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6

        6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pidemiological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cidence, areas, severity, and time of occurrence of sports injuries in elite female rowing athletes who were training at the Jincheon National Training Center for a 1-year period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2017. According to the daily injury reports form of the IOC, sport events, weight division, injured area, and cause of injury were record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Upon comparing the incidence of sports injur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of double scull athletes. In terms of spo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ir and athletes who played double skull. Injuries occurred most commonly in the lower extremity (40.5%), followed by the trunk (35.1%), upper extremity (24.3%). for all athletes in rowing. The knee and lumbar spine/lower back were the most common injury sites. More than 60% of all injuries were Level III, and injuries occurred most frequently during training, followed by weight training and then competition.
        4,000원
        64.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 왕실에서는 왕비나 세자의 책봉(冊封) 그리고 상존호(上尊號)를 위한 상옥책(上玉 冊) 의식을, 국가적 행사로서 성대하게 치르고 이를 의궤(儀軌) 기록으로 남겼다. ‘상옥책’ 은 왕실에 관한 공덕과 찬사의 글을 옥간(玉簡)에 새기고 이를 금분으로 메워서 옥책(玉冊) 으로 엮은 것을 올리는 의식이다. 즉 의식의 주된 내용이 옥책의 내용을 낭독하고, 이를 함 (函)에 담아 봉(封)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여기에 사용되었던 함은 二重의 함으로 내함(內函)과 외함(外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내함은 매우 특별하게 제작되었다. 주칠함(朱漆函)에 니금(泥金)으로 화려하게 장식 되어, 조선 시대 사가(私家)에서 사용한 함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그 내함이 국립고궁박물관에 250여점 현존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옥책 내함의 제작 시기를 밝혀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공예사적 회화사적인 변화양상과 옥책 내함이 의례품으로서 갖는 역사적 의미에 관한 발표자의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옥책 내함은 왕권 강화의 의미와 관련한 왕실공예품이며, 목 공예 금속공예 칠이나 섬유 공예, 니금 그림의 회화사적인 측면에 이르는 다양한 정보를 주는 중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더하여 여기서 중점할 내용은, 옥책 내함의 시대별 변화양상을 동시대 제작으로 추정되는 내함 外의 다른 국가 제작 함(函)과 비교 검토하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앞선 연구에서 옥책 내함의 시기별 변화양상의 흐름을 밝힌 바 있는데, 그것은 뚜렷한 구분을 보이는 것이었다. 이것은 동시대 흡사한 제작 방식을 갖는 다른 목조함의 제 작시기를 추정하는 근거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시도하였고, 이것은 제작시 기 파악이 어려운 목공예의 편년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은 한정된 수에 불과하여 그 연구의 시작이지만,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비교 대상의 확장과 더 나아간 다각도의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7,000원
        65.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omestic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has been built on a large scale on the Jungbu Expressway, which opened in 1987. Since then, there have been few application due to cost and construction difficulty. Currently, most of the expressway concrete pavements have been applied with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 but the interest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due to frequent premature failure in joints of JPCP. Accordingl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as established design guidelines and details for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for expressway in 2014, based on the design method applied to the Jungbu Expressway, but incorporating foreign useful design methods. In terms of construction, pilot constructions were performed on Pyeongtaek~Jecheon Expressway Construction. The new design guidelines were applied to some sections of the Sangju~Yeongdeok Expressway Construction Project in 2016.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transverse cracks for one year after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onstruction in Sangju~Yeongdeok Expressway. This route was constructed with pavement thickness, base layer and longitudinal reinforcement according to domestic design guidelines. However,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was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ction. After construction, the transverse crack spacing was surveyed and the crack gauges were installed at the crack position to measure the movement. This compares the crack spac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observes continuous movement of the crack wid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ack spacing was more affected by the climat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an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The crack width showed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ver 24 hours. However, due to seasonal changes, it showed a tendency of gradual increasing or decreasing in crack widths, and it was predicted that different measurement results will be shown depending on the time of crack width measurement. Generally, it is predicted that the crack spacing will be narrowed and the crack movement will tend to converge with the period after construction. This initial crack movement data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comparing whether these predictions are valid.
        67.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nctional foods for health are often consumed among adolescents. To investigate functional food usage, this study surveyed 326 students aged 14-16. 56.3%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health. More than 76% of the subjects thought themselves to be very healthy. Users of functional foods made up 56.7%, and among all types of functional food, probiotic supplements were taken most frequently, followed by nutritional supplements>red ginseng products>enzyme containing products. Most users of functional food got the information on functional food through family (71.3%). 50.3% of users experienced the effectiveness of the functional food when they supplemented. After use, repurchase intent was 58.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functional food usage, groups were classified as stressful (n=124), intermediate (n=122), and low stress (n=84) according to self-perception about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ake of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cademic stress. However, in the intermediate stress group, academic stress index was improved in the users of functional food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in the future, possibly helping to prepare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reducing academic stress among adolescents with middle stress.
        4,200원
        68.
        2018.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 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 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유리 온실에서 강화쑥을 육묘 6주, 정식 후 8 주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을 비교하였 다. 광합성은 상대적으로 고광도인 1,200μmol·m-2·s-1에 서도 포화되지 않았다. 생육속도는 정식 후 2주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정식 후 8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 였다. 강화쑥은 다년생 숙근초로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봄 여름의 영양 생장기에는 높은 생육과 성 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개화 및 월 동으로 인하여 생육 및 유파틸린 성분 함량이 크게 감 소하였다. 따라서 강화쑥의 주년 재배를 위하여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야파 처리의 적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종류의 스트레스와 1종류의 eliciter를 처 리하였다. 건조 스트레스는 수확 전 5, 6, 7, 8 일간 관수을 중단하였고, 염류 스트레스는 수확 3일전 양액 에 염화나트륨 추가하여 2, 4, 6, 8dS·m-1 농도로 하였 고, 메틸자스모네이트는 수확 3일전 12.5, 25, 50, 100μM 농도로 엽면 시비하였다. 건조 스트레스 처리 구 중 7일 및 8일간 관수를 중단한 경우와 메틸자스모 네이트를 25μM 엽면 시비한 경우 유파틸린 함량이 증 가하였다. 염류 스트레스 처리구에서는 유파틸린 함량 증대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 처리를 통해 유용 성분의 증대가 가능하고 의약 원료로써 강 화쑥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 명하였다.
        4,000원
        6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2-year-old female Maltese dog was presented with a history of anemia and vaginal hemorrhagic discharge.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severe vaginal hemorrhagic discharge, abdominal pain, pale mucous membranes, low blood pressure and dehydration. Results of serum biochemistry, hematology, venous blood gas, and electrolyte canine C-reactive protein (CRP) test revealed severe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severe neutropenia, a high level of CRP, hypoglycemia, and imbalanced electrolytes. Abdominal ultrasound examination showed focal hypoechoic defect with loss of layering in uterine horn wall. A laparotomy revealed a clear reddish fluid in the abdomen, the fistula of left and right uterine horn, the purulent discharge from fistula, and symptoms of septic peritonitis near by the fistula site. The bitch underwent ovariohysterectomy and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the uterine fistula site was adenocarcinoma.
        4,000원
        7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림지 식재 후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생육이 좋은 용기묘로 생산하고자 할 때, 관수처리 수준에 따른 생장 반응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관수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104구 용기에서 생육된 소나무 용기묘는 대조구(무관수)를 포함하여 파종 후 15주부터 8주 동안 각각 1, 2, 3, 5, 7, 10, 15 일 간격으로 관수되었다. 관수처리에 따른 소나무 용기 묘의 간장과 근원경 생장, 건물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가장 좋은 생장 반응은 관수처리 1일 간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수주기가 짧아질수록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이 좋아졌지만, 전체뿌리길이는 2일이나 1일 관수주기보다 3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의 경우 1일 간격에서 가장 높고 관수주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1~2일 간격의 관수가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에 있어 적합한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7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 men are much mor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than ever before, as well as showing an increased need for uniqueness in order to construct their own sphere and pursue differentiation from others. Besides, changes in life style and the aesthetic sense are causing men to pursue various kinds of clothing benefits so that they want a suit with characteristics beyond the stereotyped design and style. They have started to be actively engaged in clothing purchases, forming a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the male suit market. H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offers data conducive to consumers’ custom suit purchase by reviewing data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stom suit market and bespoke suits. In addition, it aims to give a summary on the theoretical bases of preceding studies, including the need for uniqueness, pursuit of clothing benefit and concern for the appearance of male consumers, as well as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bespoke suit purchase intentions. Accordingly, this work intends to construct a basic environment for consumers to approach the custom suit market easily and pave the way for male suit markets through offering marketing data and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custom suit-related markets.
        4,600원
        75.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y wine produced from domestic kiwifruit according to production year from 2008 to 2012 were studied. pHs of wine were from 4.02(F wine, production year 2009, sterilized) to 4.11(D wine, production year 2012, non-sterilized) and their acidities were lowest in D wine(0.79%) and highest in F wine(1.18%). All the wines have the same soluble solids of 8 °brix and 12% of alcohol,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was lowest in A wine(production year 2008, non-sterilized) and highest in D wine. The lactic acid was detected as a main organic acid and the free sugar was detected only fructose. As main flavor components, ethyl acetate and 1-pentanol were detected and their sum of 80~90% and a small amount of phenylethyl alcohol which providing rose-like aroma was also detected. The contents of soluble phenolics were highest in D wine(1.07 g/L) and lowest in C wine(0.80 g/L), corresponding to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st found in D wine according to their soluble phenolic contents.
        4,500원
        7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을 중심으로 예비보육교사의 고 민과 걱정에 관한 진로탐색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 역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 10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졸업하기 전에 취업과 동시에 학업에 대한 고민 또한 함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할 분야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 생활의 아쉬움은 학과선택에서의 후회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학과 특성상 보육교사와 사회복지사 두 개의 자격 증을 취득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어린이집 취업을 선택한 학생에 한해서는 보육교사로서 깊이 있게 배우지 못한 아쉬움, 다양한 경험을 하지 못한 후회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쉬움과 후회는 다양한 경험에 대한 지원 요구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실습을 이미 경험했음에도 불구 하고 이들은 보육실습 만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어린이집 취업 이후를 걱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교사 역할 수행 능력, 대인관계, 보육교사 처우, 보육교사 인식 등에 대한 걱정이 있었고, 지원요구로는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멘토, 보육교사 처우 및 인식 개선을 위한 것들이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진학에 대한 고민은 보육교사로서 부족한 부분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함께 보육교사로 서의 인식 개선을 위해 스스로가 선택했다는데 긍정적인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심화과정을 통한 학사학위 취득의 경우 어린이집 근무 여건 상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심화과정의 시간 및 방법의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7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im essential oil. During the period 2011~2013, P. japonicus (S. et Z.) Maxim plant was investigated for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Chem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compounds of the essential oils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 according to the crop year studied. The essential oils consisted of sesquiterpene compounds, which were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Samples collected in 2011 were found to be richer in oxygenated sesquiterpenes, while samples collected in 2012 and 2013 were richer in diterpene alcohols and sesquiterpene hydrocarbons, respectively. Ninety-two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P. japonicus (S. et Z.) Maxim essential oil of 2011, and caryophyllene oxide (20.49%), β-caryophyllene (10.28%), β-bisabolene (6.80%), and alloaromadendrene (6.50%) were the major compounds. Seventy-fou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plant essential oil of 2012, and phytol (17.22%), α-farnesene (15.31%), α-caryophyllene (9.93%), and β-caryophyllene (6.12%) were the major compounds. Ninety-two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plant essential oil of 2013, and α-farnesene (22.42%), α- caryophyllene (21.49%), pentadecane (15.35%), and germacrene (5.70%) were the major compounds. The content of most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varied significantly with different harvesting time. The content of α-caryophyllene and caryophyllene oxid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11 to 2013. The content of α-caryophyllene and isocaryophyllen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011 to 2013.
        4,000원
        7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5~50세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에서 세대에 따른 굴절이상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87년부터 2012년 10월까지 청주와 천안의 안경원에 굴절이상 교정을 위해 방문한 사람 162,494 명(남성 50,453명, 여성 112,041명)의 굴절검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안경원은 청주 5군데와 천안 2군데를 선정하여 개인정보를 제외한 굴절검사 데이터만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연구 대상의 연령은 출생 연도와 안경원 방문 일자를 계산하여 만 나이로 산정하였다. 연령에 따른 굴절이상 변화를 고려하여 연령을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에서 방문연도에 따른 평균 굴절이상 정도를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안 경원 방문 당시 연도와 연령을 변수로 하여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 다. 연구대상에 포함하는 일부 표본인구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세대에 따른 환경적 요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6개 연령 그룹 모두 방문당시 연도에 따라 평균굴절이상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방문 연도 가 최근에 가까울수록 (-)방향으로 그 값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50세 전체 연령군의 평균굴절 이상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회귀분석에서는 방문연도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30대 그룹보다 20대 그룹에서 근거리 작업과 관련한 답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 론: 동일 연령군에서도 평균 굴절이상 정도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세대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 대상 에 해당하는 5~50세 연령 그룹 모두 (-)방향으로 굴절이상 정도가 증가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