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4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 ‘Amber’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0년에 육성한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으로 2006년도에 복색 홑꽃형의 스프레이 국화 ‘Delmont’ 품종을 모본, 성장세가 좋은 복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Moulin Rouge’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2007에서 2009년까지 춘계 억제재배와 하계 촉성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Amber’를 육성하였다. ‘Amber’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31일이며, 전조와 차광처리에의한 일장조절에 의해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 이 품종은복색 꽃잎을 가진 홑꽃형으로 성장세가 매우 좋고 개화반응주기는 7주이다. 가을재배에 있어서 화경은 5.5cm, 본당 착화수가 11.2개이고, 절화수명은 26.8일이었다. 춘계차광재배에서의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가 49일이었다.이 품종은 흰녹병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조품종에 비해 기호도도 높았다.
        4,000원
        4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분화 심비디움 11 품종의 절화 수명에 대해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심비디움 절화수명은 ‘Red Heart’(5일)와 ‘Cosai’(5 일), ‘Hukumusme’(4일)로 가장 짧았고, 가장 긴 것은 ‘Golden Bambi’(21일)로 절화수명이 짧은 품종의 4배 정도 수명이 길었다. ‘Golden Bell’, ‘Miss Kim’, ‘Marine Green’ 의 절화수명은 8~10일이었고, ‘Golden Tiara’, ‘UFO’, ‘Orange Fresh’, ‘Gengi’의 절화수명은 6~7일이었다. 절화수명연장제 ‘화정’과 ‘Florbelle’의 100 배, 200배액 처리시 처리 별로 절화수명에는 큰 차이는 나지 않았으나 ‘화정’ 100배액이 품종에 따라 절화수명 에 효과가 있었다.
        4,000원
        4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3년에 황색 폼 폰 화형인 ‘Restone’에 자주색 폼폰 화형인 ‘Lollipop’을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집단으로부터 황색 적심 폼폰 화형의 겹꽃 ‘03B1-82’ 계통을 선발하였다. ‘03B1-82’ 계통은 2005년 겨울부터 2007년 3년에 걸쳐 1, 2차 특성검정을 통해 안정성, 균일성 및 흰녹병저항성 검정 및 절화수명에 대해 조사되었고, 2008년에는 우수선발 계통으로 ‘원교B1-142호’ 계통번호를 부여받아 3차 특 성검정을 실시하여 안정성, 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 성 그리고 주년생산성(촉성, 억제재배), 생산자 및 소 비자 기호성을 평가 받았다. ‘원교B1-142호’는 2008년 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옐로우캔디’로 명명되 어졌다. 국화 ‘옐로우캔디’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 순에 자연 개화하는 절화용 스프레이 추국이다. 황색의 적색화심을 지닌 폼폰화형의 겹꽃으로 초세 및 줄기가 강건하다. 특히 여름철 고온기에도 통상화가 많이 발생 하지 않으며, 촉성 및 억제재배 등 주년생산이 가능하 다. 꽃의 직경이 4.3 cm 내외, 꽃잎수는 소화당 180매 이상, 착화수는 본당 8화 내외의 중형화로 절화수명은 18일 정도이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둥근모양의 폼폰 형이기 때문에 수확시 꽃이 서로 엉키면 꽃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여름 장마철 또는 겨울철 환기 부족시 흰녹병 발생을 주의하고 주기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4,000원
        4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확 후 몇가지 전, 후처리가 자생식물인 벌개미취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벌 개비취를 상품성이 있는 절화로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확 후 3% sucrose + 200 mg·L−1 HQC + 50 mg·L−1 AgNO3+ 50mg·L−1 BA와 3% sucrose + 200 mg·L−1 HQC + 50 mg·L−1 AgNO3+ 150mg·L−1 citric acid 용 액에 16시간 동안 전처리한 경우 증류수구보다 절화수 명이 1.4배 길어졌다. 3% sucrose + 200mg·L−1 HQC + 50 mg·L−1 AgNO3+ 50 mg·L−1 BA와 3% sucrose + 200mg·L−1 HQC + 50mg·L−1 AgNO3+50mg·L−1 GA3 보존용액에 계속 침지한 벌개미취는 증류수에 비해 절 화수명이 1.6배와 1.7배 길어졌다. 이 처리에서 생체중 이 증가되고 수분균형도 늦게까지 플러스 값을 유지하여 절화수명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벌개미취 절화수명에 생체중과 수분균형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s been banned by Montreal Protocol due to ozone depletion in developed countries since 2005 but uses for quarantine & pre-shipment (QPS) remains exemption due to no appropriate alternatives yet available. However, in 2010, the prohibition of QPS in European Union(EU) will be expected to phase out MB worldwide use. There is an inevitable need for MB alternatives technology. Also, other consumer's demand in QPS is that MB has damaging effect to the quality of highly valuable fresh products: some fruits, vegetables and mostly cut flowers. We evaluated 2% of phosphine(PH3) and 98% of CO2 mixtures as MB alternative in export cut flower fumigation. On sensitivity test, larvae of Aphis gossypii were most tolerant to PH3 fumigation in all stage of A. gossypii, Tetranychus urticae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e LC99 and LCT99 value of mixture gas for larvae of A. gossypii was 55 mg/L (24hr, 15℃) and 1,224 mgh/L(15℃), respectively. On confirmation trials scheduled in 28m3 container, all stages of A. gossypii, T. urticae, and F. occidentalis were completely controlled in 100g/㎥ of mixture gas for 24hrs at 8℃, and no damage was observed in roses, chrysanthemums, and lilies. The PH3 and CO2 mixture technology in cut flowers fumigation and their application will plays an practically important roles in further MB replacement strategy in Korea.
        4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아이리스의 노화와 절화수명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과 이러한 에틸렌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STS 전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아이리스는 1mM STS 용액에 30분간 전처리한 후 0, 3mL·L−1 의 에틸렌에 24시간 노출시켰다. 봉오리 상태 에서 절화 아이리스의 절화수명은 STS 전처리후 에틸렌 에 노출된 것은 4.2일, 에틸렌에 노출되지 않았던 꽃은 4.6일 이었다. 반개화 상태에 수확한 아이리스의 절화수명 은 STS 전처리에서 길었다. 그러나 에틸렌 노출에 의해 서는 수명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절화 아이 리스는 외생 에틸렌에 민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봉 오리 상태에서 수확한 절화는 완전한 개화가 유도되지 않 고 노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느 정도 개화가 진전된 꽃을 수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국화의 재배방법에 따라 즉, 적심재배방법과 정식시기에 따른 국화 '진바'의 생육과 절화의 상품성과 재배기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무적심 재배의 경우 화아 분화 돌입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확보하는데 비해, 적심재배의 경우는 충분한 영양 생장기간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화아분화 유기 12주 후의 무적심 재배 개화율은 95%를 상회하였으나 적심재배는 95% 이하로 나타났다. 무적심재배구는 정식시기에 관계없이 3등급상품 이상의 절화가 100% 생산되었으나 적심재배는 첫째주 정식구에서 84.7%로 아주 낮았고 둘째주 정식구는 64.3%, 셋째주 정식구는 18.8%, 넷째주 정식구는 2.6%로 적심재배구의 절화 상품성이 아주 좋지 못하였다. 무적심재배구의 절화품질이 제일 좋지 못한 넷째주 정식구와 적심재배구의 절화품질이 제일 좋은 첫째주 정식구를 비교하면 절화의 품질은 무적심재 배 넷째주 정식구가 좋았고 재배기간도 38일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절화국화 무적심재배는 적심 재배에 비하여 재배기간 단축과 품질향상이 가능하므로 경영비 절감과 소득향상이 가능한 재배법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근 아이리스(Iris hollandica)의 Madonna, Beauty, 및 Blue Magic 품종의 절화의 수명연장에 이상적인 절화보존제의 성분과 환경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구근 아이리스 절화의 펄싱처리는 sucrose 40g·L-1와 citric acid 5g·L-1을 혼용한 처리구와 홀딩 처리 시에는 sucrose 30g·L-1, citric acid 800mg·L-1, 그리고 benzylaminopurine 80mgL-1를 혼용한 처리구 가 가장 좋았다. 구근 아이리스 절화보존을 위한 최적 환경조건은 온도 15, 상대습도 70%, 광도 1,000lux이 었다. 또한 펄싱과 홀딩을 동시에 처리하면 절화수명이 더욱 연장되었다. 즉 펄싱과 홀딩의 중복처리는 품종에 따라 대조구의 수명이 3.3-4.4일인데 비해 5.3-7.1일로 2.0-2.7일 연장되었다. 또한 중복처리구에서는 포엽의 엽록소 및 외화피의 안토시아닌 함량도 높았다.
        4,000원
        57.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ral scents and metabolites from cut flowers of 14 peony cultivars (Paeonia lactiflora Pall.)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different cultivars and to compare the Korean cultivar with the other cut peonies imported to Korea using electronic nose (E-nose)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combin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respectivel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dendrogram of peony floral scents were not precisely same but there were 3 groups including same cultivars. PCA and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dendrograms of peony metabolites showed that different cut peony cultivars were clustered into two major groups including same cultivars. Fragrance pattern of Korean ‘Taebaek’ was classified to same group with ‘Jubilee’ on the PCA and DFA results and its metabolite pattern was clearly discriminated by the PCA and PLS-DA compared to the other cultivar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14 peony cut flowers could be discriminated corresponding to their chemical relationship and the metabolic profile of Korean ‘Taebaek’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we suggest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breeding new cut peony cultivars and for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Korean cut peony in cosmetic industry.
        5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lecting materials by exploring what types of cut flowers working women prefer when they make a floral arrangement. On the subjects of 19 working women (age 22.3±5.8, period of work 4.8±2.4) at S electronics company located in G city, this study conducted 10 sessions of a floral arrangement program once a week between April 21 and June 30, 2015. This study divided outward types of cut flowers into four items including line flower, form flower, mass flower, and filler flower, and provided materials for each session in the floral arrangement program.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working women’s preferred cut flower types in making a floral arrangement are as follows. As for investigating preferences for the types of cut flowers, the type (design) other than the color was found to be paid more attention to, and among them, the type of form flower was most preferred with 40.0%, the type of mass flower 31.0%, the type of filler flower 14.8%, the type of line flower 14.2% in that order. As for plant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type, firstly plants of the type of form flower found to be most preferred were Hydrangea macrophylla (21.1%) and Zantedeschia aethiopica (21.1%), mass flower Rosa hybrid ‘Spring’ (22.0%), filler flower Gomphrena globosa (32.1%), and line flower Typha orientalis (48.2%).
        5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ney Blue’는 2006년도에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종자친 ‘Pacific Blue’과 화분친 ‘Lovely Blue’ 교배조합으로 인공교배를 통하여 육성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5년 동안 특성검정을 하여 절화특성이 우수한 계통을 2012년도에 최종 선발하여 ‘Honey Blue’으로 명명하였다. 종자친으로 사용한 ‘Pacific Blue’는 향기가 중간 정도이며 주요성분은 germacrene-D과 3,5-dimethoxytoluene이다. 화분친으로 사용한 ‘Lovely Blue’는 향기가 강하며 주요성분은 germacrene-D, geraniol 및 cadinene이다. ‘Honey Blue’의 주요 향기성분은 germacrene-D, citronellol and 3,5-Dimethoxytoluene으로 향기가 강하다. ‘Honey Blue’은 대형 스탠다드 장미로 화색은 보라색(RHS Violet 84C)이며 화폭 9.7 cm, 꽃잎수 50.2매, 절화수명 9.1일이다. 개화소요일수는 49일이며 년간 절화수량은 134본/m2이고 절화장은 75.8 cm이다(품종출원등록번호: 제4866호).
        6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mmer Red’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2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7년도에 화색이 밝은 적색인 스탠다드 장미 ‘Cardinal’을 종자친으로 하고 적색 대형 스탠다드 장미 ‘Fire Fox’를 화분친으로 교배하여 2008년도에 실생을 양성하였다.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54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10부터 2012년까지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GR07-106-27계통(GyeongGyo D1-33)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적색(RHS Color Chart Red Group 44B)이다.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다. 화폭은 12.3 cm이며 화고가 5.5 cm이고 꽃잎수는 46.7매이며 향기는 약한 편이다. 개화소요일수는 평균 51일이며 엽색은 녹색(RHS Color Chart Green Group 139A)이며 엽 광택은 중간이고 줄기의 가시 발생 정도는 적다. 흰가루병에 강한 편이고 년간 절화수량은 168.4 본/m2이고 절화장은 82.4 cm이며 줄기직경은 6.9 mm이고 절화중이 38.4 g이다. 엽수는 11.8매이며 절화수명은 11.1일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