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8

        6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friendly consumption is a prominent trend in the fashion industry, by which many firms attract the interest of consumers using a green marketing strategy. However, “greenwashing” (caused by distorted, exaggerated, and false information) gives rise to consumer con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 confusion and value on price sensitivity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from 228 respondents using a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South Korea.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showed the consumer value variable was significantly categorized in altruistic and self-expressive values. All variables (altruism, selfexpression, consumer confusion, price sensitivity, and purchase intention)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good internal validity. Second, altruistic consumer value was shown to positive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but self-expressive consumer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rd, consumer confusion o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d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altruistic and self-expressive consumer values had no effect on price sensitivity. Fifth, consumer confusion o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positively affect price sensitivity. Sixth, price sensitivity o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d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fashion firms should provide a certified green mark to consumers to eliminate confusion and deliver the right message without greenwashing. Moreover, fashion firms should develop green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more focused on altruistic consumers.
        5,100원
        6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가소득에 비해 농약가격이 비싼 저개발국가에서 농약의 사용을 줄여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담배가루이 및 아메리카잎굴파리가 좋아하는 오이, 가지, 참외 3가지 작물 중 토마토 재배에 가장 유리한 유인식물로 생육온도 및 재배방법이 유사한 오이를 선발하였다. 가지는 초장이 작고 토마토보다 고온을 요구하여 겨울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참외는 곁순이 많이 나와 오이보다 재배 관리가 어려웠다. 토마토 재배 시 유인식물로는 오이가 가장 적합하였다. 2. 토마토 10, 15, 20주 당 1주 씩 오이를 정식한 후 Emamectinbenzoate 유제 2.15%와 Pyridaben 수화제 20%를 혼합하여 유인식물에만 7일 간격으로 살포한 결과, 토마토 전체 포장에 살충제를 처리한 결과와 유사한 담배가루이 및 아메리카잎굴파리 발생 및 피해 정도를 보였다. 3. 유인식물을 많이 정식 할수록 토마토의 정식 주수가 줄어들어 토마토의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유인식물의 재식주수가 가장 낮은 토마토 20주 당 1주 씩 오이를 정식하는 것이 가장 높은 생산량을 기대할 수 있다. 4. 오이를 유인식물로 사용할 경우 해충의 출현이 토마토만 정식하였을 경우보다 6~12일 빠르므로 예찰에 유의하여야 한다.
        4,000원
        71.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consumer innovativeness to predict Indi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electric car and wood fibre-based clothing. Consumers with high novelty seeking attitudes appear to be early adopters of these two eco-innovations suggesting that marketers need to highlight the novelty attributes of these sustainable products.
        4,000원
        7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ischarging and grinding system producing eco-friendly composite fertilizer raw materials, the performance test was proceeded. and We ha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Of the evaluation items set as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is technology development, the “grinding capacity” of the composite fertilizer roll mill is higher than the current market-sufficient performance (1500kg/hr) of 1800kg/hr.For “grind particle size”, results of less than 1.8 mm on average were obtained, which is smaller than market-sufficient performance (average less than 2 mm). 2.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1batch 400kg discharge time”, the results of less than 10min/1bach were obtained, which is shorter than the market satisfaction performance (15min/1bach).
        4,000원
        7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도로나 보도의 포장은 콘크리트 포장, 아스콘 포장, 석재 포장, 자갈 포장, 흙 포장, 목재 포장, 우레탄 포장, 고무칩 포장, 블록 포장 등이 시공되고 있으며, 그 중 수지와 합성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등을 혼합한 다양한 재질의 탄성포장재 가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탄성포장재는 탄성이 좋고 사용성이 좋으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화학제품에 대한 환경유해성 논란이 대두됨에 따라 탄성 포장재에 대한 환경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인 알톱밥과 EPDM 칩을 사용하여 친환경 포장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휨강도 시험, 인장강도 및 신장률 시험, 투수성 시험, 중금속 및 유해 화학물질 총량 시험, 폼 알데하이드 방출량 시험, 경제성 분석을 통해 탄성 포장재에 대한 한국산업규격 KS F 3888-2 및 기존 논문들과 비교 분석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한 포장재의 역학적 특성과 환경 유해성 물질 기준을 제시하였다.
        4,000원
        7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offering eco-friendly fashion items on consumers’ perceived image of store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ood in a hybrid cafe setting.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of 465 adults aged 20 to 49 years. In order to compare ‘a general cafe’ where only food is sold and ‘a hybrid cafe’ which offers eco-friendly fashion items as well as food, we developed two store types (general×hybrid) with two store designs (modern×eco-friendly) as stimuli, resulting in four scenario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ffering eco-friendly fashion items at a caf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s’ perceived eco-friendly image of the store. Further, this negatively affected consumers’ perceived healthy and tasty images of the store and intention to purchase food. Such negative effects on the healthy and tasty images of the store increased in the store with a modern design. In conclusion, offering eco-friendly fashion items at cafes may not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tores’ images or sales.
        4,000원
        79.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이용해 전국 대학생들의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 및 지식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해야 하는 생태계는 사람들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고 있다. 생태통로는 이러한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고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인공적인 생태적 공간이다. 그러나 국민들의 관심과 인식이 부족해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이고 교육의 기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전국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 및 지식을 분석하였다.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보았는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57%가 ‘있다’고 하였으며, 43%가 ‘없다’고 하였다. ‘생태통로는 야생동물들이 안심하고 통행할 수 있도록 나무와 풀로 뒤덮여 있을수록 좋다’는 지식 문항을 조사한 결과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본 그룹은 22.8%,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보지 않은 그룹은 23.3%만 올바르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본 그룹이 60% 미만으 로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본 그룹이 생태통 로에 대해 들어보지 못한 그룹만큼 지식이 올바르게 정립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국민들이 생태통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도록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