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2

        61.
        202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기스탄은 중국과 공식 외교관계를 맺은 첫번째 이슬람 국가이다, 양국의 전통적 우호관계 및 “전천후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는 중-파 경제회랑에 외교적으로 기여해 왔고, 지역 협력에도 기여해 왔다. 하지만, 근래 파기스탄의 포퓰리즘은 양국의 경제무역협력 및 인문교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질적으로 국내외 학술계가 포퓰리즘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양적으로 BDP 데이터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국내외 학계의 포퓰리즘 관련 문헌을 시각화분석(Visualization)하였다. 또한 시각화가 파기스탄 포퓰리즘에, 또는 중-파 경제회랑에 주는 시사점도 도출하였다. 아직 국내외 학술계가 파기스탄의 포퓰리즘에 크게 주목하지 않고, 포퓰리즘의 정도도 그리 심각하지는 않다. 그러나 파기스탄의 포퓰리즘은 민족성 및 나라의 특수성 때문에 주기적인 발전과정을 거치고 있기 때문에,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등이 지속적으로 심화하는 상황에서는, 향후 파기스탄의 포퓰리즘이 심각해질 수도 있다.
        7,800원
        6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세기 이탈리아에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높았던 시기에 진행되었던 통일, 파시즘,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전시의 시각 체계를 분석하고 전시와 사회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살펴보았던 《이탈리아 통일 50주년 기념 전시》는 박람회 문화의 영향 속에서 타자를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 주체를 구성했고, 《파시즘 혁명의 전시》는 전시품의 서사를 넘어서 큐레이터의 관점과 서사를 강조함으로써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강조하며 역사와 사회를 보는 관점에 적극 적으로 개입하며 새로운 이탈리아인의 정체성을 고안하려고 시도했다. 전후 카를로 스카르파의 카스텔베키오 박물관의 상설 전시는 건축과 공간에서 큐레이터의 의도를 명확하게 구축하였으나 과거의 기억과 시각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역사를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과 동시대의 관점들이 만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어냈다. 이런 점은 전시가 사회적 정체성을 지향하며 역사와 동시대에 대한 평론으로 사회를 반영함을 보여준다.
        6,300원
        6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패션 제품의 이미지는 소재의 재질감과 컬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의 이미지 또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직 컬러 패션 소재의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 느껴지는 시각적 감각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60개의 패션소재로 시각적 감각 형용사 3쌍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 으며, 색채, 요철과 같은 물리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으로 나누어 각 요소별로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의 평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색채에 따른 시각적 감각은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의 평가가 동일한 감각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 다. 요철에 따른 시각적 감각에서 ‘요철이 있는’ 소재는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 동일한 감각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요철이 없는’ 소재는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감각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분류에 따른 결과는 실물과 디지털 화면에서의 평가가 모두 같은 감각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소재의 시각적 감각을 평가할 때는 소재 표면의 특성이 영향을 미치며, 실제 소재와 디지털 화면에서의 소재는 느껴지는 감각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션 소재의 시각적 감각은 평가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패션 소재의 시각적 감각을 평가하는데 있어 다양한 연구 방법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는데 의의가 있다.
        4,300원
        68.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ysical stores are significant contact points for customers to have unique shopping experience with hedonic values (Hirschman and Holbrook, 1982). The value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as a differentiating factor for companies in the digital era when e-commerce is dramatically expanding and growing (Kotler, Kartajaya, and Setiawan, 2017). In order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n online for offline (O4O) shopping experience, we focus on Visual Merchandizing Design (VMD) as one of the key factors to differentiate physical stores from e-commerce. VMD has a long history since 18th century VMD and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various ways, but no study has been done in the setting of online for offline (O4O). VMD is defined as an art of displaying the things in a mann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ustomer and persuade them to buy the product (Kerfoot, Davies, and Ward, 2003; Krishnakumar, 2014). In the VMD's extant research, many suggest the importance of VMD from the viewpoint of experiential marketing. It has been discussed that VMD is an effective way to impress consumers with company brands (e.g., Kim and Kim, 2011; Park and Jeon, 2004 Sun and Lee, 2017).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VMD, we use the three elements commonly used in practice that include Visual Presentation (VP), Point of Sales Presentation (PP), and Item Presentation (IP). The role of Visual Presentation (VP) is to invite customers from outside to inside of the store. When a customer enters the store, it is expected to encourage customers to stay longer to look around through PP (Point of sales Presentation). Finally, attractive Item Presentation (IP) on the shelves or hangers encourages customers to purchase products. We combine this VP-PP-IP framework of VMD with New AIDA model proposed by Iwamoto, Kawakami and Suzuki (2016). New AIDA model is a revised version of AIDMA that incorporates online related factors such as search, keep and share. Using this framework, we conducted three case studies on JINS BRAIN Lab by JINS Inc. in Japan, LAB101 in South Korea and On and the Beauty by Lotte Shopping in South Korea. We visited the store to observe how these companies realize the elements of VMD (VP-PP-IP) at each store. Th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better O4O experience to shop at a physical store looking at a mobile device, companies need to design the store from VMD point of view in addition to data-driven or artificial intelligence supported merchandizing. Physical stores with better VMD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for generating word-of-mouth for engaging other customers.
        6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몸의 균형 능력 저하는 낙상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낙상 위험이 높은 노년층을 대 상으로 시력과 균형 능력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성남시 S복지관에서 본 연구에 참여 의사를 밝힌 고령자 중 시야에 문제가 없는 고령자 총 24명(남4, 여20, 평균 나이 74.79±4.8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야검사는 OPTOS로 측정하였고, 시력은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 study)시표를 이용하여 저대비(low contrast)시력과 고대비(high contrast)시력을 측정하였다. 균형 검사는 Tetra-ataxiometric posturography(Tetra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정성 지수, 푸리에 지수, 체중분포율을 산출하였다. 이후 산출된 균형능력 데이터와 시력 간에 상관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시력과 관련된 NO자세와 PO자세에서 고대비시력은 푸리에지수(F6~F8)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저 대비시력은 푸리에지수(F6)과 안정성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0.050), 고대비 및 저대비 시력이 감소 할수록 안정성지수와 퓨리에지수가 증가하여 균형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시야이상이 없는 고령자에서는 시력이 낮으면 균형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낙상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시력검사와 굴절교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조절력이 충분한 20대 성인이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기능성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각의 질 및 조절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3명(21.38±0.65세)의 대상자들을 두 종류의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 후 시력, 대비감도, 스트레이라 이트, 총 고위수차, 구면수차, 코마수차, 조절반응, 양안조절용이성, 조절근점을 평가하였다. 결과 : 시력, 대비감도, 스트레이라이트, 총 고위수차, 구면수차, 양안조절용이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코마수차 는 4, 5 mm 동공크기에서 다중 전면 비구면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경미하게 증가하였다(p=0.037). 조절반 응(p=0.006)과 조절근점(p=0.005)은 다중 전면 비구면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유의하게 더 감소하고 짧아졌다. 결론 : 다중 전면 비구면 기능성 콘택트렌즈 착용 시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와 비교하여 시각의 질 은 차이가 없었지만 조절부담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젊은 성인의 기능성 렌즈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7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뱀 탐지 이론은 영장류가 천적인 뱀과 경쟁하면서 뱀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시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구체적인 가설 중 하나는 먼지세포 중심의 피질하 시각 경로가 사람으로 하여금 심적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서도 자동적으로 뱀의 위협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뱀 영상에 대한 인간 참가자의 반응을 공포 표정의 얼굴 및 꽃에 대한 반응과 비교함으로써 뱀 탐지 이론의 가정들을 검토하였다. 참가자들은 원본 영상을 관찰하거나, 원본 영상에서 색상, 밝기와 대비, 공간주파수 에너지 차이를 제거한 변환 영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1의 참가자들은 각 영상에 대한 정서가와 각성 유발 정도를 평정하였고, 실험 2의 참가자들은 연속점멸억제 절차에서 표적 자극을 탐지하였다. 그 결과, 뱀에 대한 반응은 시각 요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영상들의 시각적 차이를 제거했 을 때, 뱀 영상은 덜 부정적이고 각성을 덜 유발하며 연속점멸억제에서 느리게 탈출하였다. 그에 비해, 다른 범주에 대한 반응은 영상 변환의 영향을 덜 받았다. 특히, 공포 표정의 얼굴은 일관적으로 영상 조건에 상관없이 위협적인 대상으로 평정되었으며 빠르게 탐지되었다. 또한, 실험 1에서 측정한 각성 평정의 변화량과 실험 2에서 측정한 연속점 멸억제 탈출 시간의 변화량이 부적 상관을 보였다. 영상 변환 후 각성 평정 점수가 많이 감소한 뱀 영상일수록 탐지 반응시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뱀이 인간 관찰자의 위협 탐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공포 표정의 얼굴에 비해 제한적이며, 연속점멸억제 탈출 반응과 의식적 평정 반응이 처리 기제를 공유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뱀 탐지가 무의식적 피질하 시각 경로의 산물이라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4,900원
        7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대학생의 시각기능을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하여 시력교정 상태에 따른 시각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안질환이 없는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시각기능(시력관련 삶의 질)을 한국 어판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 설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목적에 따른 시각기능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학생의 시각기능 총점은 시력교정이 불필요한 군이 94.1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미교정 군은 85.33 점으로 낮았다. 시력교정이 불필요한 군은 VFQ-25의 모든 문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시력 미교정 군은 전반적 건강, 전반적 시력, 눈 통증, 근거리 시력, 원거리 시력에서 다른 군에 비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시력교정이 불필요한 군은 VFQ-13 문항에서 점수가 높았고, 시력 미교정 군은 근거리 시력과 역할의 제한을 제 외한 모든 문항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 : 대학생의 시력교정 상태에 따른 시각기능을 확인한 결과, 미교정 상태 군의 시각기능은 다른 군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전반적 건강과 전반적 시력이 많이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교정 상태가 시력관련 삶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7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찰자의 조망 높이의 감소는 시각장면 내의 사물들 간 중첩의 증가를 초래해 해당 사물들의 정체 파악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기초해 조망 높이를 달리한 시야 상에 기억이 요구되는 자극들을 제시하고 해당 자극에 대한 시각단기기억 수행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관찰자의 조망 높이(고, 중, 저) 차이를 반영한 격자무늬 배경과 기억 자극을 구성해 해당 자극들의 위치와 색상을 파지하는 단기기억 과제가 실시되었다. 기억 자극의 개수 증감(3 vs. 6)을 통해 기억부담의 수준을 달리해 가면서 기억 수행을 조사한 결과,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기억부담의 증가에 따른 기억수행의 저하가 가장 분명한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는 선형조망을 제공하는 격자무늬 배경의 유무에 따른 기억 수행을 관찰한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수행이 역시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망 높이의 차이가 시야 상의 사물들 간 중첩 단서량의 변화 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초래하는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4,300원
        7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캠퍼스의 구성원의 풍부한 감성․기억․체험을 통해서 습득된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의 경관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심리적 요인을 찾아내어 경관 평가를 위한 의미구조를 파악하는 것, 그리고 대학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는 데 목표가 있다.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시각과 청각의 경관 이미지에 대한 평가요인과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시각 경관의 이미지는 활력․정취, 매력성, 청결성, 현대성, 통일성, 복잡성, 개방성의 7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시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매력성> 활력․정취>청결성>현대성>통일성>개방성의 순으로 구성된다. 청각 경관의 이미지는 정감, 활기, 평온성, 변동성의 4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정감>평온성>활기>변동성의 순으로 구성된다.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경관의 만족도가 청각 경관의 만족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로부터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의 구성원들이 파악하는 시각과 청각의 경관 이미지의 표현이 어떤 의미나 가치를 나타내고 있는지 확인가능하며, 심리적 경관의 이미지를 어떻게 물리적 가치로 치환해 낼 수 있는 지는 추후의 과제로 남아있다. 이 연구는 이제까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해 온 대학캠퍼스의 경관의 문제를 보다 질적인 측면으로 확대하고 다가올 미래의 경관 문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시도이다. 또한 지금까지 시각에만 머물러 있거나 의존해 왔던 경관 연구를 청각이라는 소리풍경(soundscape)의 문제로 확대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관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7,000원
        7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Flexible flat foot is that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collapses in weight bearing and returns normal arch when weight is removed and the weight bearing shifts toward medial part of the foot, which can cause pathological problems in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the entire body. Objective: To compare the foot pressure for adults with flexible flat foot. Design: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24 participants with flexible flat foot were recruited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Visual feedback Short Foot Exercise (VSFE) group and Short Foot Exercise (SFE) group. To compare changes of foot pressure about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 contact pressure measurement was conducted. Results: In the VSF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foot pressure of the 1st toe, 1st, 3rd and 4-5th metatarsal, midfoot, medial and lateral heel (p<.05). The foot pressure of the 3rd and 4-5th metatarsal, midfo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FE (p<.05). The contact pressure of the 1st toe, 3rd metatars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Visual feedback short foot exercise can be useful for moving the pressure from medial to lateral part, and can prevent possible pathological problems.
        4,000원
        7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information on shapewear’s functionality in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in an online shopping context. Through two steps of stimulus development process, four mock websites were developed to conduct a main study. In the main study, a 2 (visual information: absent vs. present images of the shapewear’s functionality) x 2 (verbal information: absent vs. present descriptions of the shapewear’s functionality)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mpact of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regarding the functionality of shapewear on the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i.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verbal information about how shapewear reduces the size of specific body parts (i.e., waist, abdomen, hips, and thigh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perceived attractiveness in an online context, which increase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the shapewear mediated the effects of expect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support for the importance of expected physical attractiveness in consumers’ online purchase decision on shapewear and useful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shapewear presentations by including descriptions of the functionality of shapewear in decreasing the size of body parts.
        4,600원
        7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HMD디바이스를 이용한 VR영상 시청이 양안 시기능과 EEG, 시각 피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전신질환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20~30대 성인 남녀 28명을 대상으로 VR영상시청 전과 후의 Howell 카드를 사용하여 원거리 사위, 근거리사위를 측정하였고 가림막대와 주시막대와 자를 이용하여 조절근점과 폭주근점을 측정하였다. 62개의 Ag-AgCl 전극이 부착된 Quick cap과 NeuroScan SynAmps를 사 용하여 정량화 뇌파(Quantitative elctroencephalography)를 측정하였고 CURRY7을 사용하여 전처리하여 분석 하였다.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VR영상시청 전과 후의 사이버 멀미 점수를 통해 시각피 로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VR영상 시청 전 후 폭주근점(p<0.001)과 근거리 사위도(p=0.004), AC/A비(p=0.02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절력과 원거리 외사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VR영상 시청 전 후, 정량화 뇌파 분석에서 눈을 뜬 상태의 알파1밴드의 상대파워 (p<0.001)와 알파2밴드의 상대파워(p=0.003)가 뇌의 앞, 중간, 뒤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VR영상 시청 전 후,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상관분석에서는 전방의 알파1밴드 상대파워가 근거리 사위도(p=0.038), AC/A비(p=0.04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앙의 알파1밴드 상대파워와 전체 SSQ의 점수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1) 중앙과 후방의 알파2밴드 상대파워 또한 SSQ의 메스꺼움(p=0.029), 안구운동장애(p=0.021), 방향감각상실(p=0.010)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VR 영상 시청 후, 폭주근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근거리에서는 외사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알파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모든 피실험자가 사이버멀미를 느꼈으며 방향 감각 상실의 정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5,200원
        7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sual inspec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critical activities for quality control in a manufacturing company. it is thu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tecting a defective part or product. There are three probable working modes for visual inspection: fully automatic (by automatic machines), fully manual (by human operators), and semi-automatic (by collaboration between human operators and automatic machines). Most of the current studies on visual inspection have been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automatic detection performance by developing a better automatic machine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ies. However, there are still a range of situations where human operators should conduct visual inspection with/without automatic machines. In this situation, human operators’performance of visual inspection is significant to the successful quality control. However, visual inspection of components assembled into a mobile camera module belongs to those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uman performance issues in visual inspection of the components, paying more attention to human errors. For this, Abstraction Hierarchy-based work domain modeling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a range of direct or indirect factors related to human erro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components. Alth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manufacturing mobile camera modules,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easily generalized into other industries.
        4,000원
        80.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ADHD 성향의 대학생(이하, ADHD 성인) 3명을 대상으로 Dynavision을 이용하여 시지각과 집중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A-B 개별실험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독립변인으로 Dynavision의 visual tracking, self-paced, apparatus-paced, digital flash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중재는 적응기간(2회기)과 훈련기간으로 구성하였는데, 대상자 A의 훈련기간은 10회기, B와 C는 각각 7회기였다. 종속변인으로 중재 후의 시지각(MVPT-3, TVMS)과 집중력(스트룹, 100칸 계산문제)을 측정하였다. MVPT-3와 TVMS, 스트룹 검사는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100칸 계산문제는 매회기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 후 대상자 모두 MVPT-3, TVMS 점수가 향상되었고 스트룹 검사의 수행 시간은 감소되었다. 또한, 회기 가 진행될수록 100칸 계산문제의 풀이속도가 증가하였고 오답수는 감소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ADHD 성인의 시지각과 집중력 향상에 Dynavision 훈련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ADHD 아동이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Dynavision을 인지에 적용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