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6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based pigment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owing to their eco-friendliness. In particular, the color of nanosized pigments can be tuned by controlling their size and morphology. This study reports on the effect of length on the coloration of β-FeOOH pigments prepared using an NH4OH solution. First, rod-type β-FeOOH is prepared by the hydrolysis of FeCl3·6H2O and NH4OH. When the amount of NH4OH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rods decreases. Thus, the length of the nanorods can be adjusted from 10 nm to 300 nm. The color of β-FeOOH changes from orangered to yellow depending on the length of β-FeOOH. The color and phase structure of β-FeOOH is characterized by UVvis spectroscopy, CIE Lab color parameter measurem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powder X-ray diffraction (XRD).
        4,000원
        6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의 수세는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환경 조건, 재배 관리, 대목 종류 및 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목 종류 및 적정 노출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나무의 생육, 생산성 및 수명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서 홍’, ‘썸머드림’, ‘홍금’에 적합한 대목 노출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M.9 자근대목에 각각 접목한 후 접목부가 지면에서 10, 20, 30 cm로 노출되게 재식하여 수체생장과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은 대목 노출이 짧을수록 TCA 증가가 컸다. 재식 6년차의 TCA는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각각 ‘서홍’ 70, 60, ‘썸머드림’ 88, 66, ‘홍금’ 55, 41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또한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수록 수고, 수폭, 신초장, 정단신초장의 영양생장량이 더 우수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수량 역시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 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 6년차 누적수량의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서홍’ 77, 63, ‘썸머드림’ 85, 76, ‘홍금’ 73, 5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 특성에 있어서 대목 노출 길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 의 영양생장과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M.9 대목의 노출 길이는 10cm로 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racteristics of CNT-Polyamide composites were analyzed, that is, tensile strength, electrical resis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lign length of CNT.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aligned CNT to improve the mechanical and thermal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areas including absorption and shielding of electromagnetic wave, thermal distribution or absorption, and high-strength of CNT. The aligned CNTs were synthesized by the ethylene gas with a CVD device preheated at 650℃. CNT-Polyamide composites were produced with the mixing of solution. CNT contents were controlled from 1phr to 50phr in the polyamide-ethanol solution, and blended with the 700W bar-type ultrasonic wave for 60 min.. And then CNT-polyamide were precipitated by CNT-polyamide-etnanol falling into the cold water. After dried 12 hours, CNT-polyamide composite were pressed at 150℃~180℃ with 400kgf to get the thickness of 1mm. As the conclusions, aligned CNT bundles were dispersed by cutting of CNT to the aligned direction because of polyamide properties. Tensile strength and electrical resistivity were improved to the increase of aligned length of CNT. Thermal conductivity was little affected by the align length of CNT.
        4,000원
        6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여러 모형안을 이용하여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반경으로부터 안축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계산식 을 유도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 과거력이 없는 정시안 101명(174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4.62±9.11세였다.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 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을 이용하여 안축길이를 예측하는 계 산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계산식에 자동굴절력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 각막곡률반경을 적용하여 안축길 이를 예측하였고, IOL-Master로 실측한 안축길이와 비교하여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측정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의 차이는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 Emsley의 약식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Gullstrand의 정 식 모형안 순으로 적었으며,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으로 계산된 안축길이만이 측정된 안축길이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09). 그 중에서도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이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정시안에서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반경을 기반으로 한 안축길이의 예측은 Gullstrand의 약식 모 형안이 더 정확하였다. 따라서 계산식을 이용한 정확한 안축길이의 예측은 개인별 안경렌즈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4,000원
        65.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안전시설물은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도로 기하구조 및 교통상황을 미리 제공함으로써 교통 사고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국내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운영 사례를 살펴볼 때, 설치기 준이 명확한 정규 교통안전시설물 외에 도로환경 및 교통상황에 따라 설치 된 비정규 교통안전시설물이 빈번하게 설치・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고속도로 분류부에서의 방향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차로유도선이 교통안전 및 교통운영에 효과가 있다는 주관적 판단 하에 각기 다른 설치길이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비정규 교통 안전시설물(차로유도선)에 대한 통합 운영 및 관리기준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도로공사 지역본부별로 설치․운영되고 있는 차로유도선에 대한 정확한 설치현황 정 보를 전수 조사하고, 각 길이별 (0~2.5km, 0.5km 단위 주행실험) 차로유도선에 대한 선호도 조사 및 VR(Virtual Reality)기반의 주행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차로유도선 설치길이별 운전자의 주행행태 및 생체반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VR기반의 영상DB를 구축하여 가상주행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취득 가능한 주행기록, 운전자 안구 움직임, 뇌파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로유도선 길이(0~2.5km)에 따른 차 로변경 위치 분석 및 심리적 안전성을 나타내는 RFA(Relative Fast Alpha) 뇌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 석항목은 선호도 설문조사, 차로변경 시점 분석, RFA 분석으로 구분되며, Paired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를 통해 기 설치 운영되고 있는 차로유도선의 적정 설치길이 및 설치효과 여부를 적극적으로 규명하여 향후 차로유도선의 설치기준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 결과, 한국도로공사 공사장 안내표지 배치 및 색상으로 배치할 경우, 시인성 및 주행 안전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공사장 교통안전성 확보에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고속도로 유관기 관인 국토교통부, 경찰청, 그리고 한국도로공사가 협의하여 작업구간 안내표지 기준의 재정립 시 해당 시 설물이 적극적으로 대체・보완 적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부의 교통사고 저감 노력에 최선의 노력을 경 주하고자 한다.
        6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presents assessmental FRP plate, one of materials used for reinforcing damage of RC structure caused by deterior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bonding length and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material property of epoxy used for bonding between FRP-Concrete, experimental tests for 3 specimens with each bonding length of 50,100,150,200and 250mm respectively are performed. test results indicate frat material property of epoxy can affect effective bonding length of FRP-Concrete.
        6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it length on the reduction of waste material was studied numerically. At the same time, the tightening axial force between steering shaft and asymmetry pinch yoke was also studied and compared. To achieve this study,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by AFDEX commercial code. The slit length(Ls) of pinch yoke was increased from 25mm to 34mm by the steps with an interval of 3mm. AISI 1025 was applied for the source material of asymmetry pinch yoke. Amount of deformation was applied as much as 0.1mm for tightening the pinch bolt yoke and the steering gear shaft. It was revealed that the stress of steering shaft ear in XX-direction and YY-direction showed the highest value in 34mm and 31mm of slit length cases, respectively. The stress of ZZ-direction has the same value in all cases. The tightening stress between the asymmetry pinch yoke and the shaft of steering gear had the highest value in XY-direction. In additions, when slit length was increased by the steps with an interval of 3mm, the material was more wasted approximately as much as 0.844g. In conclusions, 31mm of lit length was the optimal length in aspect of the tightening stress and the waste material.
        4,000원
        6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프리텐션된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에서의 전달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FBG 센서가 기입된 스마트 강연선을 활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달길이 측정을 위해 길이 3m, 단면 150×150mm의 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체를 총 5개 제작하였으며, 프리텐션 도입 시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58MPa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는 기존의 전기 저항식 게이지보다 FBG 센서로부터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강연선의 전달길이를 계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측결과로부터 산정된 강연선 전달길이를 기존의 여러 모델들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에서의 전달길이 산정에 대한 기존 모델들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향후 강연선의 부착 특성 분석 등의 관련 분야 연구 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9.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PEMFCs) have been noticed as the promising power source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in PEMFC is the proton exchange membranes(PEMs). Recently various materials for PEMs have been investigated for fuel cell applications. Sulfonated aromatic hydrocarbon-based multiblock copolymers have drawn much interest due to their well-defined phase separation between hydrophilic and hydrophobic blocks. In our group, multiblock copolymers based on highly sulfonated poly(fluorenyl ether sulfone)s were developed as highly conductive and stabl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e report herein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phase separation and properties by block length of the corresponding membranes.
        70.
        201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23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 중에 있으며, 이들 원자력발전소로부터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를 처분 대상으로 기준 심지층 처분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현재 이 기준 심지층 처분시스템은 초기농축도 4.5wt%, 방출연소도 55 GWd/MtU의 40 년 냉각된 사용후핵연료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효율 및 경제성 향상 방안의 일환으로 서 사용후핵연료의 종류 및 연소도 특성 등 발생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준 사용후핵연료에 비하여 길이가 짧고 연소 도가 비교적 낮은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처분용기 개념을 도출하고 열해석을 수행하여 처분시스템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처분시스템 개념과 기준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개념을 처분밀도, 처분면적 등의 처분효율 및 구리와 벤토나이트 소요 량 등 경제성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약 20% 이상 향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분석결과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 책 수립 및 실제 처분시스템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pertaining to the elastic buckling of simply supported columns with various cross-sectional dimensions but the same length and volume. In the investigations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methods is studied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obtained by the successive approximations technique is the most accurate. In addition, the elastic buckling loads of columns with variable cross-section dimensions are obtained by the theoretical and numerical method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buckling loads obtained by the numerical methods are close to the buckling loads obtained by the successive approximations technique for the practical standpoints. Moreover, the buckling load of column with convexity in its middle is the highest while the buckling load of the tapered column is the lowest as expected.
        4,000원
        7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evaluate tire-pavement noise based on a measure of Mean Profile Depth (MPD). However, equivalent values of MPD appear to correspond to different levels of tire-pavement noise, which indicates that other factors such as texture wavelength need to be inclu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noise prediction. A single index to represent texture wavelength is proposed in this study.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ire-pavement noise and texture wavelength on asphalt concrete pavement is observed. METHODS: Profile data and tire-pavement noise data were collected from a number of expressway sections in Korea. In addition, texture wavelength was defined by a Peak Number (PN), which was calculated using profile dat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N and tire-pavement noise.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PN and tire-pavement noise is observed on asphalt concrete pavement. CONCLUSIONS: Tire-pavement noise on asphalt concrete pavement can be predicted from PN information.
        4,000원
        7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길이가 다른 장방형 실린더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트류가 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류수조에서 PIV기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장방형 실린더의 높이(h)와 실린더 사이의 간격(gap)은 10mm이며 폭(B)은 300mm로 하였다. 유동방향의 모델의 길이(L)는 30mm, 60mm, 90mm 및 120mm를 각각 적용하였으며, 모델의 높이(H=30mm)를 기준으로 길이의 비가 1, 2, 3,및 4이다. 유입유동은 조류의 수심에 따른 차이를 감안하여 모델의 높이(H)를 기준으로 Re=1.4×104, Re=2.0×104, Re=2.9×104를 각각 적용하였으며. 유동계측을 위한 영역은 실린더 후방으로 모델 높이의 5배까지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와의 크기가 후류영역으로 증가하며, 근접 후류에서는 장방형 구조물일수록 관통류의 속도성분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후류로 갈수록 속도결손은 유입유동이 증가할수록 종횡비가 작은 경우에 크게 나타났다.
        4,000원
        7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클레마티스의 경삽에 의한 삽목번식이 잘 되지 않는 7-8월의 영양번식방법으로 수삽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삽시 적정한 삽수길이 및 발근제 처리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클레마티스 ‘호노라’ 의 1마디 삽수와 2마디 삽수를 NAA 0.1mg·L−1에 처리 하였다. NAA 0.1mg·L−1 처리구는 삽수길이에 관계없이 100% 발근되었지만, 무처리구는 1마디, 2마디 삽수 각 각 약 30%와 19%로 발근율이 현저히 낮았다. 뿌리수, 뿌리길이도 NAA 0.1 mg·L-1 처리구가 우수하였고, 그 효과는 1마디 삽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호노라’ 수삽의 결과를 바탕으로 2013년 클레마티스 ‘파이루’의 1 마디 삽수를 이용하여 NAA(0, 0.1, 0.5, 1.0mg·L−1) 처리농도에 따른 발근율을 비교 하였다. 발근소요일수는 약 70-74일로 약 10주가 소요되었고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발근율은 NAA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NAA 1.0mg·L−1 처리시 약 90% 발근되었다. 전반적인 뿌리의 생육은 NAA 0.5mg·L−1 이 상의 농도에서 향상되었다. 하지만 ‘파이루’는 NAA를 처리하지 않아도 76%이상 발근되는 것으로 보아 ‘호노라’보다 수삽에 의한 번식이 용이한 품종으로 생각된다.
        4,000원
        7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 구축된 빙해수조의 빙특성 중에서 모형빙의 두께와 유효탄성계수 산출과정이 소개되었다. 수조에서 결빙되는 빙판은 크기가 가로 세로각각 30 m 정도에 두께는 40mm정도이다. 모형선의 실험결과를 쇄빙선 설계에 사용하기 위하여 빙 특성 정보가 필요하다. 사람이 빙판을 일부 절개하고 일일이 손으로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하여 초음파 기기를 사용하였는데 저주파 장비를 사용하여 작은 샘플 모형빙에 대한 두께는 계측되었다. 하지만 완벽한 계측을 위해서는 송수신 일체형 저주파 센서나 정확한 위치가 설정된 분리형 센서 혹은 고가의 특수 장치가 필요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한편 빙판의 처짐량을 간이식 LVDT로 계측하고 이를 탄성체 위에 놓인 무한 판의 특성길이 관계식에 대입하여 빙의 유효탄성계수를 산출하였는데 외국의 결과와 유사함이 입증되었다.
        4,000원
        7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베라 ‘Harmony’, ‘Sunshine’, ‘Pink melody’를 대상으로 화경 기부의 절단 정도와 수확 후 물올림 시기에 따른 수분 흡수 및 생체중 변화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3 품종 모두 수분흡수, 생체중, 절화수명 및 수분 이동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화경 기부를 각각 3cm, 5cm, 10cm절단한 절화는 무절단과 절단 1cm 처리구에 비해서 일일수분흡수량은 더 많았고, 최초 생체중 대비 생체중 감소율은 더 낮았으며, 이로 인해 절화수명은 2-5일 연장되었다. 화경 기부의 절단 유무에 따른 수분흡수량 차이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현미경 검경을 통해 수분의이동 경로를 관찰한 결과, 화경 기부를 3cm 절단한 경우에는 목부 뿐만 아니라 목부섬유, 사부섬유, 수조직의 주변 세포 등을 통해 수분이 이동하는 반면, 화경 기부를 절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목부로만 수분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확 후 물올림 시작 시기의 지연이 거베라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화경 기부를 절단하지 않고 물올림 시작 시기를 지연한 절화는 지연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화경굽음 및 꽃잎위조 현상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절화수명도 짧아진 반면, 화경 기부를 절단한 경우에는 수확 후 12시간 까지물올림을 지연 했음에도 불구하고 절화수명에는 유의한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물에 침지한 후 물관을 포함한 다양한 유관속 조직을 통하여 흡수된 많은 양의 수분이 화경과 꽃잎세포의 팽압을 회복하는데 조력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8.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속도로 가속차로에서의 교통량 유입은 본선부 교통류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가속차로를 통 해 본선으로 진입하는 진입교통량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본선의 정체현상 유발 등의 문제를 야기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통량이 많은 도심부의 고속도로 구간의 경우, 해당 구간에 진입로가 위치한다면 상습적으로 정체가 유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진입로가 포함된 정체구간의 경우, 가속차 로의 길이에 따라 정체가 가중될 수도 완화될 수도 있다. 진입로 교통량에 따라 본선상의 차량이 가속차 로로 차선변경을 실시하여 주행할 수도 있으며, 진입차량이 본선 상으로 진입할 때 무리한 끼어들기로 교 통사고를 유발하거나 정체현상을 가중 시킬 수 있다. 또한, 가속차로 길이가 적정범위 이상일 경우 길이 만큼 상충횟수가 더 많아져 교통사고 위험 및 정체현상을 가중 시킬 수 있으므로 가속차로의 적정 길이 산정이 중요하다. 불가피하게 기하구조 상 가속차로가 길 경우, 일정거리를 시선유도봉 설치 등으로 본선 과 분리시켜 상충을 줄이는 기법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상습 정체구간인 중앙선 지선 남양산IC~물금IC 구간을 대상으로 국토해양부「도로의 구 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2009」에 가속차로 최소길이와 가속차로 소요 길이 산정식을 활용하여 해당 구간의 적정 가속차로를 산정하고, 현재 기하구조를 반영하여 최적 시선유도봉 설치 간격을 산정하 였다. 앞선 분석 결과를 토대로 VISSIM을 이용하여 현재 도로교통 조건과 장래 도로교통 조건하에 시선 유도봉 설치 미설치에 따른 평균 통행속도, 평균통행시간, 통과교통량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속차로 최소길이를 이용한 가속차로 최소길이는 변이구간 포함 370m로 나타났으며, 가속차로 소요길이 산정식을 이용한 가속차로 길이는 변이구간 포함 299m로 나타났다. 둘째, 앞선 분석 결과와 분석구간의 기하구조를 반영하여 시선유도봉 설치길이를 산출한 결과, 약 140~211m로 나타나 약 150m 시선유도봉을 설치하여 가속차로 이용연장을 기존 510m에서 360m로 축소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 로 나타났다. 가속차로 시선유도봉 설치에 따른 통행속도 변화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7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ree methods for measuring iliotibial tract length in 40 knees of 20 subjects.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two examiners and one assistant. The length of the iliotibial tract was measured using three methods: the first used a modified Ober test with an inclinometer, the second used a modified Ober test with a marker, and the third used active adduction test with a marker in the supine position. Each examiner used the three methods in two sessions. For the first method, the inclinometer value was recorded manually. For the second and third methods, Image J analysi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photographs taken.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 was assessed by means of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3,1)] and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The intra-rater reliabilities of the three methods were excellent (ICC=.97, .95, and .94, respectively),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were fair to good (ICC=.64 and .65, respectively).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hird method was excellent (ICC=.88).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e adduction test is an objec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iliotibial tract length. We recommend that the active adduction test be used for measuring iliotibial tract length in the clinical setting.
        4,000원
        8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hemline cycles exist and whether hemlines show greater within-year variability over time. Utilizing US Vogue data from 1950 to 2013 on hemline length of women's daywear, total 2102 day-dresses or skirts on full fashion pictures were analyzed. The skirt length was divided by the total length of figure in the picture which was measured from shoulder to ankle. Aggregated yearly means smoothed by means of three-point moving averages were used to provide a better indication of the long-term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hemline. Within-year hemline variability was smoothed by the way of three-point moving average as well. The data showed five cycles on hemline change processes. The first cycle took 21 years from 1950 to 1971, which was the longest period and had the biggest hemline changes. The second cycle was the shortest from 1971 to 1977, in which hemline moved between below-knee length and midcalf. The hemline in the third cycle moved between midcalf and miniskirt. The third cycle took 16 years from 1977 to 1993. The forth was a short cycle from 1998 to 2001, and hemlines moved moderately between below-knee length and above-knee length. The fifth cycle has been on going since 2001, and the hemline has been getting longer after 2007. The within-year variability of hemlines was bigger in 1980s than previous years and was steadily increased.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