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삽주의 기능성을 분석한 결과, 추출 수율은 ethanol 추출물에 14.8%와 water 분획물에 17.7%를 나타내었다. Acetone 추출물과 butanol 분획물의 수소공여 능은 각각 72.9%와 74.2%로 높게 나타났으며, methanol 추출물과 butanol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각각 95.0%와 7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삽주의 용매별 추출물 중 methanol 추출물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Bacil
한국산 삽주로 식품의 가공·저장 및 영양학적 및 기호적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총당은 생삽주에서 31.3%, 건삽주에서 46.8%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은 생삽주의 경우 K이 4,038.9 ppm, P 1,698.5 ppm, Ca 731.8 ppm, Mg 477.1 ppm, Na 87.2 ppm, Fe 56.4 ppm, Zn 22.4 ppm 및 Mn 13.5 ppm 이었고, 건삽주의 경우 K이 8,7
천궁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 butyl phthalide, senkyunolide, cnidilide + neocnidilide 및 ligustilide가 동정되었으며, 이들 성분의 70% 이상을 ligustilide와 senkyunolide가 차지하였다. Phthalide류 총량으로 볼 때 연길산 및 안국산의 중국재배 천궁은 한국재배종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길림산은 한국 재배종보다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성분의 함량도 낮아 품질이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의 연길산 천궁은 ligustilide와 senkyunolide의 광분해생성물인 butylidene phthalide 및 butyl phthalide함량이 높아 유통기간과 보관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되어져 약재 수입시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당귀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와 ligustilide가 동정 되었으며, 전체의 약 90%를 ligustilide가 차지하였다. 우리나라 재배종 당귀 중의 ligustilide 함량은 중국 연길산의 상품 및 하품보다 높았으나, 안국산 및 길림산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길림산을 제외한 중국산 당귀는 ligustilide의 광분해산물로 생성되는 butylidene phthalide함량이 우리 나라 재배종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천궁에서와 같이 중국산 약재의 유통과 보관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광의의 한국산 개미취속의 16종류에 대하여 열매인 수과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과의 형태는 도피침상 장타원형, 도란형, 장타원형, 도란상 장타원형 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수과에 존재하는 모용은 단열성 원추형, 사상형, 원주형, 두상형, 장축 두상형, 구형의 6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의 수과 선단에서 분포양상은 무모형, 원추상 모용 소생형, 원추상 모용 밀집형, 원추상-두상 모용 혼생형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수과의 형태와 이에 존재하는 모용의 특징은 분류군내의 개체간에는 변이가 없으나 분류군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종을 구분하는 좋은 형질로 여겨졌다. 특히 두상형의 모용의 존재여부와 수과선단의 두상형의 모용과 원추형의 모용이 혼생하는 형질은 광의의 Aster속을 Kalimeris, Heteropappus, Aster, Gymnaster속으로 세분할 때, Kalimeris속과 Heteropappus속 및 Aster속의 Pseudocalimeris절을 구분짓는 형질, 즉 절 이상을 구분하는 형질로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백작약 및 적작약의 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경북 의성지역 외 5개 지역에서 1999년에 재배된 작약뿌리를 현지에서 수집하여, 산지별로 작약의 지표물질로 알려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산 작약의 재배 지역별 paeoniflorin 함량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백작약 2.06%로 가장 높았다. 산지별로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적작약 1.52%이었으며, 전라북도 임실 지역에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방의 내부구조, 밀선의 형태,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 그리고 화분 표면의 무의 등에 의해 2개의 절로 구분되었고 밀선과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쓴풀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늬를 갖는 분류군)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산 작두콩을 부위별(종자, 자엽, 껍질, 깍지, 잎, 줄기 및 뿌리)로 구분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두콩의 부위별 일반성분 중 총당과 조단백질은 다른 부위에 비해 자엽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뿌리에서 칼륨, 잎에서는 칼슘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잎의 경우 oxalic acid가 2.556 mg%, 깍지는 citric acid가 573 mg%로 가장 높았다. 유리당은 껍질에서 sucrose가 3.80%
Nine trace metals (Zn, Fe, Al, Pb, Mn, Cu, Ni, Cr, and Cd) and S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organs and tissues(muscle, bone, kidney, liver and skin) of the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llected at Daejeo-dong, Pusan city and the Sorak Mt., Kangwon Province. All the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from all the mice examined. As for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mice from Daejeo-dong, Zn, Fe, Al, Mn, Ni and C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Sorak Mt.(p<0.05), suggesting that pesticides including Zn and factory wastes containing several metals might contaminated the environment of Daejeo-dong.
As regards the element concentrations in each organ and tissue, Fe, Al, Pb, Mn, Cu, Cr and Cd concentrations were high in liver or kidney; Zn in skin and bone; Ni in bone, skin and kidney; and Se in muscle, liver and skin in all the mice examin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juveniles and adults in average concentration of metals(Zn, Fe, Pb, Mn, Ni, and Cd) in every organs and tissues of mice collected at Daejeo-dong. Much higher average levels of metals in juveniles indicate that considerable burdens of metals might be transferred through the placenta.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between young and old adults in average metal concentrations, which suggests that the mice might accumulate the metals during their life time, although they might excrete the metals not only through reproductive activities, such as parturition, lactation and ejaculation of semen, but also through molting, judging from higher accumulating ratios of most metals in skin of adults than of juveniles.
한국산 참깨와 중국산 참깨를 구별해낼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실험방법을 모색하고자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고, 또한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판별이 가능한지를 MANOVA 분석, 판별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기름의 향기성분 분석 결과 한국품종 한국산은 41개 성분을 확인하였고, 중국품종 중국산은 39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주성분은 참깨의 고소
한국품종 및 중국품종 참깨를 한국 조치원 및 중국 길림성에서 각각 재배, 수확한 참깨 및 이를 볶아 제조한 참기름을 시료로 하여 화학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참기름의 수율은 한국품종 한국산이 47.8%, 중국품종 중국산이 48.1%, 재배지 교환시는 한국품종 중국산이 48.6%, 중국품종 한국산이 49.3%로 나타났다. 참기름의 색도는 한국품종 한국산이 L값이 다소 낮아 참기름 고유의 암갈색을 띠었다. 참기름의 지방질 조성은 한국품종 한국산은 중
한국산 개미취속(Aster) 및 근연의 17분류군을 대상으로 잎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잎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서 엽형은 타원형, 주걱형, 피침형, 선형, 난상삼각형의 5유형으로 동일분류군내에서는 일정하였으며, 분류군간에는 몇가지 유형으로 뚜렷히 구분되었으므로 분류군의 식별형질로 유용하였다. 엽연의 거치는 전연, 예거치, 치아상거치, 결각상거치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나 일부 분류군들에서 개체간에 변이가 나타나므로 이들 식별형질로는 선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해부학적형질에서 표피세포의 크기와 형태, 기공의 크기와 단위면적당 분포수, 표면의 cuticle 침적양상은 분류군 간에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으나, 기공의 표면존재여부, 기공의 크기, 단위면적당 기공의 분포수, 표피세포의 크기에 의해 일부 분류군들이 구분되었다. 모용은 형태와 모용표면의 무늬양상 및 구성세포의 배열 등에 의해 단열성 과립상 원추형, 단열성 평활상 원추형, 단열성 평활상 사상형, 구형, 2열성 낭상 두상형의 5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동일분류군내에서 다양한 생육환경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형태가 동일함으로 좋은 식별 형질로 판단되었다.
Through total fatty acid analysis by the Gas chromatography, 17 different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sap extracted from bark of Korean Rhus(Anacardiaceae), six species. Linoleic acid(C18 :2) and oleic acid(C18 : 1) were identified as major fatty acids for the species investigated, but except in R. chinensis.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for the species, one or two specific-fatty acid was detected, and its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taxonomic character.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the 22 reliable character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uggested first group was R.trichocarpa and R. succedanea, the second group, R.verniciflua, R.ambgua and R. sylvestris, but R.chinensis was a greatly independent species. The possible chemotaxonomic applic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k in the genus Rhus was discussed.
To furnish basic data about the utilization of Korean loquat as floo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Nutritional components in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of Korean loquat were analyzed as follows : moisture 48.7%, 87.8%, 88.3% and 59.5% ; total sugar 1.57%, 7.21%, 7.36% and 2.41% ; crude protein 5.23%, 1.61%, 1.44% and 4.31%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of loquat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were Ca 2,458ppm, K 661ppm, 654ppm and 1,528ppm, and water soluble vitamins such as ascorbic acid, thiamin and pyridoxine were confirmed in different pares of Korean loquat, the contents of those were high thiamin 5.86mg% in leaves and ascorbic acid 1.l0mg%, 1.26mg% and 4.90mg% in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free sugars were high sucrose 0.87%, glucose 0.62%, 0.6475 and rhamnose 0.20%, and major organic acid were detected oxalic acid 1,693.70mg%, malic acid 201.70mg%, 207.60mg% and citric acid 55.70mg%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Free amino acid were identified 21, 14, 14 and 16 kinds of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and their contents in each portion were highest glutamic acid 280.22mg%, proline 35.l0mg%, glutamic acid 56.96mg% and sarcosine 230.24mg%, respectively.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25 and 11 kinds of leaves and flesh and their contents were highest d-nerolidol 28.70ppm, hexadecanoic acid 16.67ppm, respectively.
Korean medicinal herb extracts(KMHE) were applied to the preservation of greenhouse produce in order to prove their effectiveness. KMHE showed remarkabl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Bacillus cereus, Peudomonas syringae, and Corynebacterium xerosis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Among KMHE the extracts of Rheum palmatum L. and Coptis chinensis Franch most obviously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ms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which destroyed to undetectable levels when treated with more than 500ppm of KMHE. The activities of KMHE were stable in the wide spectrum of pH and temperature.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microbial cell membrane the function of which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solutions of KMHE. This change of cellular membrane permeability could b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 that O-nitrophenyl--D-galactopyranoside(ONPG), the artificial substrate of -galactosidase, was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KMHE, indicating that the membrane was perturbed by KM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