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0

        6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바이든 시대 미국의 대북인권정책을 인권외교 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국 대북인권외교의 정책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바이든 정부는 출범 이후 가치 규범을 중시하는 동맹외교를 강 화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인권외교 정책은 북한과 남북관계에도 영향 을 미친다. 특히 한국 정부의 대북인권정책의 균형 있는 접근을 위해서 는 바이든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인권외교와 인도주의 외교의 기조를 이 해하고 전망한다. 첫째, 미국 대북인권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인권외교의 개념을 분석틀로 제시할 것이다. 둘째, 미국의 대외정책과 인권외교를 살 펴볼 것이다. 특히 냉전과 탈냉전 시대의 미국 인권외교정책 변화를 살 펴본 후, 바이든 행정부의 인권외교를 오바마와 트럼프 정부 시기와 비 교하여 설명할 것이다. 셋째, 미국의 대북인권외교를 양자와 다자적 관점 에서 클린턴 시기부터 바이든 시기까지 분석한다. 넷째, 포스트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인권외교와 북한의 대응 방향을 살펴보고, 한국 정부의 정 책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본론을 요약하고, 미래연구를 제안한다.
        8,900원
        6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zooplankt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zooplankton abundance in Gomso Bay, major harvesting area of Manila clam (Venerupis philippinarum) in South Korea, zooplankton sampling was conducted four times in autumn (October 2022), winter (January 2023), early spring (March 2023), and spring (May 2023).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Gomso Bay, water temperatur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Chl-a), dissolved oxygen (DO), and pH observed different patterns, while salinity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urvey periods. The zooplankton in Gomso Bay occurred 33, 29, 27, and 29 taxonomic groups during each respective survey period. In October 2022 and May 2023, arthropod plankton were dominated, while in January and March 2023, protozoa were primarily dominant. Among the Arthropods, copepods including Acartia hongi, Paracalanus parvus s. l., Corycaeus spp., and Oithona spp. commonly found along Korean coastal areas of the Yellow Sea, were dominated. Cluster analysis based on zooplankton abundance indicated a single community (stable condition) in each season, attributed to low dissimilarity distances, while three distinct clusters (autumn, winter-early spring, spring) between seasons indicated a highly seasonal environment in Gomso Bay.
        4,800원
        6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biogeochemistry management (BGC-MAN) model was applied to North and South Korea pine and oak forest stands to evaluate the Net Primary Productivity (NPP), an indicator of forest ecosystem productivity. F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historical records and East Asian climate scenario data of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s) were used. For vegetation information, pine (Pinus densiflora) and oak (Quercus spp.) forest stands were selected at the Gwangneung and Seolmacheon in South Korea and Sariwon, Sohung, Haeju, Jongju, and Wonsan, which are known to have tree nurseries in North Korea. Among the biophysical information, we used the elevation model for topographic data such as longitude, altitude, and slope direction, and the global soil database for soil data. For management factors, we considered the destruction of forests in North and South Korea due to the Korean War in 1950 and the subsequent reforestation process. The overall mean value of simulated NPP from 1991 to 2100 was 5.17 Mg C ha-1, with a range of 3.30-8.19 Mg C ha-1. In addition, increased variability in climate scenarios resulted in variations in forest productivity, with a notable decline in the growth of pine forests. The applicability of the BGC-MAN model to the Korean Peninsula was examined at a time when the ecosystem process-based models we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data o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disturbances on forest ecosystems that was analyzed was limited; therefore, future modeling methods should be improved to simulate more precise ecosystem change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processbased models.
        4,500원
        6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과 교외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수목의 해충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전남 및 전북 내 총 6개소(전북 익산 2개소, 김제 1개소, 광주 3개소)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6개소는 조사지역(공원)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산림인접지역, 수변지 역, 도심지역 세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 지역에 따라 확인되는 해충의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6개소의 조사지역에서 총 5 목 27과 49속 51종의 해충 분류군이 총 13과 21종의 주요 가로수종으로부터 확인되었다. 해충 분류군 중에서 노린재목이 12과 20속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가로수 수종에서는 왕벚나무가 25종의 가장 다양한 해충의 피해를 입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 특성별 비 교를 하였을 때, 수변지역 공원에 식재 또는 자생하는 수종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산림인접지역과 도심지역 공원에 비해서 가장 많은 해충 종 수 를 확인하였다. 해충이 가해하는 부위로는 잎을 가해하는 해충이 총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본 조사를 통해 확보한 각 가로수 수종에 발생하는 해 충의 분류군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 중에서 피해가 심한 6종을 선정하였다.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지역에서의 다양한 가로수 분포 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목 해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해충 발생 양상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4,600원
        6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 is not only an essential element for life but also a key player in climate change. The radiocarbon (14C) analysis using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AMS) is a powerful tool not only to understand the carbon cycle but also to track pollutants derived from fossil carbon, which have a distinct radiocarbon isotope ratio (Δ14C). Many studies have reported Δ14C of carbon compounds in streams, rivers, rain, snow, throughfall,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s in South Korea, which are reviewed in this manuscript. In summary, (1) stream and river carbon in South Korea are largely derived from the chemical weathering of soils and rocks, and organic compounds in plants and soils, strongly influenced by precipitation, wastewater treatment effluents, agricultural land use, soil water, and groundwater. (2) Unprecedentedly high Δ14C of precipitation during winter has been reported, which can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stream and river carbon. Although w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local contamination sources of high Δ14C, the results suggest that stream dissolved organic carbon could be older than previously thought, warranting future studies. (3) The 14C analysis has also been applied to quantify the sources of forest throughfall and PM2.5, providing new insights. The 14C data on a variety of ecosystems will be valuable not only to track the pollutants derived from fossil carbon but also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provide solutions.
        5,800원
        6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stimate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different forages. Alfalfa, timothy, tall fescue, Italian ryegrass, and rice straw as the main forage sources for Hanwoo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Crude protein was highest in alfalfa but lowest in rice straw (p<0.05). Ether extract was higher in alfalfa and Italian ryegrass than in the other forages (p<0.05). Crude ash was highest in rice straw but lowest in tall fescue (p<0.05). Neutral detergent fiber was highest in tall fescue but lowest in alfalfa (p<0.05). Acid detergent fiber was highest in Italian ryegrass and rice straw but lowest in alfalfa (p<0.05).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D)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D) were highest in timothy but lowest in rice straw (p<0.05). Rumen pH was highest (p<0.05) in alfalfa, while ammonia-N was higher (p<0.05) in alfalfa and Italian ryegrass than in the other forages. Total volatile fatty acid was highest (p<0.05) in timothy, while acetate and propionate were highest (p<0.05) in alfalfa and rice straw, respectively. Acetate to propionate ratio was higher (p<0.05) in alfalfa, timothy, and Italian ryegrass than in rice straw. Rice straw had lowest total gas (mL) (p<0.05) but highest its per DMD and NDFD. Rice straw had higher (p<0.05) CO2 (per DMD and NDFD) compared to alfalfa (per DMD and NDFD), timothy (per DMD and NDFD), tall fescue (per NDFD), and Italian ryegrass (per DMD). Again, rice straw had higher (p<0.05) CH4 (per DMD and NDFD) compared to timothy (per DMD and NDFD) and tall fescue (per NDFD).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timothy has a higher nutrient digestibility and volatile fatty acid in the rumen leading to a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4,000원
        6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년부터 2022년도까지 6개목(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나비목, 벌목, 파리목, 총채벌레목) 곤충들에 대해서 식물검역현장 검출실적과 국내 보고된 미기록종을 분석하였다. 해당기간 동안 국경검역에서 6개목 곤충은 총 45,084건이 검출되었다. 같은 기간 국내에서는 총 545종이 미기록종 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중 9종은 국경검역에서도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역현장에서는 딱정벌레목, 총채벌레목, 노린재목이 높은 검출률을 보 였으며, 국내 미기록종 중에서는 벌목이 176종으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침입압력(국경검역 검출)과 실제 침입(국내 미기록종 발 견) 사이에 비동시성이 확인되었다. 향후 보다 장기적인 분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식물검역시스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주민 편의를 증진하고, 도시와 농촌 지역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 스프롤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밀도 기반의 도시 스프롤 측정 지수를 적용하여 2000년, 2010년, 2020년 도농복합시의 도시 스프롤을 인구밀도 및 고용밀도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도농복합시의 인구 스프롤은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고용 스프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도시 규모별 도농복합시의 도시 스프롤은 차별화되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4,500원
        69.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of 48 shrimp products sold in the Korean online markets.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tandard DNA barcoding method, using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The obtained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deposited in the NCBI GenBank and BOLD Systems databases. Additionally,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further verify the identified shrimp species. Consequently, 16 shrimp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Penaeus vannamei, Pandalus borealis, Palaemon gravieri, Leptochela gracilis, Penaeus monodon, Pleoticus muelleri, Metapenaeopsis dalei, Euphausia pacifica, Lebbeus groenlandicus, Trachypenaeus curvirostris, Argis lar, Metanephrops thomsoni, Metapenaeopsis barbata, Alpheus japonicus, Penaeus chinensis, and Mierspenaeopsis hardwickii. The most prevalent species was Penaeus vannamei, found in 45.8% of the analyzed products. A significant mislabeling rate of 72.9% was found; however, upon excluding generic names such as shrimp, the mislabeling rate reduced to 10.4%. The mislabeling rate was higher in highly-processed products (89.3%) compared with that in minimally-processed products (50%).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untry of origin and mislabeling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rucial data for future monitoring of shrimp products and improving the labeling of shrimp species in Korea.
        4,300원
        70.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럽연합(EU)의 환경문제와 섬유패션산업 현황을 바탕으로 스페인의 탄소배출 절감 노력과 인디텍스 그룹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특 히 인디텍스 그룹의 사례를 통해 섬유패션산업의 탄소배출 절감 전략의 효과성을 검토하며, 섬유패션산업이 어떻게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전환 될 수 있는지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석유산업에 이어 두 번 째로 큰 환경 파괴원인으로 지목되는 패스트 패션의 탄소배출 문제를 조 명한다. 연간 전 세계에서 섬유패션산업은 탄소 배출량의 약 10%를 차 지하며, 이 수치는 모든 국제선 및 해상 운송의 배출량을 합친 것보다도 더 크다. 특히 패스트 패션의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 은 그 크기가 막대하여 지속가능성에 큰 위협을 미치고 있다. 즉, 패스트 패션의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며, 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6,600원
        71.
        2023.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에서 여가의 본질과 변화를 분석하여 세대의 다양성과 사회성에 대한 이해를 높 이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일반적으로 .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를 구분하는 이분 법적 시각이 아닌 베이비붐 세대, X세대, 밀레니얼 세대(M세대), Z세대의 4가지 관점을 가지고 여가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여가 활동은 경제, 기술, 정치적 맥락 등의 영 향을 받고 있으며 시대별로 사회적 현상이 다른 환경에 따라 인식과 접근 방법이 변화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인 여가의 개념은 다소 복잡하고 여러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연구결과를 지나치게 일반화 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이 연구결과를 통해 여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분석하고 이해를 높인다면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이해하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언을 하였다.
        4,300원
        73.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is a high-priority issue in South Korea, and addressing it is crucial for the country’s long-term energy sustainability. The KORAD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is leading a comprehensive, long-term project to develop a safe and effective deep geological repository for spent nuclear fuel disposal. Within this framework, we have three primary objectives in this work. First,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to assess the inventory of spent nuclear fuel in South Korea as of 2021. We also projected future generation rates of spent nuclear fuels to identify what we refer to as reference spent nuclear fuels. These reference spent nuclear fuels will be used as the design basis spent fuel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repository. Specifically, we identified four types of design basis reference spent nuclear fuels: high and low burnup from PLUS7 (with a 16×16 array) and ACE7 (with a 17×17 array) assemblies. Second, we analyzed radioactive nuclides’ inventory, activities, and decay heats, extending up to a million years after reactor discharge for these reference spent nuclear fuels. Thi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CALE/TRITON to generate the burnup libraries and SCALE/ORIGEN for source term evaluation. Third, to assess the safety resulted from potential radioactive nuclides’ release from the disposal canister in future work, we selected safety-related radionuclides based on the ALI (Annual Limit of Intake) specified in Annex 3 of the 2019-10 notification by the NSSC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Conservative assumptions were made regarding annual water intake by humans, canister design lifetime, and aquifer flow rates. A safety margin of 10-3 of the ALI was applied. We selected 56 radionuclides that exceed the intake limits and have half-lives longer than one year as the safety-related radionuclides. However, it is crucial to note that our selection criteria focused on ALI and half-lives. It did not include other essential factors such as solubility limits, distribution coefficients, and leakage processes. So, some of these nuclides can be removed in a specific analysis area depending on their properties.
        7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래들어 미중 간의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미국은 중국의 첨 단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저지하기 위한 다양한 경제적, 기술적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GVC, 가치사슬) 의 변동성 증대와 더불어, 미국 주도로 주요 반도체 생산국가들인 한국, 대만, 일본을 포함한 칩포(Chip-4) 동맹을 결성하기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미중 간의 첨단기술 경쟁은 우리나라의 산업전반 특 히, 중국에 생산기지를 가지고 중국의 수요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우리 나라 반도체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미중 간 반도체산업 분야의 기술경쟁 실태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 리의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현재 미중 간에 벌어지 고 있는 기술패권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은 각기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러한 미중 간 기술경쟁이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적절한 대 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7,800원
        75.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과 해외주둔군 전략, 확장억제전 략의 변화를 분석하고,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에 대비한 주한미군과 핵우 산 정책을 고찰한다. 한미동맹이 체결된 1953년 이후, 미국은 한반도 안 보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비대칭 동맹으로 인한 동맹 딜레마와 미군 의 역할 및 규모 변화가 발생했다. 핵우산 정책은 냉전기 소련의 핵전술 에 대항하여 확장되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워싱턴 선 언을 통해 한미 핵협의그룹(NCG)이 창설되었다. 이를 통해 상시적인 확 장억제가 논의되고 있으며, 굳건한 한미 동맹체제와 안보공약이 SCM을 통해 재확인되었다. 이제는 냉전 시기의 미군 주둔과 자동개입 문제는 중국의 G2국가 발전,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 등으로 시대적 변수가 달 라져 있다. 따라서 미국의 주한미군 정책, 개입 문제, 확장억제전략에 대 한 신중한 검토와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주 한미군, 확장억제전략에 대해 고찰하고 한반도 안보에 대한 전망을 목적 으로 한다.
        8,900원
        76.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assess and determine the optimal model for predicting the full bloom date of ‘Fuji’ apples across South Korea.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four distinct models: the Development Rate Model (DVR)1, DVR2, the Chill Days (CD) model, and a sequentially integrated approach that combined the Dynamic model (DM) and the Growing Degree Hours (GDH) model. The full bloom dates and air temperatures were collected over a three-year period from six orchards located in the major apple production regions of South Korea: Pocheon, Hwaseong, Geochang, Cheongsong, Gunwi, and Chungju. Among these models, the one that combined DM for calculating chilling accumulation and the GDH model for estimating heat accumulation in sequence demonstrated the most accurate predictive performance, in contrast to the CD model that exhibited the lowest predictive precision. Furthermore, the DVR1 model exhibited an underestimation error at orchard located in Hwaseong. It projected a faster progression of the full bloom dates than the actual observations. This area is characterized by minimal diurnal temperature ranges, wher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s high and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Therefore, to achieve a comprehensive prediction of the blooming date of ‘Fuji’ apples across South Korea, it is recommended to integrate a DM model for calculating the necessary chilling accumulation to break dormancy with a GDH model for estimating the requisite heat accumulation for flowering after dormancy release. This results in a combined DM+GDH model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approach. However, further data collection and evaluation from different regions are needed to further refine its accuracy and applicability.
        4,300원
        7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필자는 교차편년으로 설정된 기존의 남한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연대와 출현 과정에 오류가 있음 을 발견하였다. 이에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해 기존의 견해와 다른 새로운 연대 안과 출현과정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학계에 뚜렷한 견해가 없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성격에 대하여도 새로 운 시각으로 접근하여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한 원형점토대토기는 BC 12세기 무렵, 비파형동검과 동시에 출현하였으며, 이후 후기 청동기시 대 송국리문화, 역삼동후기문화, 검단리문화 등과 기원전 2세기 무렵까지 장기간에 걸쳐 공존하였다. 남한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은 요동지역‘정치집단’의 이주민이 아니라 청동기시대 조기부터 형성 되어 있던‘요동-서북한-남한’의 네트워크를 통해 남한에 들어온‘청동장인집단’이다. 이들이 남겨 놓은 유적 중‘수석리유적’,‘교성리유적’등은 당시 청동의 원광석을 채광·선광했던 장소로 추정 되며,‘동학산유적’,‘방동리유적’등은 청동을 제련·주조 했던 장소로 추정된다. 이‘청동장인집단’은 재지 사회의 지배층에게 비파형동검 등의 청동기를 제작·공급해서 생계를 유지하던 기술장인들이었으나 점차 정치력을 갖게 되면서 세형동검단계에 이르러서는 당시 사회의 지 배층인‘제사장’이되고, 결국 삼한 사회의 최상위 지배층으로 성장한다.
        8,600원
        7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in case of Palaearctic region, only one species, Nesendaeus monochrous in this genus was recorded from China. but the biology and life cycle are not clearly known, yet. This species collected from the bud of Glochidion chodoense in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closely related to Heterochyromera imerodeus Kojima & Morimoto which was recorded only in Japan,. But Nesendaeus monochrous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H. imerodeus by the relatively longer elytra with bisinuately round apices. Heterochyromera imerodeus Kojima & Morimoto can be found from Eurya emarginata and Glochidion obovatum in Japan. So, this two species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nd need more taxonomic study about the generic synonymy or changing the generic position.
        7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nion thrips, Thrips tabaci, is a serious global pest attacking many agricultural crops such as onion and Welsh onion. The thrips, assumed to originate in the Mediterranean region, has been reported for a long time in South Korea. According to worldwide molecular works, the species composes of three genetic lineages (LI, L2 and T) which related to reproductive mode (arrhenotoky vs. thelotoky). To understand the genetic diversity of T. tabaci in South Korea, we investigated genetic lineage and haplotype composition, using about 80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369bp) along with foreign sequences from GenBank and BOLD. The COI gene analysis shows that both of thelotokous L1 and arrhenotokous L2 population distribute in South Korea. Among 97 COI-haplotypes worldwide, only six haplotypes are found and thelotokous H1 dominantly distributes.
        8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lichiidae Schiner, 1862 is a small family of Diptera, with 19 genera and 360 described species worldwide. In Korea, only two species in a single genus, Aldrichiomyza Hendel, 1914, have been recorded. Milichiid species, small-sized acalyptrate flies,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decaying plants and animals. In particular, Desmometopa Loew, 1866 in the family has a commensalistic habit, more precisely the phoretic relationship, that has been observed with predacious insects and spiders, in which adults feed on the juices of the prey. In this study, we recognized Desmometopa microps Lamb, 1914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also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from the country. Herein, we provide diagnosis of D. microps based on the Korean specimens with imag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