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stereotypes of control-display relationships for seven principal controls in passenger cars using the paper-pencil and hardware tests, and to examine stereotype strength of the paper-pencil test through comparing the stereotypes for the controls derived by the two methods. Ninety two and 60 college-ag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aper-pencil test and the real car simulation of the hardware test, respectively.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all controls in the paper-pencil test, while in the hardware test, there are dominant motion-directions for six controls including head light, high beam, door window, ignition key, door key and door lock controls. The stereotypes of motion-directions for six controls obtained by the paper-pencil test we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by the hardware test. It was inferred from this that the congruence of the stereotypes by the two methods might be attributed to two simple motion-direction principles of 'clockwise for increase' and 'upward for increase.' Although it is known that the hardware test would be best for obtaining accurate stereotypes between controls and displays, this study implies that if the paper-pencil test is well designed, the paper-pencil test can produce the same results as the hardware test at low cost and without consuming time.
이 연구의 목적은 토마토 재배시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예비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 항목, 등급 및 기준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토마토 재배 및 시설 관련 교수, 연구원, 농업인(현장 사용자) 등으로 구분하여 100명의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으며, 1차부터 3차까지 폐쇄형 질문 방식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확정된 평가 항목은 4개 대분류 영역과 39개 세부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대분류 영역은 시설 구조적 요소, 시설 설비적 요소, 재배적 요소, 생산 기반적 요소이며, 요소별로 각각 9개, 15개, 7개, 8개씩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39개 평가항목별로 가중치를 산정하고, 등급 및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는 새로운 시설 모델 개발, 사용 중인 시설에서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될 사항을 판단하거나 정부 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올바른 식기류세척제 사용법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식기류 세척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도권의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사용 식기류, 세척제 사용실태 및 세척방법을 설문조사하였다. 식생활에서 사용하는 식기류는 자기와 유리 등 위생적 자재의 식기류를 주로 사용하였다. 식기류세척제 선택은 세척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였고, 제 1종 세척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세척제 사용방식은 물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과반을 넘어 제조업체에서 제시한 사용방법을 대체로 준수하고 있었으며, 세척도구는 다목적수세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세척 후 헹굼은 흐르는 물을 사용하는 유수헹굼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헹굼 완료는 미끄럼 제거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였다. 헹굼 후 대상물체의 건조는 대부분 물빠짐대 위에서 자연건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식기류 세척방법을 도출하였다.
목 적: 본 연구는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 교육의 현황과 필요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교 육 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 국내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 재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도는 높지 않으나, 연구윤리 교육에 대 한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윤리 교육을 경험한 응답자들이 교육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 론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으며, 정규 교과목이 나 비공식 특강의 형식을 통하여 필수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Korea enacte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in order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in 1981. Led by ministry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pport services policy has been built through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research institutions and academic research. Korea's accident rate has remained at 0.7% for last 10 years despite continuous efforts over the last 30 years.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pport services polic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have reached their limits. Therefore, the necessity of assessment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pport services policy is propos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through the IPA analysis, is to grasp the point of worker's needs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pport services policy and to help formulate the efficient policy.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address terms in Korean textbooks and questionnaires, which are aimed at married migrant w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mong the eight major Korean address terms, the frequent uses of the kin and kinship address terms are found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married migrant women. Because they are bound by marriage, married migrant women talk more frequently with their husbands, parents-in-law, and relatives than the others. Moreover, due to their recent migration to Korea, they do not only connect with others but also cannot converse well in Korean. The results also illustrate that a few terms of address exist in Korean textbooks. While all address terms in Korean textbooks coincide with standard speech, some address terms revealed in questionnaires are not appropriate for standard speech. “obba” and “name (married migrant women)” are most frequently used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husbands. Further, “ya, eo-i” is more frequently used by parents-in-law and relatives for addressing married migrant women. The address terms such as “obba,” “name,” and “ya, eo-i” are incorrect address terms for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usband and a wife—family. Both parties concerned with Korean textbooks and Korean education must devote considerable space, and time to teaching the address terms so that they can be used efficiently by married migrant women.
한국의 장묘 방법의 대부분은 매장묘지와 납골당묘지로 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토 및 임야의 효율적 이용 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매장묘지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 (산림 청), 지방자치단체 (인천광역시), 종교법인 (은회사)에서는 새로운 장묘 방법인 수목장을 조성하여 운영 하기시작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수목장에 대한 의식비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80% 이상이 기존의 매장묘지 및 납골당묘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은 장묘문화에 대한 제반 문 제점이 산적해 있고, 수목장에 대한 전문가가 없는 상태에서 관리 및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어 국민들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한 기능 발휘를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경 친화적 인 수목장은 새로운 장묘 문화로의 전환이다. 일본의 이와테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知勝院의 경우에 는 수목장 조성이 지역 정주 환경 개선에 영향을 주었고, 살기 좋은 마을 100선에 선정되어 관광객의 증가는 물론 지역경제소득 창출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시를 대상으로 사회 환경 변화와 산림의 다양한 기능 발휘를 통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 주민과 공존할 수 있는 지 역 상황에 적합한 수목장 조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목 적: 본 연구는 한국군에서의 시력관리 전담 보직 및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장병들의 인식과 의견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 법: 안경을 착용하는 94명의 현역 한국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총 9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답변결과를 분석하여, 군의 안경 및 시력 관리 실태, 시력관리 체계의 도입에 대한 장병들의 의견, 장병들이 선호하는 시력관리 방식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 과: 현역장병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이 복무중 안경의 파손을 경험한 바 있으나 이에 대한 군의 관리나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었으며, 장병들은 높은 비율로 안경에 대한 군의 지원과 시력관리 전담 보직의 도입을 희망하였다. 군에 의한 직접 관리보다는 민간에 의한 간접적인 시력관리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장병 복지와 전투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볼 때, 한국군에 안경보급과 전담보직의 설치를 포함하는 시력관리 체계의 도입이 요청된다.
이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야산국립공원의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및 보행시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가야산국립공원의 해인 탐방로와 백운 탐방로를 이용하고 귀가하는 탐방객 227명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탐방로의 탐방객 이용행태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각 탐방로의 양적 및 질적 상태에 대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탐방로에 설치된 5개 및 4개의 보행시설의 평가는 해인 탐방로의 목재데크, 돌채움형 통나무계단, 목재계단과 백운 탐방로의 데크형 목재계단, 통나무흙막이가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탐방편의성 모두 우수한 시설로 평가되었다. 반면에 양 탐방로의 철제계단은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자연친화적인 소재로의 대체 등 개선이 요구되는 시설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향후 국립공원의 보행시설의 설치에 있어 자연친화적인 소재의 활용과 함께 경관조화, 탐방편의, 자원보전 측면의 종합적인 개선을 도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Mould growth can deteriorate indoor air quality in buildings. To alleviate the problems in the built environment,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for mould infestation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mould growth problems in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Bo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nd the behaviour of occupants have been studied as risk factor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randomly on a national basis. A total of 31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uld growth and activity factors was analyzed. As a result, about 30% of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reported mould problems. However, the types of residential building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mould problems.
이 연구는 초등학교 漢字교육 현황과 초등학교 漢字교육에 관한 교사 및 학 부모 의견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밝히고, 그 결과와 지금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적용되고 있는 정책적 여건들을 대조하여 본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漢字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은 재량활동시간의 2시간 중 1 시간이었다. 그런데 2009학년도부터는 5,6학년 재량활동시간에 각각 연간 17시간 이상 보건교육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그나마 있던 1시간의 여유마저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처럼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한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현장에서는 초등학교 漢字교육에 대한 열의가 식지 않 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敎育課程상 漢字교육을 편성하고 있는 학교는 63.1%였고, 어떤 형태로든 漢字敎育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90.2%, 한자관련 시험이나 대회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44.3%였다. 그리고 응답학교의 36.9%가 특별활동시간에 한자 관련 부서를 운영하고 있고, 29.5%가 방과후학교(특기적성 부서)에 한자 관련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을 보면, 교사와 학부모의 90%이상이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한자가 정규 과목이 아니기 때문이 다. 또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 어휘력 신장에 도움이 되 기 때문이라는 점을 뽑고 있고, 한자 어휘 중심으로 지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 다고 생각하고 있다. 지금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한자와 어휘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는데, 이는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앞으로도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한자 어휘 중심으로 지도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방향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지금과 같이 학교 자율 에 따라 실시하는 것을 가장 많이 바라고 있으나, 이는 수업부담, 학생들의 학습량 증가에 대한 부담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이 필요하 지 않은 이유로 가장 많이 응답된 것도 학습량 증가로 인한 부담 가중이다. 따라 서 앞으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정규과 시간 편임 또는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습 량 증가로 인한 부담 가중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탐방로상 도입된 보행시설물에 대한 탐방객 평가를 통해 국립공원 탐방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관련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구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 250명을 대상으로 응답자직접기입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봉 주능선 도봉지구에 설치된 6개의 보행 시설에 양적 질적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재데크 시설, 목재난간 시설, 돌깔기 시설이 기타 시설에 비해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이용편의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결국 국립공원에서의 보행시설물의 도입에 있어 친자연적인 소재의 도입은 필수적이며 자원보호와 탐방편의의 기능과 함께 경관조화라는 시각적 효과의 고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nglish as elective subjects for 11~12 grades in Korean high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urvey including a total of 1,923 participants, consists of 728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984 high school students, and 939 par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nine questions, and which were designed to elicitat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needs on English as the elective subjects in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1) we need the subjects that include 4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2) bind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ogether will meet the need of students and parents who want to choose conversation-only subjects, 3) on the other hand, bind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together will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who want to prepare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basis in the future. 4) Various proficiency in English between students requires various level of the elective subjects in high school Englis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we need 1) the subjects which deals with 4 skill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concept, and 2) ‘listening and speaking’ subjects and ‘reading and writing’ subjects. And the subjects should have various levels between the highest level to the lowest level.
A nation's correction level develop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nation's level. But the correctional principle does not suit our actuality. Since revival, our nation's correctional organization has been falling behind the other administrative organ's result of developmental reorganization. Nowadays, correction business is greatly increasing day by day and a second offense never decreased. Therefore correction administrative business' professional and effectual promotion needs increasingly. But now our nation's correction bureau is existing as a domestic shape of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only is a assistance organ of the minister of justice. As a result, it is appeared that the difficulty of command and control in perfect order, the subordination of prosecutor, and correction civil servant's depressing the morale of the troops and so on. This study till now shows these theoretical problems at various literature but actually there was not smoothly allusion that how is the correction civil servant's thought who is charging with the correction business. Accordingly, I grasped the actual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rrection administrative to correction civil servants who work at correction facility in the whole land's 46 sites and I understood what is necessary for this. As a result for the development of correction administrative, I knew that the modernization of correction facility, the independence of correction office, and the increment of correction facility are immediate. If the development of correction administrative is not, a criminal's social comeback is difficult. So the damage returns again a good general citizens. Consequently, now theoretically or actually the independence of correction service is not optional but indispensable. Any society, from the shady spot where has to advance for the first time we can say being advanced.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들의 휴양경험에 관련된 속성들에 대한 탐방객들의 태도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공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342매를 수집하였으며 이중 부실한 설문지 14매를 폐기하고 328매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탐방객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기존의 국립공원 대상의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다른 산악형 국립공원과는 다른 가족단위 휴식 목적이 강한 국립공원 특성을 보였다. 또한 탐방객의 휴양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원과 시설, 공원관리, 불법행위 관련 속성 중 특히, 공원시설 부분(위생, 편의, 안내시설)에서 불만족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표출되었으며 전반적인 휴양 만족수준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를 위해 탐방로 이용행태 및 이용 관련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탐방로 이용 기초자료의 제공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산 및 치악산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에서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두 국립공원의 탐방로에는 수목 뿌리 노출. 암석 노출, 노폭확대가 주요 훼손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경사지의 시설도입 및 정비와 훼손된 노면의 정비가 가장 필요한 관리 및 정비의 우선순위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입지적 특성과 이용목적에 따라 훼손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탐방로 정비 및 관리 우선순위도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방안 마련에 있어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test in Korea.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survey including a total of 557 participants, among whom were professors teaching at the departments of English education, students majoring English education, English teachers who had taken the selection test, test-takers of the test, and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offices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9 questions which were designed to elici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r belief about the test itsel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st and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 the test-making process, and the first stage of the selectional process.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resent study proposes pos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s regarding the question types of the test, the proportions of each field of the major,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test-developing and grad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