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61.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하는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로서 straw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의 형태에 따른 수정율은 전 군에서 70.3∼84.1%로서 비슷한 경향이었다.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황체와 난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trophectoderm(TE), total cell number(TCN) 및 ICM/TCN 비율은 낭종군과 퇴행황체군이 다른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에 이용하는 배양용기에 따른 수정율은 0.5 ㎖ straw 군이, 8세포기 발달율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배반포기 발달율은 23.1∼30.7%로서 각 군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각각의 배양 용기에서 유래된 배반포의 ICM, TE, TCN 및 ICM/TCN 비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4,000원
        62.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의 불임해결과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목적으로 난소의 보존 및 난구세포의 부착 여부가 신선 및 동결 개 정자를 이용한 투명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적출한 난소를 4 와 salt에 각각 48시간 보존 후 회수한 난구세포 부착 난자와 나화난자의 정자침입율은 각각 62.5%, 37.5% 및 42.5% 및 22.4%로서 난소를 적출 후 곧 바로 회수한 난구세포 부착 및 나화난자 내 정자침입율인 93.3%와 56.7%에 비해 현저히 낮
        4,000원
        63.
        200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The concentrations of Ang. II were 7.20.91 × 10³, 3.80.34 × 10³, 3.50.30 × 10³, 2.80.22 × 10³ pg/ml in bovine follicular fluids from 1∼3 mm, 3∼5 mm, 5∼7 mm and 8∼10 m follicle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Ang. II decreased in follicular fluids from large follicles. 2. When oocyte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Ang. II, a higher proportion of oocytes developed to MII stage in medium with 100 ng/ml (79.5%) Ang II compare to that without Ang. II (58.8%). When oocytes from different sizes of follicles were separately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100 ng/ml Ang. II, maturation rates were higher in oocytes from small and medium follicles those from controls. 3. GSH content in oocytes cultured for 24 hrs in TCM-199 medium containing 10 and 100 ng/ml of Ang. II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oocytes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0 or 10 ng/ml Ang. II. When oocyte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0, 10, 100, 1,000 ng/ml of Ang. II, the concentrations of GSH were 5.1M, 5.5M, 7.2M, 8.7M, respectively. 4. When oocytes were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10, 100, 1,000 ng/ml Ang. II,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al rates were 84.0%, 90.0%, 78.0% and 28.0%, 36.0%, 20.0%, respectively. When oocytes were cultured with an addition of Ang. II in media, in vitro maturation rates higher than that of their controls (76.0%).
        4,000원
        66.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양이의 불임 해결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목적으로 난자의 형태, 보존 및 번식주기별 난자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신선 난소로부터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및 나화 난자를 각각 배양했을 때 GV 및 MI으로의 체외성숙율은 74.3%와 25.7%와 및 28.6%와 11.4%,로써 난구세포 부착 난자가 나화 난자의 비해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 2.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 단계로 구분하여 채취한 난구세포
        4,000원
        67.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 난소의 수송온도가 난자의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과 체외성숙 배양시 성숙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개 난소를 4와 38에 저장 후 5시간 내로 연구실로 운반한 난소에서 채취한 난자를 체외배양 하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체외배양 24시간째 13.2%(15/114), 77.8%(105/135)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48시간째는 0% (0/129), 72.9% (129/177) 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38에 수송한 난소에서 채취한
        4,000원
        70.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의 성별에 따른 거세와 난소 적출이 체성장과 사료 이용성, 혈중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계통 조성중인 35일령의 돼지 48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성장 및 사료 이용성 산육능력에 있어서 암퇘지 난소 적출구의 일당증체량은 898.6 g으로 대조구의 862.7 g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수퇘지 거세구의 일당증체 량은 926.0 g으로 대조구의 945.5 g 보다 약간 낮았으며, 유의차는 없었으나, 수퇘지 대조구는 암퇘지군 보다 일당증체량이 높게 나타났다. 사료요구율은 수퇘지 대조구가 2.51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암퇘지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거세구와의 유의차는 없었으며, 난소 적출구와 대조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 두께는 수퇘지 대조구가 1.65 cm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암퇘지군과 유의차는 없었으며, 각각의 대조구가 시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혈중 호르몬 변화 혈중호르몬 변화에 있어서 IGF-I 농도는 암퇘지군 대조구에서는 5주령의 45.1±0.72ng/m1에서 15주령의 356.3±3.05ng/ml까지 점차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부터 23주령까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수퇘지 군에서도 혈중 IGF-I 농도 변화는 암퇘지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전구간에서 암퇘지 군에 비해 수쾌지 군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거세 및 난소 적출구의 경우에는 각각의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경 향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 암퇘지의 혈중 estradiol-l7β 농도는 5주령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이었으나, 그 이후 11주령의 21.8±1.61pg/ml에서 23주령까지 점차 증가되었다. 또한 대조구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5주령에 비해 11주령 이후부터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난소적출된 암퇘지에 있어서는 estradiol-17β와 progesterone 농도는 거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한편, 수퇘지의 testosterone 농도는 대조구의 5주령에서는 0.28±0.17ng/ml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11주령에서는 4.63±0.78ng/ml로 증가되었으며 그 후 23주령까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에 반해 거세돼지의 경우에는 23주령까지 전혀 검출이 되지 않아 거세돼지의 경우 혈중 testosterone은 거의분비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원시난포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0, 5, 10, 15 및 20일령 마우스에서 분리한 난소를 20, 15, 10, 5 및 0일동안 organ culture 하여 난소의 성장률, 난자의 회수율과 성장률 및 난자의 핵성숙 단계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Organ culture 전과 후의 각 일령에 따른 난소의 면적 차이는 0일령 35.9%, 5일령 8.7%, 10 일
        4,000원
        72.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을 위해 발정이 재귀되지않은 무발정 한우의 번식장애 치료효과와 공태기를 감축하기 위한 난소실질내 PGF/sub 2처치효과를 알아보았다. 1. 번식장애의 감별진단 결과는 검사두수 43두중 둔성발정 또는 발정발견의 잘못이 18두 (41.9%)로 가장 많았고, 난소기능정지 14두 (32.6%), 난포낭종 4두(9.3%), 영구황체 3두 (7.0%), 자궁내막염 2두 (4.7%), 자궁축농증과 황체낭종은 각
        4,000원
        7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varies of 178 Holstein heifers or cows (heifer; 41, 1 parity; 72, 2 parity; 65) on Day 6 or 7 (Day 0=day of estrus) were examined by transrectal ultrasonography. Diameter of corpus luteum (CL) and large follicle ( 10 mm), and luteal tissue area were determined by ultrasound system with a 5 MHB rectal probe. Blood samples were taken to progesterone analysis. After selection of recipients, frozen Holstein embryos were thawed and directly transferred to recipients non-surgically. The diameter of CL and luteal tissue area was greater (P<0.01) on Day 7 than on Day 6 in heifers, 1 parity or 2 parity cows, respectively, although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not different. The presence of fluid-filled luteal cavitied or multiple CL (2 or more) did not affect serum progesterone concentration. A large follicles were observed in 67.4% of heifers or cows and the average diameter was 14.1 mm. Greater luteal tissue area attributed higher pregnancy in heifers, but not in cow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 on pregnancy rate according to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heifers or cows. The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contained a large follicle at embryo transfer was lower than that of recipients not contained. These results show ultrasonic assessment of ovaries in Holstein recipients is a reliable tool to determine the follicle and CL for recipient selec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