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6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oxidant activity is important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that causes various metabolic disorders. Metabolic disorders are highly related to loss of productivity in livestock. Therefor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oxidant compounds originating from plants is important for organic agriculture. Phenolic compounds in edible plants are regarded as major components relevant to antioxidant activ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profiles of Aronia (Aronia meloncarpa) by fermentation using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 total of 5 strains of L. mesenteroides were used as starter cultures and their β-glucosidase activities were measured. A total of 6 experiment runs were prepared, one for control (uninoculated) and the others (inoculated) for treatments. For biological activity,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phenolic compound profiling, TLC and HPLC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trains of KACC12313 and KACC12315 showed greater enzyme activity than others. Treatment with KCCM35046 showed strong and bro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Listeria monocytogenes. Treatments with KCCM35046 and KACC12315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in KACC12315 treatment. No remarkable alteration was found in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In phenolic compound profiling analysis, KCCM35046 showed notable alteration in compound area ratio compared to others and also showed the highest caffeic acid content. In chlorogenic acid, treatments with KCCM35046 and KACC12315 showed great content than others. Treatment with KACC12315 showed the greatest content of trans-ferulic acid. As a result of relative performance indexing analysis, L. mesenteroides KCCM35046 and KACC12315 were selected as the best strain for the fermentation of Aronia.
        66.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lopecurus aequalis Sobol on the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by RAW 264.7 cell line. Consistent with these observations,DS reduced the LPS-indu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tthe protein leve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release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interleukin-6 (IL-6) were also reduced by DS. Moreover, LPS increased expression phosphorylation of IκBα, but DS showedinhibitory effect by reducing LPS-inducible p-IκBα expression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own regulation of iNOS,COX-2, TNF-α, and IL-6 expression by DS are achieved by the downregulation of NF-κB activity, a transcription factornecessary for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that is also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67.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 rhizome (SCR), hot water (SCRW) and 70% ethanol extract (SCRE) were analyz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SCRW and SCRE were 51.7 and 100.5 mg/g, respectively. The measured flavonoid content of SCRW (61.7 μg/g) was almost double that of SCRE (31.7 μg/g). SCRE (IC50=42.4 μg/mL)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in the DPPH system than the positive control α-tocopherol (71.3 μg/mL) or butylated hydroxy anisole (53.8 μg/mL) did. SCRE (IC50=50.3 μg/mL) also showed strong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did α-tocopherol (67.1 μg/mL). The SOD-lik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CRW and SCRE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The best SOD-lik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ere measured as 24.9% and 20.3% in SCRW at 1,000 μg/mL, respectively. The cytotoxic effects of the SCR extracts were analyzed via MTT assay on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SCRW and SCRE did not show cytotoxicity up to the concentration of 1,000 μg/mL against the normal human cell line HEK293. Against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SCRW inhibited MCF-7 growth (by 27.6%) better than the anticancer drug cyclophosphamide (15.5%) at 1,000 μg/mL. SCRE (1,000 μg/mL) inhibited the growth of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37.6%) and human stomach cancer cells AGS (53.6%) more effective than did SCRW (21.0% and 35.4%) or CPA (22.2% and 31.7%).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use of SCRE and SCRW as an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substance, respectively.
        7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지유 추출물의 농도는 0.33 mg/mL으로 α-tocopherol의 IC50(0.40 mg/mL)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α-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catechin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ascorbic acid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α-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의 절단을 억제시켰다. 지유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0 및 3.33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지유 추출물 0.01,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BHP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3.8, 79.1 및 96.9%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지유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73.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NADPH oxidase 4 (NOX4)-mediat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proposed to accelerate adipogenesis of 3T3-L1 cell.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downregulation of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gene expressio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NOX4, G6P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antioxidant enzym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3T3-L1 adipocy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Cheonnyuncho extracts markedly inhibits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Cheonnyuncho extract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the pro-oxidant enzyme such as NOX4 and theNADPH-producing G6PDH enzyme. In addition, treatment with Cheonnyuncho extract was found to upregulate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 Cu/Zn-SOD (copper/zinc-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 reductase (GR), and catalase, all of which are important for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These data suggest that Cheonnyuncho extrac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ise of oxidative stres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mechanism(s) that involves direct down regulation of NOX4 and G6PDH gene expression or via upregul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74.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용 중인 과일 및 채소로부터 췌장베타세포 보호활성을 가지는 추출물의 식물 자원을 탐색해보고자 수행되었다. Alloxan에 대한 총 13종의 과일・채소 추출물에 대한 효과를 햄스터췌장베타세포주(HIT-T15)를 배양한 후 세포생존율, LDH 방출량, NAD+/NADH ratio, 인슐린 분비량 및 4종의 항산화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13종의 과일・채소 추출물은 alloxan에 의해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마늘종(Allium sativum) 등의 11종의 시료는 alloxan에 의해 증가된 LDH 방출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산수유(Cornus officinalis) 등의 9종의 시료는 alloxan에 의해 감소된 NAD+/NADH ratio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3종의 추출물인 마늘종(Allium sativum), 산수유(Cornus officinalis)와 고들빼기(Yongjia sonchifolia) 추출물은 인슐린 분비능을 보호하였고 깻잎 등 5종의 시료는 SOD, GST, GR 및 GPx와 같은 항산화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과일・채소 추출물은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 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마늘종(Allium sativum), 산수유(Cornus officinalis), 자두(Prunus salicina),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및 고들빼기(Yongjia sonchifolia)와 같은 5종의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췌장베타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75.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진피의 에탄올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예비실험 결과에 따라 요인변수들 중 시료대 용매비를 20 mL/g로 고정하여 반응표면을 나타내었다.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 및 총 폴리페놀함량의 최대값은 예측된 정상점에서 능선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36.31%와 13.86 mg/mL이었다. 추출조건별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3.19~6.67 mg/mL의 범위였으며,
        7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from unripened and ripened fruit (Rubus coreanus Miq.). 25% to 75% ethanol extracts of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similar to extract yield respectively. Yield of ethanol extract of ripened fruit wer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than that of unripened frui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80.04±0.41 mg/g) and total flavonoid (50.43±0.81 mg/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unripened fruit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ripened fruit. IC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BHA and α-tocopherol showed 13.19±0.21 and 18.16±0.23μg/ml, 4.25±0.04μg/ml and 5.56±0.10μg/ml respectively, bu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23.85±0.10μg/ml and 7.34±0.07μg/ml among other all extracts. IC50 values of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1.04±0.04μg/ml and 7.21±0.13μg/m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thanol extracts, it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77.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꾸지뽕잎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독성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DNJ 함량과 rutin 함량을 측정하였다. Cell viability test에서 꾸지뽕잎 추출물 0.5-5 mg/mL의 농도일 때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세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동일한 농도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축적
        78.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외의 비식용부위인 씨, 꼭지, 줄기 잎 부위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DPPH, ABTS, FRAP, SOD 등 다양한 항산화 실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외 비식용부위의 항산화 활성은 참외 꼭지부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페놀 성분 또한 꼭지 생체 100 g당 143.4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참외의 비식용부위 중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외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다양한 생리활성 및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79.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ndranthema속의 산국, 감국 및 울릉국화의 꽃과 잎줄기(Shoot)를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추출하여 페놀성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물질 함량은 울릉국화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울릉국화 꽃에서 함량이 높았다.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또한 울릉국화 꽃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울릉국화의 잎줄기에서도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산국 꽃에서 가장 높았으며, 울릉국화 꽃에서 가장 낮았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울릉국화 잎줄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반응 32일 이후에도 41.01%의 높은 억제활성을 보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보다 지질산패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연구의 결과, 울릉국화 꽃 및 잎줄기는 항산화물질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항산화소재로 적합하였다. 또한 동일한 식물도 부위에 따라 항산화효과가 다른 것을 확인 하였으며, 항산화효과의 종류에 따라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식물종이 각기 다르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식물종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80.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치커리의 종근으로 치콘을 재배하여 엽색이 노란색과 붉은색인 다섯 가지 종류의 치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효과 및 혈당강하효과와 단백분해능을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시료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엽색이 노란색인 네 종류 (Kibora, Metafora, Vintor, Halifax)의 치콘보다 엽색이 붉은색인 Redoria종이 1 mg/mL의 농도에서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