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가별 화훼 및 절화 국화 소비 및 판매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유통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 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업체에 의뢰하여 화훼 유통업자 및 판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국가 는 대한민국, 일본, 호주, 베트남이었고 대한민국, 호주, 베트남의 조사 인원은 각각 50명, 일본은 49명, 총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조사 국가에서 오프라인으로 유통 또는 판매를 하였고, 최근 들어 온라인을 통한 유통 및 판매도 높게 나타났다. 꽃 유통 및 판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품종과 품질이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큰 행사가 있는 달에 국화가 많이 팔리며 호주와 베트남은 연중 고르게 판매되 는 양상을 보였다. 주로 선물용과 기념일용으로 판매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호주는 스탠다드 타입과 스프레이 타입이 섞인 믹스 타입의 절화 국화가 주로 판매되며 베트남의 경우 스 프레이 타입의 절화 국화가 가장 많이 판매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프레이 타입의 경우, Anemone를 선호하며 Spider 는 선호하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스탠다드 타입의 경우, Double 모양의 판매가 가장 많았으며 대한민국을 제외한 세 나라에서는 Pompon의 판매량도 높은 수준이었다. 색상은 흰색, 아이보리, 노랑 등 밝은 색상의 판매량이 많았으며, 초록색 계통의 경우 전체적으로 판매 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별 맞춤형 품종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Name is an individual symbol in human society. It is not only a language symbol, but also the crystalliza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various countries.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ingly frequent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more and more Chinese people are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and choose to study in South Korea. A proper Korean name can help international students learn Korean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adapt to Korean life and so on. Both China and South Korea belong to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ast, when Chinese name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most of them chose Korean symbols corresponding to Chinese characters, but now they are marked according to the “Loanword orthography”. But in fact, this is not binding, and can not be well observed. Foreigners’ Korean names have always translation mixed. This paper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preference of Korean name forms used by 211 international students of P University in Busan. The result is that China and South Korea are both belong to Chinese cultural circles. When naming Chinese students, it is not necessary to mark according to the Loanword orthography like translating the names of European and American. At the same time, cultural factor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translation.
본 연구에서는 기생성 천적 쌍꼬리진디벌(Binodoxys communis)에 대한 분류·동정과 성비, 수명 등 생물학적 특성과 기주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조사한 온도 조건(17.5°C ~ 35.0°C) 중 35.0°C를 제외한 모든 온도 조건에서 발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 온도 조건별로 는 17.5°C에서 발육 기간이 21.7일로 가장 길었고, 32.5°C에서 6.4일로 나타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육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수 성 비는 25.0°C ~ 30.0°C의 온도범위 내에서 암컷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암컷의 발육영점온도는 10.87°C,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였고, 수컷은 발육영점온도는 10.74°C,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로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등 4종의 농작물 주요 진딧 물을 대상으로 한 기주 선호성은 상대적으로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콩진딧물에 대해서도 높은 편이었지만, 복숭아 혹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하여는 선호도가 낮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과의 접촉이 적어지는 현대사회에서 식물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올바른 정서를 가진 유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식물 선호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여 유아에게 원예활동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5세 15명, 7세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정서지능과 식물선호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누리과정을 적용하여 원예치료 전공 교수 1인과 원예치료 전공 박사과정 1인과 논의 후 구성되었으며 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동질성 검사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의 총점은 5세의 경우 15.1점에서 16.89점(p = .001), 7세의 경우 15.24점에서 17.1점(p = .00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물 선호도의 총점은 5세의 경우 2.99점에서 3.51점으로 점수가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세의 경우에는 3.44점에서 3.9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p = .003). 그 결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식물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a longitudinal data collection to examine online factors of digital multimodal composing (DMC) preference and measure learner course satisfaction with digital composing modes in an online EFL communication cour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olve learners in a process of online, interactive, and multimodal curricular design during emergency remote learning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Innovative online technologies such as a new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digital educational components were implemented and used to quantitatively examine learners’ acceptance of technology. Korean learner preferences for textual and audio modes of DMC were indicated by Relative Advantag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factors. These factors also indicated an aversion to video-based DMC including video recordings and video responses as well as moderate concern for video conferencing. Qualitative findings revealed student concern for the constructs of Ease of Use and Using Video Modalities when transitioning to new online learning technologies.
이 논문의 목적은 소비자들의 쇠고기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우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우와 기타 수입국가별 쇠고기에 대한 소비 대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요인 분석을 통해 한우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혼합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원산지별로 쇠고기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은 개인특성변수만을 고려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선택특정변수도 고려하였다. 개인특정변수로는 나이, 소득 등과 같이 종속변수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변수이며, 선택특정변수의 경우에는 반대로 종속변수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나이, 소득, 외국 주거 여부 등과 같은 개인특정변수들의 영향은 선행연구들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선택특정변수들의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맛, 건강, 품질, 가격 등의 순으로 원산지별 쇠고기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우와의 대체 정도는 호주산 쇠고기, 미국산 쇠고기, 국내 육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preference of Korean menu for different cooking water. Mineral water (MW) and bottled water (BW) were used as cooking water. Sensory attributes were derived by qualitative evaluation, and preference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duo-trio test and 9 point likert scale. Mechanic properties were also evaluated. For the sensory attribute, properties such as tough, greasy, glossy, salty were derived when cooked with MW. For consumer preference, overall taste, aftertaste, and degree of sticky of ba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W than in BW (p<0.05). The preference for the rich flavor of sagol broth (p<0.05)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W than in BW. Preference for taste and flavor of omija-hwachae was higher than BW (p<0.01).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test, food material boiled with MW showed higher property for cohesiveness and gumminess (p<0.05). In conclusion, cooking water with high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has been evaluated to enhance the palatability of Korean menus such as bap and sagol broth, and thus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Korean menus can be applied. This suggests that dietary calcium and magnesium intake can be increased by using cooking water with a high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점박이응애는 광식성 초식자로서, 사과의 주요 해충 중 하나이다. 사과 품종에 따라 점박이응애의 밀도 형성이나 피해 규모가 다르게 나타난다. 세 가지 품종, 쓰가루, 홍로, 후지의 잎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이동 선호성, 발육속도, 그리고 산란능력이 다른지를 시험하였다. 잎 절편을 이용한 실험 결과, 이동 선호성은 쓰가루나 홍로보다 후지 잎에서 높았다.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후지 잎에서 가장 짧았고 홍로에서 가장 길었다. 암컷 성충 수명은 후지에서 가장 짧았다. 암컷의 총산란수는 사과 품종에 따라 다르지 않았지만, 일 평균 산란수는 후지에서 높았다. 생명표 분석 결과 홍로 잎에서 점박이응애의 적합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과원에서 품종에 따른 점박이응애 발생 양상의 차이를 설명 해주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과 품종에 대한 평가를 통해, 품종별 응애류 관리 전략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관한 인식과 선 호도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431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대부분 (74%)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응답자들 은 팝업 스타일 웨딩의 장점으로 하객과의 소통이 자유롭고 공간과 인원에 따라 맞춤 웨딩이 가능하며 예비부부가 주도하 는 개성 있는 웨딩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날씨에 따 른 변수(악천후, 땡볕, 습도 등)라고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공간으로는 실내공간보다 실외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외 공간에서 모두 현대적 스타일 건 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 훼장식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기존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 택이 가능하며, 화훼장식과 어우러지는 다양한 오브제(장식 품)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로는 웨딩카를 제외한 모든 화훼장식 요소를 중 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웨딩 꽃길, 신부 부케, 웨딩 꽃길 입구장식이 가장 돋보여야 할 부분이라고 인식하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화훼장식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폭넓은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디자인을 제 공하는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으로 소비자들의 웨딩 화훼 장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30 representative Korean dishes by a systematic review of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Korean foods. The papers for the review were located using the keywords ‘hansik’, ‘hanguk eumsik’ from DBpia, KISS, NDSL and RISS, and 18 relevant papers were finally short-list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of Koreans and foreigners for Korean dishes, respondents were chosen from various regions such as Asia, Europe, South Pacific, Africa, and North/South America. A total of 4,053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elected papers and Korean dish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based on books pu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mong the main dishes, two kinds of cooked rice were selected, bibimbap and kimbap. Also, noodles, dumplings, and sliced rice cake soup varieties mul-naengmyeon, guksujangguk, mandu, and tteokguk were selected as main dishes. The side dishes selected included 6 kinds of soup, miyeokguk, yukgaejang, samgyetang, gomtang, seolleongtang, and galbi-tang. Other side dishes selected were six types of stews namely doenjang-jjigae, kimchi-jjigae, sundubu-jjigae, haemultang, maeuntang, and dakbokkeum- tang. Three kinds of grilled side dishes selected were bulgogi, galbi-gui, and samgyeopsal-gui. Galbi-jjim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braised or steamed foods. Tteokbokki and japchae were the stir-fried food selected. Pan-fried foods and fried foods selected included a kind of haemul-pajeon and dak-gangjeong respectively. Seasoned vegetables selected were samsaek-namul including gosari-namul, sigeumchi-namul and doraji-namul. Two kinds of baechukimchi and kkakdugi were selected as kimchies, and sikhye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beverages and tea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selection criteria in developing recipes for representative Korean menus.
본 연구의 목적은 무작위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유기견과 분양견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 고 유기견과 분양견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기견의 선호도가 낮은 이유를 파악하여 유기 견의 인식 개선방안과 그 필요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무작위 대상의 남녀 100명이었다. 결론적으로 유기견 입양 의 선호도를 끌어올릴 방안을 마련하고 인식개선방안을 수립했음을 시사했다.
In this study, we theorize that the way consumers communicate on social media (“liking”2 vs. posting) leads to consequential preferences for luxury products. Specifically, for light users, who spend less than one hour on social media, “liking” (vs. posting) strengthens (vs. weakens) preference for social value-framed luxury products (i.e., creates a good impression to others) compared to functional value-framed products (i.e., superior quality). This contrasts with heavy users, who spend more than two hours on social media, where posting (vs. “liking”) strengthens (vs. weakens) preference for social value-framed luxury products compared to functional value-framed product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interaction (“liking” vs. posting) and preference for luxury products is conditionally mediated by communication expectation with others. Both th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are moderated by the time spent on social media and luxury value type.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선호도 및 요구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5개 시·군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재원 자녀의 부모 1,008명이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도는, 부모교육 유형에서 ‘매체 를 통한 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부모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부모교육이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높았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에 대한 부모의 선호도는 부모교육 참여 시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요일은 ‘평일’이고, 교육시간대는 ‘오전 10-12시’ 였다. 또한 부모교육 1회 시 교육시간은 ‘1시간’을 가장 선호하였고, 부모교육 횟수는 ‘한 학기에 1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유형은 ‘부모 교육전문가에 의한 초청특강’을 가장 선호했으며, 부모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 과적인 의사소통’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자녀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공립유치원 부모들이 사립유치원 부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간다 낙농업에 종사하는 197 농가를 대상으로 낙농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선호하는 ODA 사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최고-최저 조정법(Best-Worst Scaling, BWS)을 이용하여 낙농분야 ODA 사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7개 항목 중 1순위와 2순위는 각각 『젖소개량』과『가축질병 관리』로 전체 효용에서 차지하는 1순위와 2순위의 효용은 각각 48.5%와 21.7%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선진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농가 선호도가 높은『젖소개량』과『가축질 병 관리』는 낙농분야 ODA 사업으로 실행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ODA 사업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 하며 정량적 우선순위 결과를 고려한 우간다의 낙농분야 ODA 사업은 효율적으로 현지 주민 만족도 및 낙농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