과 동시에 지향해야 할 몇 가지 화두를 제시함으로써 한자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크게 4가지 범주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한자 교육 연구이다. 미래핵심 역량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육을 둘러싼 환경이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한자 교육의 철학과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접근이다. 둘째, 문식성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자 교육이다. 한자・한자어 학습에 대해 학생들이 보이는 문식 적 특징을 귀납화하여 객관적이고 타당한 발달 지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과학적 증거에 기반을 둔 교수 행위로서의 한자 교육이다. 한자 교육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기초로, 연구의 설계에서부터 검증에 이르는 과정과 그에 따르는 결과가 객관적이고 타당하 며,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여주어야 한다. 넷째, 한자 의미의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이다. 한자 교육이 어휘 교육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정의뿐만 아니라 의미 구조, 의미 관계, 의미 확장 등 한자 의 미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가 요구된다.
        4,600원
        5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DL on English lexico-grammar learning b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learning approach (deductive vs. inductive DDL), the student’s level of English (low vs. high level), and the complexity of lexico-grammar items (simple vs. complex). A total of five experimental lessons were given to 36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the lessons through the deductive DDL approach and the other group through the inductive DDL approach. The study found that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DDL were effective in the learning of English lexico-grammar by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deductive DDL was more effective for the high level students, while inductive DDL was more appropriate for low level students. In addition,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DDL were effective for teaching simple lexico-grammar items, but deductive DDL was more effective for teaching complex ones. Most of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DDL and expressed a view that they were able to learn the meanings as well as the forms of target lexico-grammar items.
        5,700원
        57.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된 무기력, 자아탄력성, 진로적응성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된 무기 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생 2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된 무기력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요인 중 수동성, 통제성, 지속결여, 과시결여가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낮았다. 둘째, 학습된 무기력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요인중 수동성, 과시결여, 책임결여가 높을 수록 자아탄력성이 낮았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사고, 문제해결, 친밀행동, 자율행동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았다. 넷째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 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과 자아탄력성 진로적응성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냄으 로써 향후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5,500원
        5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인들이 영어를 익히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면서 회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서 35개의 영어패턴을 활용한 70일간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으로 설계된 패턴영어학습법의 효과를 조사하고, 더 나은 패턴영어학습법을 설계하기 위한 요인들을 도출 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비영어전공 성인 126명을 대상으로 학습자가 느끼는 영어수준과 영어의 필요성에 대한 정도, 선호하는 학습방법을 조사하였고, 이들 중 본 프로젝트에 참여한 10명을 대상으로 70일 동안 매일 평균 30분씩 패턴영어 학습과 일일과제 수행을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학습결과로 학생들이 작성한 일일과제 결과와 사전설문지, 녹취자료를 종합적으 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패턴영어 학습법은 빠른 시간 내에 영어능력을 향상시키고 싶은 성인들에게 실용적인 방법 이며, 패턴영어는 뼈대가 되는 완성된 문장을 스스로 반복적으로 연습하여 익숙하게 만드는 과정이 우선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으로 학습 과정을 설계하는 것도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5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을 위한 자기주 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도미향(2014) CPA 코칭 모델과 코칭 대 화모델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I.C에 위치한 00학원의 예비 중학생 54명 중 27명은 실험집단으로, 27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주 2회 자기주도학습 코 칭프로그램을 7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 후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주 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둘째, 실험집단의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신감은 실험 전 과 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을 새롭게 보는 시각이 생겼고, 자신의 변화를 느끼고 체험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 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부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5,100원
        6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력개선을 위한 개인의 자발적 학습활동인 지속경력학습 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이 직무 및 경력에 대한 유능성 지각과 현 조직에서의 경력성장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지속경력학습과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인과관계, 경력적 응력 및 직무효능감이 조직경력성장(직무보상, 조직보상)에 미치는 영향력, 지속경력학습과 조직경력성 장(직무보상, 조직보상)의 관계에서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목적 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공식적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1,00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하고있는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울산과 구미에 소재하고 있는 자동차, 중공업, 전자 업종 종사자 로부터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동일방법편의 가능성을 사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시간간격 분리법을 활 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경력학습은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을 촉진하는 원인임이 확 인되었으며,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 모두 직무보상 및 조직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또한 직무효능감은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적응력은 지속경력 학습-직무보상의 관계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속경력학습이 개인의 경력에 대한 유능성 인식뿐만 아니라 현 직무와 관련된 유능성 인식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검증되어, 경력개선을 위한 개인 학습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조직경력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경력 및 직무 에 대한 유능성 지각의 중요성과 지속경력학습이 조직경력성장에 이르는 메커니즘에 있어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주요 역할을 입증하고 있다.
        6,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