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61.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주석화합물인 tributyltin chloride (TBTC), tributyltin oxide (TBTO)와 triphenyltin chloride (TPTC)를 넙치 간장으로 만든 미크로좀에 in vitro적으로 노출시켜서 이들 화합물의 대사에 관여하는 mixed function oxidase (MFO) 중 cytochrome P450 (CYP) 농도와 7-ethoxyresorufin 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4,000원
        6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주석화합물이 넙치의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를 대조구와 TBTO를 첨가한 6개 농도구(0.17, 0.36, 0.60, 3.20, 6.30, 12.50 μg L-1)에서 42일 동안 노출 실험을 하였다. 조직상의 변화 정도는 노출 시간과 TBTO농도의 증가에 따라 심하게 나타났다. 저농도의 TBTO 노출구에서 관찰된 초기 조직학적 변화로는 아가미에서는 점액세포와 염세포의 활성, 새판 모세혈관의 충혈, 상피층
        4,000원
        65.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지역의 환경오염 및 양식용수의 이용과정에 파생될 수 있는 구리의 오염에 따른 넙치의 생존, 대사율, 사료효율 및 성장율에 미치는 구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4개의 아치사구리 농도(50, 80, 180, 320 μg L-1)에서 6주동안 실험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넙치는 대조구에서는 실험종료시 까지 사망개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아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구리 노출농도 180 μg L-
        4,000원
        7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내 넙치양어장에 빈발하여 피해를 입히는 에드와드병의 원인균인 Edwardsiella tarda의 출현 시기와 분포를 알기 위하여, 1997년 6월부터 1998년 5월가지 제주도내 5개 넙치양어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해수(주입수, 사육수, 배출수)와 사육중인 넙치의 장기조직 (간장, 비장, 신장, 장)을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해수인 경우는 DSSS배지에 직접 도말하는 방법과, 증균 배양후 도말하는 방법으로 균수를 계수하였고, 장기 조직은 각 장기를
        4,000원
        73.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식산 업치의 표피 및 근육을 체색이 정상, 반백화 및 백화를 구분하여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검토한 결과, 표피의 지방함량이 근육보다 높았으며, 표피와 근육의 주요지방산은 pamitic acid, oleic acid DHA 및 EPA이었다. 넙치의 표피에 있는 지방의 함량이 근육보다 높았으며, 표피와 근육에 있는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docosahexaenoic acid, 와 eicosapentaenoic acid이었다. 넙치 표피에 들어 있는 지질 중에서, 특히 인지질에 함유된 palmitic acid, 는 정상(25.9%), 반백화(29.2%), 백화(31.0%)순으로 증가했으며, 반대로 EPA는 정상(2.9%), 반백화(2.4%), 백화(2.2%) 순으로 감소했으며, 역시 DHA도 정상(18.6%), 반백화(15.1%). 백화(14.0% )순으로 감소했다 백화 현상이 인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74.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식산 넙치의 백화현상에 따른 아미노산의 비교는 넙치의 정상 표피에는 백화 표피보다 함황 아미노산 의 함량이 2배나 많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티로신은 24배, 메티오닌은 26배, 페닐알라닌은 1.6배나 많은 함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유리아미 노산으로는 포스포세린과 포스포-에탄올아민이 다소 많았다. 백화현상에서 부족된, 멜라닌 색소 형성의 중간대사 기질로써 페놀설 아미노산과 함황 아미노산의 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4,000원
        7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79.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en isothiocyanates (ITCs) present in cruciferous vegetables and radish root hydrolysate were investigated against pathogenic bacteria from olive flounder.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were measured against two gram-positive bacterial strains (Streptococcus parauberis, S. iniae) and four gram-negative bacterial strains (Edwardsiella tarda, Vibrio ichthyoenteri, V. harveyi, Photobacterium damselae) by using a broth microdilution techniqu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ITCs was in the order sulforaphane > sulforaphene > phenylethyl ITC > erucin > benzyl ITC > iberin > I3C > allyl ITC > phenyl ITC > hexyl ITC. The susceptibility of fish pathogens to ITCs was in the order of V. harveyi > E. tarda > P. damselae > S. parauberis > S. iniae > V. ichthyoenteri. Antimicrobial activity (MIC) of radish root hydrolysate was 0.250 mg/mL against S. iniae, 0.438 mg/mL against S. parauberis, and 0.500 mg/mL against both E. tarda and V. harveyi. The aliphatic ITCs were potent inhibitors of the growth of fish pathogens, followed by aromatic ITCs and indolyl ITC. The presence of a double bond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ITCs decreased antibacterial activity, while ITCs with a thiol (-S-) group and a longer carbon chain increased antibacteri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Cs have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fish pathogens.
        8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manufacturing of flatfish skin collagen peptide (FSCP) and flatfish protein hydrolysate (FPH) by reuse of dead flatfish from fish farm in Jeju island, the industrial process was optimized with the laboratory scale research and the on-field process. Segmented unit processes from raw material incoming to shipment were established to produce commercial product of FSCP and FPH. Total plate counts of FSCP were twenty five times of FPH, but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wo samples. FSCP and FPH were safe from heavy metal such as Pb(II), Cd(II) and Hg(II). The residual contents of antibiotics and disinfection matter in FSCP and FPH were not detected. The optimized process for mass production made the one-third of the running time and two times of the yield. From economic analysis, the production cost was estimated to 22,000 and 12,000 won/kg for FSCP and FPH,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oduct from the reuse of dead flatfish was expected to have a considerable competitive price and high added-value functional food material compared with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fish produc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