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2

        61.
        2020.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previous studies, we found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against cross-reactive bovine serum albumin (BSA) in D-galactose (D-gal) induced aging mouse models. We performed immunoblot analysis with mouse tissue lysate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overall autoantibody production in this animal model. And we were able to see the possibility of altering the activity of mouse natural antibodies in this process. In this study, we examined changes in existing natural antibodies in a D-gal-induced aging mouse model.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week-old mice (3w), 13-week-old mice (13w), and 13-week-old mice that were treated with D-gal for 6 weeks (13wDG), beginning at the age of 8 weeks. Levels of immunoglobulins (IgM, IgG, and IgA)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in serum samples.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from skin, spleen, and ovary for Western blotting analyses. Natural antibody activity was exa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alyses of anti- double-stranded DNA (dsDNA) antibody. Western blotting analyses using mouse tissue lysates showed that several protein bands detected by serum antibodies from 3w mice became increasingly thicker when detection was performed with serum samples from 13w and 13wDG mice, indicating quantitative increases in levels of natural antibodies. Relative amounts of total IgG, IgM, and IgA immunoglobulins sequentially increased in serum samples from 3w, 13w, and 13wDG mice.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regarding the levels of IgM and IgG antibodies against dsDNA. These results indicate increased levels of natural antibodies in the D-gal-induced aging mouse model. Therefore, this animal model could be useful for future natural antibody research.
        4,000원
        6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monell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cterial pathogens responsible for many zoonotic food-related infectious diseases. Quantitative detection of the foodborne Salmonella contamination in various food sources is therefore critical for preventing the related disease outbreak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 reliabl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to detect the Salmonella contamination quantita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invA gene-specific quantitative RT-PCR (qRT-PCR) assay provide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q values and the direct plate counts of Salmonella species in the artificially formulated samples. Further study may be necessary to identify more accurate correlation and equation that can apply to Salmonella spp.
        3,000원
        6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V. vulnificus와 V. cholerae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우렁쉥이에 대한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위험성 확인 단계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위험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노출평가 단계에서는 초기오염도를 산출 하기 위하여 네 권역에서 우렁쉥이의 병원성 비브리오균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형할인마트, 시장 및 횟집 에서 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유통 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시료의 품온 및 진열대 온도를 직접 측정하여 유통 온도를 수집하였다. 예측모델 개발을 위하여 병원성 비브리오 균을 혼합하여 우렁쉥이에 접종 후 다양한 온도(7oC, 10oC, 15oC, 20oC)에 저장하면서 시간대별로 꺼내어 세균 의 생장 및 사멸을 확인하였다. 섭취자 비율 및 섭취량은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용량-반응모델 선정을 위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오염실태 조사 결과 V. vulnific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V. cholerae는 101개의 시료 중 1개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다. 유통환경조사 결과 우렁쉥이는 최소 1시간, 최대 48시간까지 진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0-10oC 로 유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측모델 개발 결과 모든 온도(7oC, 10oC, 15oC, 20oC)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점차 사멸하는 경향을 띄었으며 개발된 모델의 적합성 검증 결과 RMSE값이 0에 가까워 개발된 모델이 우렁쉥이에서 병원성 비브리오 균의 균주 변화를 묘사하기에 적합하다 고 판단되었다. 섭취자 비율 및 섭취량은 0.26% 및 65.13 g 으로 나타났으며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모델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RISK Fitting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해도를 추정한 결과, 우렁쉥이를 섭취하였을 경우 1일 1인에게서의 V. vulnificus로 인한 식중독 발생 확률은 평균 2.66×10-15, V. cholerae로 인한 식중독 발생 확률은 평균 1.02×10-12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민감도 분석결과 섭취자 비율이 위해도에 가장 큰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당 연구결과는 국내 우렁쉥이 유통 과정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대한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하는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위해 평가 결과는 국내 수산물에서 V. vulnificus와 V. cholerae 에 대한 기준·규격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청광 차단렌즈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고, 이를 시판하고 있는 기능성 렌즈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렌즈의 광투과율을 측정하고, 청광 차단 효율 함수를 적용하여 효율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을 하였다. 또한 청광 차단 효율 결과를 적분하여 수치화하는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새롭게 도입하여, 시판중인 청색광차단 기능성 렌즈에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정성적인 분석 방법을 일반렌즈, 코팅방법으로 제작된 2종의 렌즈와 착색방법으로 제작된 1종의 렌즈에 적용한 결과, 모든 렌즈는 단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정량적인 분석 방법에 의한 결과에서는 각 렌즈별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다양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의 광 특성이 날로 진화되고 변화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광원과 광학제품에 대한 광특성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입한 정량적인 분석 방법이 효과적인 수단일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4,000원
        6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orts an uncertainty analysis of quantitative visualization methodology for slug bubble dynamics in downward-facing nucleate boiling condition. Measurement of dynamics of slug bubble, i.e. departing speed, frequency, and diameter,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safety margin of thermal systems in moving vehicle. By employing high speed visualization and post-processing, we quantitatively measured the volume and location of slug bubble, so that vapor generation rate and departing speed data were derived from their time differentiation. As a visualization methodology, its reliability was evaluated via uncertainty analysis. For 95% confidence interval, uncertainty of vapor generation rate and departing speed were 3% and 2%, respectively, and which were one order lower than standard deviation of those data.
        4,000원
        67.
        201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ptoniphilus mikwangii -specific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primers based on the 16S ribosomal RNA (16S rDNA) gene. The specificity of the primers w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PCR using 29 strains of 27 oral bacterial species including P. mikwangii. The sensitivity of the primers was determined by qPCR using the purified genomic DNA of P. mikwangii KCOM 1628T (40 ng to 4 fg). The data showed that the qPCR primers (RTB134-F4/RTB134-R4) could detect P. mikwangii strains exclusively and as little as 40 fg of the genomic DNA of P. mikwangii KCOM 1628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qPCR primer pair can be useful for detecting P. mikwangii in epidemiological studies of oral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4,000원
        6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 및 기타 소형 미생물을 섭식하고, 고차 생물군집에 포식되어 일차생산과 상위 영양단계를 연결하는 중추적인 연결고리 역할자로 수생태계 내 물질 및 에너지 순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동물플랑크톤은 분류군에 따라 상이한 크기와 유영능력, 그에 따른 다양한 서식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다소 복잡한 채집 및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정확한 동물플랑크톤 정량화를 위해서는 종특이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장소를 선정하 고 적합한 도구 (채수기, 플랑크톤 네트 등)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집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동정 및 계수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정법과 부차시료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동물플랑크톤 정량채집방법 및 시료처리방법의 장·단점을 소개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을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600원
        6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es composition and yearly variation of fish eggs and larval fishes were investigated from 2014 to 2016.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14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eggs were Leiognathus nuchalis, Engraulis japonicu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97.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collected larval fishes were identified into 37 taxa, 22 families, and seven orders. The dominant species of larval fish were Leiognathus nuchalis, and Gobiidae fishe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85.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diversity index of the larval fishes was the highest in 2014 (H’ = 1.60) and the lowest in 2015 (H’ = 1.15).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2016 (J = 0.51) and the lowest in 2015 (J = 0.39).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2015 (D = 83.5%) and the lowest in 2016 (D = 70.9%). In addition,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were Engraulis japonicus, Konosirus punctatus, Hippocampus coronatus, Sebastes schlegelii, Acanthopagrus schlegeli, and Cynoglossus joyneri.
        4,000원
        7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요가의 양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그 질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8년 2월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PRISMA 단계를 거쳐 45편의 연구문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6년과 2010년 사이에 요가 관련 양적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에서 요가를 주제로 이루어진 양적 연구에서 사용한 주된 요가수행법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요가라는 행위 자체를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요가’라는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특정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요가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에 있어서 심리적 효과만을 측정한 연구와 신체적 효과만을 측정한 연구, 그리고 신체적 효과와 심리적 효과를 함께 측정한 연구의 편수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연구대상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미만의 아동부터 70대 노령기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인원에 있어서는 20명 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실시 기간은 12주 이상 24주 미만 동안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요가 양적 연구 고찰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8,000원
        7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quantitative analyses of food web structure based on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are widely applied to environmental assessments as well as ecological researches of various ecosystems, particularly rivers and streams.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of POM (both planktonic and attached forms), zooplank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collected from 6 sites located at Nakdong Riv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pstream areas of 5 weirs (Sangju, Gangjeong- Goryeong, Dalseong, Hapcheon-Changnyeong, and Changnyeong-Haman Weirs) and one downstream area of Hapcheon-Changnyeong Weir in dry season (June) and after rainy season (September). We suggested ranges of their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and calculated their trophic levels in the food web to compare thei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Trophic levels of organisms were relatively higher in Sangju Weir located at upper part of Nakdong River, and decreased thereafter. However, the trophic levels were recovered at the Changnyeong-Haman Weir, the lowest weir in the river. The trophic level calculated by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showed more reliable ranges when they were calculated based on zooplankton than POM used as baseline. The suggested quantitative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majority of biological communities in Nakdong River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esponse of river food web to environmental disturbance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urther researches regarding the quantitative approaches for the understanding food web structure and function of river ecosystems as well as restoration.
        4,800원
        7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new odor analysis technology that combines the separation technology of GC and the measurement of MOS sensors. The detector of the GC system is replaced with the MOS sensor to analyze various odor compounds. Carrier gas also used air in the normal atmosphere through a micro pum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velop a portable odor analysis device since no additional cylinder is needed. Retention times for H2S, C7H8, and C2H4O analyzed by the combined GC/MOS system were identified as 1.28 minutes, 3.88 minutes and 1.77 minutes, respectively. Measurement reproducibility of odorous RT was very good at less than 1.2 %RSD. Also, the magnitude of the peak 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each odor showed a linear proportional relationship. Thus, a new method could be proposed to analyze various odorous substances with the combined GC/MOS system.
        4,000원
        7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cern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is increasing globally. Especially,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fisheries is an important issue from the Paris Climate Change Accord in 2015. Furtherm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a plan to reduce the GHG emissions as 4.8% compared to the BAU in fisheries until 2020. However, the investigation on the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ies rarely carried out consistently. Therefor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y industry is necessary as a first step to find a relevant way to reduce GHG emissions from fisher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ich degree of GHG emitted from the major offshore fisheries such as offshore gillnet fishery,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jigging fishery and anchovy drag net fishery. Here, we calculated the GHG emissions from the fisheries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The system boundary and input parameters for each process level are defined for the LCA analysis. The fuel use coefficients of the fisheries are also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uel type. The GHG emissions from sea activities by the fisheries will be dealt with. Furthermore, the GHG emissions for the unit weight of fishes are calculated with consideration to the different consuming areas as well.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ies
        4,300원
        7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olinguist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language proficiency affect speech rhythm by examining the spoken data of 40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sodic rhythm, which has been perceived to differentiate various regional varieties of English from General American English, is applied to L2 speech. By using the Normalized Vocalic Pairwise Variability Index (nPVI-V; Low, Grabe & Nolan 2000), L2 speech rhythm is quantified and results indicate that nPVI-V scores are higher for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indicating more stress-timed speech) than for non-advanced speakers. The effect of gender on rhythm metrics is also tested. Results show that L2 male speakers are more likely to be syllable-timed, whereas L2 female speakers more stress-timed. This may reflect an aspect of gender paradox: women are more apt to adopt the new language than men. Overal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isclose how sociolinguist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language proficiency interact with rhythm metrics in L2 speech.
        5,700원
        7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더덕은 폴리페놀, 알칼로이드, 아미노산 및 기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tangshenosideⅠ과 lobetyolin의 함량은 더덕의 주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UPLC를 이용하여 주요 성분 tangshenosideⅠ과 lobetyolin을 동시 분석하였다. 최적 추출조건으로는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온도 60℃, 1시간 추출하였고, UPLC를 이용한 빠르고 간편한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특이성 등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지역별로 더덕을 추출하여 UPLC로 주요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tangshenosideⅠ과 lobetyolin의 함량은 0.36~3.54 mg/g, 0.24~1.29 mg/g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생육환경에 따라 함량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역별 품질 관리를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국내에서 재배되는 더덕의 품질 평가에 대한 하나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무요구가 유형에 따라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중국은행산업의 사무 관리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직무요구를 크게 방해적 스트레서와 도전적 스트레서로 구분하고 각각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를 사용하였다.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 과부하가 수면을 통해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통제하고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의 직접효과를 실증하였다. 수면은 수면시간과 수면질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표면연기-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와 표면연기-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표면연기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유의한 부(-)의 직접효과를 보여주었다.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만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양적 역할과부하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정(+)의 직접효과를 보였으나, 이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7,000원
        78.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various physical cleaning methods such as physical washing and osmotic backwash,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membrane fouling characteristics by employing real secondary wastewater effluent (SWWE). In addition, microfiltration (MF) and ultrafiltration (UF) pretreatments were compared to maximiz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to control membrane fouling efficiently. Organic foulants deposited on the active layer of FO membrane were observed by fouling behavior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s of natural organic matter and membrane fouling was also investigated from the bench-scale FO tests. Finally, by quantitativ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foulants and fouling reversibility with the modified fouling index (MFI), we identified the applicability of MFI in predicting FO intake water fouling potential.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