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3

        8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러스 입자를 감지하는 역전사 핵산 연쇄 증폭법 (VC/RT-PCR)은 감염된 식물종들로부터 핵산 추출 없이 식물바이러스들을 검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VC/RT-PCR 분석법을이용하여 고추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들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새로운 즙액 추출 완충액들이 제작하였다.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 (Pepper mild mottle virus;PMMoV) 및 고추모틀바이러스 (Pepper mottle virus;PepMoV) 진단을 위한 가장 최적화된 추출 완충액은 0.5%sodium sulfate를 포함하는 1.0M Tris (pH 8.0) buffer 였다.고추 바이러스들은 담배 즙액 추출 후 7일까지 검출이 되었으며, 마쇄 직후와 검출 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3가지 고추 바이러스들은 고추 즙액 추출 후 2일까지만 바이러스들이 검출되었으며, 검출 감도는 크게 감소하였다.국내 고추 재배 농가들에서 수집한 고추 시료들에서 TSWV,PMMoV, PepMoV의 단독 감염 및 PMMoV와 PepMoV의중복 감염을 선발된 최적 즙액 완충액과 VC/RT-PCR의 조합을 이용하여 동시 진단이 가능하였다.
        4,000원
        8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면역금나노입자막대 (RIGS) 키트’라 명명된 빠르며 사용자 편의 및 간단한 면역흡착막대 방식의 키트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CMV)의 현장진단을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토끼의 CMV항혈청에서 정제된 면역글로블린G (IgG)는 단백질A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되었으며 이후 금나노입자와 결합하여 니트로셀룰로스막에서 진단선 표시하도록 고안되었다.CMV항체와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A를 같은 진단막대에서 대조선으로 이용되었다. RIGS-CMV 키트를 이용한 진단은 의심 식물 시료를 완충액이 들어간 플라스틱 봉지에 넣은 후 착즙 후 진단막대기를 넣으면 된다. 결과는 5-10분 후알 수 있다. CMV가 감염된 고추, 오이 및 멜론의 즙액에RIGS 막대기를 넣고 진단한 결과 CMV 농도에 비례하여 진단선이 형성됨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키트들은 CMV와 연관되지 않은 다른 고추바이러스들에서 비특이적 반응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들은 RIGS-CMV 키트가 매우 민감하며,진단에 별 다른 실험실 기술이나 경험이 필요하지 않는 다는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RIGS-CMV 키트는 CMV 감염이의심되는 식물체들의 현장 진단 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의CMV 진단에 효과적이다.
        4,000원
        8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은 갈라진 발굽을 갖고 있는 가축과 야생동물에서 발병하는 매우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높은 질병이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병원균들 중 하나이다. 상대적으로 예측도가 높은 대기 확산 모델의 경우 공기 전파에 대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위해성 관리방안을 결정하는데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유용 가능한 수단으로 여러 나라에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기 확산 모델링을 이용하여 국내에 발생한 구제역의 방안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기 확산 모델인 CALPUFF 모델을 사용하여 2010년 4월 강화군에서 시작되어 2010년 6월에 종식된 구제역 사태를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의 공기 중 장거리 확산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모델링 결과 공기 중의 바이러스 생존력은 24℃이하의 낮은 온도조건에서 더욱 전파 가능성이 높은데 공기 확산 당시의 온도는 24℃이하로 적합한 환경이었다. 또한 상대습도도 60% 이하로 바이러스 생존 상태에 최적을 이루는 환경이었음을 확인 가능하였다. 이 결과만으로 공기를 통한 전염가능성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공기감염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책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8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나리 인편자구 포장정식 시 재배시설에 따른 바이 러스 감염률 등을 조사하여 포장 구근생산체계를 확립하고자 하 였다. 맹아률은 비가림하우스 및 망실하우스에서 높았으며, 품종 별로는 ‘Yelloween’이 ‘Star Gazer’보다 높았고 ‘Yelloween’ 의 망실하우스에서 맹아률은 90.3%였다. 총생체중 및 구근특성 도 ‘Yelloween’이 ‘Star Gazer’보다 높았으며 ‘Yelloween’ 노 지 정식구에서 총생체중은 15.8g이었으며 구중은 10.7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진딧물 비래의 최성기는 5월이었고 노지 38마리 에 비해 비가림 및 망실에서 8마리, 2마리로 월등히 낮았으며, 바이러스 이병률은 CMV가 LSV보다 높았으며 노지에서 CMV 이병률은 17.8%로 비가림 및 망실보다 4배 이상 높았다. Pyrethroid처리는 250mg • L-1이상에서 바이러스 방제효과가 있 었다.
        3,000원
        8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 바이러스는 소나 돼지 등의 우제류 가축에 경구 또는 흡입 노출 등의 다양한 노출 경로를 통해 심각한 감염성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유해인자로 국내 축산업 운영에 있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병원균들 중 하나다. 구제역 발병에 대한 사전적 예방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조치 방안 중 하나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구제역 바이러스 확산에 대해 수학적 모델 적용을 통해 예측된 분석 결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대기 확산 모델들은 일반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의 주요 전파 경로인 경구 및 접촉 감염의 노출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예측도가 높은 대기 확산 모델의 경우 공기 전파에 대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위해성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데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유용가능한 수단으로 여러 나라에서 활용되어 왔다.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를 억제하기 위한 엄격한 관리 방안 중 다량의 가축 살처분 방법은 축산 농가들에게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심각한 경우 새로운 자립의 여건마저도 상실시킬 수도 있다. 반면 낮은 수준의 대응 방안은 향후 구제역 발생에 따른 추가적 피해를 근원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역학적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기본 특성 및 발생 모델 적용에 따른 공기 중 전파의 감염 위험성 평가 관련 선행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1970년대 이후 구제역 바이러스의 공기 전파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실제 활용된 다양한 대기 확산 모델들의 적용 사례 및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4,200원
        8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점하는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국내 육성 청보리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피해를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 검정에서 선우는 BaYMV와 BaMMV (Barley mild mosaicvirus)에 감염되어 있었으나 영양보리와 유연보리는 BaYMV에만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병징 발생정도에 따라 선우와 유연보리가 각각7~9와 5의 이병 정도를 보였으며 저항성 품종인 영양은 3정도의 저항성이 조사 되었다. 월동 후 초장과 분얼 경수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14.6~32.9%의 신장억제율을 보였으며, 생육 후기의 분얼 경수 단축률은 8.7~19.7%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수량구성 요소의 피해를 건전포장 결과와 비교했을 때 중도 저항성과 감수성 품종에서 저항성 품종에 비해 간장에서 특히 큰 차이가 났으며, 수량 구성요소인 간장, 수수 및 수장 등을발병포장과 건전포장에서 수확한 재료에 대해조사하였다. 간장 단축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영양보리는 14.5%가, 유연 및 선우보리는 각각24.8%와 42.7%의 신장 피해를 보였다. 수장과수수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도 간장의 피해정도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수장과 수수는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라 각각 8.9~21.3%와 24.3~31.0%의 감소율을 보였다. 총체 건물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 저항성 정도에 따라 건전 포장에 비해 21.6~58.0% 감소를 보여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감수성이 큰 선우보리에서는 건전포장의 8.0톤/ha에비해 58.0%의 감소 피해를 나타내었다. 종실수량은 약 30.0~61.2%의 감소율로 총체 수량의피해와 비슷한 결과였다. 감수성인 선우보리에서 감염포장에서 60% 이상의 종실 수량이 감소하여 가장 큰 피해정도를 나타내었다.
        4,200원
        87.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핵산가수분해 기능이 있는 항체인 3D8 scFv(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유전자를 형질전환 닭에서 발현시키고 3D8 scFv 항체의 항-바이러스 기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는 in vitro(형질전환 닭유래 세포)와 in vivo(형질전환 닭)로 나누어서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닭 태아섬유아세포는 형질전환 닭과 일반 닭을 각각 인공수정을 시킨 후 생산된 10일차 수정란의 태아에서 CEF(Chicken Embryo Fibroblast)를 수집하였다. 3D8 scFv 유전 자가 삽입된 CEF 세포는 항생제(puromycin)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세포만을 선발하였다. 그 리고 선발된 CEF 세포는 면역염색을 이용하여 3D8 scFv 유전자가 세포내에서 단백질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선발된 세포들의 항-바이러스 기능 검증은 GFP 유전자로 표 지된 재조합 NDV(Newcastle Disease Virus)를 세포에 직접 감염시키고, 세포내에서 발현 하 는 GFP의 발현량을 FACS를 이용하여 정량하는 방법으로 항-바이러스 기능을 조사하였다. 이들 가운데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형질전환 2계통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기능을 검증을 준비하고 있다.
        8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virus type 2)은 단일가닥 원형DNA바이러 스이며 돼지에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돼지이유자돈전신성소모성 증후군의 주요 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은 2개의 주요한 ORF를 가지고 있 으며 ORF1은 바이러스의 복제, ORF2는 캡시드단백질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 중, ORF2의 해독에 의해 생성된 캡시드단백질은 바이러스의 구조형성 뿐만 아니라 항 원단백질로써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큘러바이러스 다각체 단 백질과 부분 융합에 의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구조단백질의 재조합 발현을 확 인하였다. 발현된 단백질은 SDS-PAGE 상에서 분석하였고, 항-돼지 혈청, 항 -PCV2 ORF2 단일항체 그리고 히스텍 항체를 사용하여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 인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단백질은 재조합 바이러스 접종 후 2일째부터 발현이 나 타나며 4일째 최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각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한 바이러스는 비융합 바이러스보다 재조합 단백질 생산이 증대 되었으며, 이는 다각 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을 이용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구조단백질 ORF2의 발현 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8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핵다각체병바이러스 (Bombyx mori nucleopolyhedrovirus, BmNPV)는 나 비목 곤충을 감염시키는 대표적인 핵다각체병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이 바이러스 는 1970년대 말 증식이 가능한 배양세포계가 확립되고 유전공학의 발달에 의해 분 자유전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유전자 분석에 대한 연구 가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된 BmNPV-K1, K4, K5 strain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바이러스 간의 근연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BmNPV-K1의 전체 염기서열은 126,747 bp로 이루어져 있었고 131개의 open reading frame (ORF)를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BmNPV-K4와 K5 는 각각 128,618 bp, 127,554 bp로 이루어졌고 134개, 133개의 ORF를 가지는 것으 로 예측되었다. 대부분의 ORF는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나, 흥미롭게도 baculovirus repeated ORFs (bro) gene의 보유에 따라 전체 ORF의 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근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가까운 근연관계를 보였으나, BmNPV-K1, K4, K5는 같은 지질학적 위치나 곤충 기주를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 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전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흰불나방은 가로수에 커다란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2회 발생한다. 우리나라 곤충바이러스 연구는 1974년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에서 베큘로바이러스(baculovirus)를 분리하여 병원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면서 해충 종합적 방제를 위해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흰불나방 자연 사충으로부터 과립병바이러스(granulovirus)를 분리하고 바이러스 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게놈 분석을 시행하였다. 미국흰불나방 과립병바이러스 의 전체염기서열의 분석은 454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였고, 크기는 114.556bp 로 판명되었다. 또한 G+C 함량은 전체염기서열의 39.30 %를 차지하였 고, 130개의 open reading frame (ORF)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30개의 ORF 중 106개의 ORF가 기존에 보고된 베큘로바이러스와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기존에 전체염기서열이 분석된 다른 베큘로바이러스들과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과립병바이러스 중 씨자무늬거세미방나방 과립병바이러스와 근연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vian influenza (AI) and Newcastle disease (ND) distress a variety of avian species, especially domestic poultry. Severe syndromes are caused by highly virulent specific virus strains termed highly pathogenic AI and velogenic ND viruses, which are potential agrobioterrorism agents. This outbreak emphasizes the need for continuing cooperation between public health and veterinary medical communities in controlling AI and ND when it has a zoonotic potential. Up to date, the stamping out and burying system were applied for controlling methods against these highly infectious diseases in the ordinary way, however these methods had many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leachat and effluvium. Thus, we assessed that sterilization effect of AI and ND virus dependent on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autoclaving time and cutting types of chicke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cutting type of chicken meat revealed a reduced HA titer (20) against both of AI and ND virus after 10 min of autoclaving, while whole chicken showed same titer after 30 and 60 min.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conditions of treatment on infected chicken should be developed for convenient, affordable, and effective prevention methods against for AI and ND.
        4,000원
        9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bies is a zoonotic disease that causes severe destruction to the central nerve system which is usually fatal.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 around the world and particular in Asia because of the high costs of prevention and post-exposure treatment. After the recurrence of sylvatic rabies in 1993, the number of raccoon dog mediating rabies cases in Korea has maintained annually until 2011.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rabies epidemics in Korea, Korean rabies isolate (SKRBV0601GY) from Gyeonggi province in 2006 was compared with previous isolates in Korea and with isolates originating from the North-East Asia, such as Japan, China and Russia, based on complete nucleoprotein (N) gene sequences. By comparison of the N genes among these viruses, SKRBV0601GY revealed that nucleotide similarity ranged from 97.7 to 99.7%, 96.4 to 97.5%, 91.4 to 96.3%, 89.2 to 90% and 86.1 to 88.1% with Korean isolates, "Arctic-like-2" viruses, "Arctic" viruses, Russian group C - E and Chinese isolates,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solates revealed that the Korean isolate in 2006 belonged to Korean group B. The topology of the phylogenetic tree of Korean isolates related not the species and year of isolation but the geological location of the virus isolates. All of the Korean isolates showed close relationship to the "Arctic-like-2" virus (Russian group B) more than the "Arctic" virus (Russian group A) and all of the Chinese isolates (Chinese group A, B and C). The "Arctic-like-2" virus group contains the Japanese isolate and Russian group B viruses, originating from the south of East Siberia and Far East in Russia. These molecular data demonstrated that the current rabies epizootic in Korea developed independently of Chinese groups and originated from the "arctic-like-2" viruses in detail.
        4,000원
        9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uminant pestiviruses of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and border disease virus (BDV) are closely related to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and all belong to the genus of Pestiviruses. BVDV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al pathogen of cattle and has been recorded in most countries where cattle are raised. Natural host for BVDV is cattle, but BVDV is able to infect pig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for antibodies against BVDV in domestic pig farms in South Korea from 2009 to 2011. In this study, 2,755 pigs in 239 farms in South Korea's inland and 5,293 pigs in 613 farms in Jeju province (CSF free region) were investigated for antibodies against two pestiviruses, BVDV and CSFV by a virus neutralization test (VNT). The seroprevalence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on herd level against BVDV were 5.3 % and 21.2 % in South Korea's inland, 5.2 % and 6.5 % in Jeju province, respectively. Based on the ratio of respective antibody titers by the comparative VNT, 273 pigs in Jeju province with BVDV infection were detected and they were distinctly negative to CSF. It is recognized that porcine infections with BVDV naturally occurred in Jeju province. Whereas, antibody titers against BVDV of South Korea's inland were cross-reactivity with CSFV.
        4,000원
        9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rse popul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growth of the racing industry in Republic of Korea (ROK). Approximately 22,941 horses including native ponies were raised on 1,142 farms in 2006. Great care has been taken to prevent viral, bacterial and parasitic infections in horses. However, there has been few reports on equine infectious anemia (EIA) in ROK until recently since 1987. Therefore, we conducted a serological survey of EIA in ROK from 2007 through 2009. Using the agar gel immunodiffusion test, a total of 2,601 horses were tested in Foreign Animal Disease Division of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This survey found no serological evidence of EIA presence in ROK. Although our surveillance found no evidence of EIA in ROK during the surveillance period, it is possible that EIA could be introduced into ROK in the near future. Increase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other agencies, such as horse-racing authorities, is important for both the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veterinary and public health strategies.
        3,000원
        9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quine coital exanthema (ECE) caused by equine herpes virus type 3 (EHV-3) is a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which is resulted in the failure of mating, declination of horse productivity and finally economic loss in horse industry. In this thesis, diagnosis studies on ECE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a serological diagnosis method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ELISA has been developed to detect antibodies against EHV-3. Whole EHV-3 viruses were purified from cell culture and coated on ELISA plate, which successfully captured by anti-EHV-3 antibody in serum samples. The positive cut-off value of developed ELISA was 0.334 at OD405 using 15 negative control horse sera. The positive rate of 20 sera from ECE positive horses by PCR was 65% and the positive rate of 12 sera from ECE negative horses by PCR was 25%. The positive rate of 72 sera from horses showing clinical signs was 59.7% and the positive rate of 72 sera from horses showing no clinical signs was 13.9%. The correlation of serum positivity between broodmares and their sucklings was analysed using 12 pairs of cases (y=0.5418x—0.0158, R2= 0.4931). The data suggested that specific antibody against EHV-3 from broodmares might be transferred to their sucklings by nursing.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C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LISA were 65%, 81.8% respectively.
        4,000원
        9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opositivity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was measured by h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 (HI) on sera from 323 horses raised in Jeju.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was applied for the confirmation of its availability as a tool of detecting anti-JEV antibodies in horses. The positive rate scored 50.4%. The positive rat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ges. The highest peak was shown at October. And Jeju Ponies showed higher positivity compared to thoses of Thoroughbred horses. When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by HI and ELISA, there was slight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methods (r=0.7100). Besides, ELISA could discriminate between true and false positive sera by neutralizing serum specimen with JEV antigen.
        4,000원
        9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nine parvovirus (CPV) type 2a (CPV-2a)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the main genotype circulating in the dog population in South Korea. Although CPV vaccines protect domestic dogs from CPV-2 infection, the efficacy of commercial live or inactivated CPV vaccines against CPV-2a has not been reevaluated. In this study, dogs were immunized with one of 7 commercial CPV vaccines (4 modified live and 3 inactivated vaccines) followed by challenge with CPV-2a strain, KV0901 that had been isolated from naturally infected dog in 2009. All dogs vaccinated twice with 4 commercial modified live CPV vaccines were seroconverted (geometric mean HI titer > 190.2) and most of dogs were completely protected against virulent CPV-2a strain infection. The dogs inoculated with 3 commercial inactivated CPV vaccines were also seroconverted and showed a slight loss of appetite and light diarrhea for 4 days after challenge and returned to normal at 5 days post challenge. However, the non-vaccinated dogs revealed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CPV infection including haemorrhgic diarrhea. In conclusion, the 4 live CPV vaccines licensed in Korea cross-protected dogs against virulent challenge with CPV-2a and are applicalble to pet dogs for the prevention of CPV infection.
        4,000원
        9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약리반응속도론(Pharmacokinetics) 모델을 적용하여 최근 개발되고 있는 항바 이러스성 생화학 작물보호제의 정량적 약효 검정 및 작용기전 탐색 기술을 개발하 고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약리반응속도론적 파라미터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 고 사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를 식물체 또는 바이러스 매개충에 분무처리 하고 (매개충의 보독화 직후 약제처리 하고 시험 유묘에 충 접종) 경과 시간에 따 라 시험 유묘에서 바이러스의 발병율을 검정하면 약효에 따른 발병율을 무처리와 비교 가능하다. 이 때 시간에 따른 발병율의 회귀 곡선식에서 MVIT50 (바이러스 전달 후 감염율 50%에 도달하는 시간), MAT (Mean Antiviral Time = |MVITtreated- MVITcontrol|), AUG (Area Under Graph), 약효의 정량적 값인 F value (=AUGtreated/ AUGcontrol)를 얻을 수 있다. 애멸구에 의해 영속전염하는 벼줄무늬잎마름병바이러 스(Rice Stripe Virus, RSV)에 대하여 신규 개발된 2종의 항바이러스성 생화학 작 물보호제로 상기와 같이 약효 검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f(x)=a(1-exp(-bx))c의 회 귀곡선식이 얻어졌으며 무처리구에서 MVIT50이 1시간, MAT는 0, F value가 1.00으로 계산되었다. 이에 비해 시험 약제인 KNF2016은 MVIT50 5.75, MAT 4.75, F value 0.71, KNF2022는 MVIT50 5.55, MAT 4.55, F value 0.70으로 확인 되었다. 즉, 본 시험 약제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각각 F value로 0.29, 0.30의 항바이 러스 약효가 있었다. 1회 처리에 따른 약효 지속기간도 KNF2016이 13.4일, KNF2022가 14일 이상으로 검정되었다. 애멸구 보독충에는 약제처리를 안하고 시 험 유묘에만 경엽처리 후 보독충을 접종할 때, 보독충에서 바이러스는 검정되면서 항바이러스 효과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 시험 약제들을 처리한 벼를 애멸구가 흡즙하더라도 보독충 체내 바이러스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 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약리반응속도론 모델을 사용하면 항바이러스 작물 보호제의 정량적 약효 평가가 가능함과 동시에 약제의 작용기전 탐색에도 유용한 기술로 평가되었다.
        9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ung and lymph nod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786 pig farms associated with wasting and respiratory syndrome during 2005~2009. All samples were tested for the detec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and the differentiation of its genotype using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643 farms (81.8%) of the pig farms examined were positive for PRRSV, of which 57.2% accounted for PRRSV type 1 and 70.2% accounted for PRRSV type 2. Furthermore, 37.5% of the farms positive for PRRSV, showed the coexistence of two genotyp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RSV infections of single genotype or two genotypes are very common in Korean pig farms.
        4,000원
        10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Bunyaviridae과 Tospovirus 속의 대표 바이러스로서 고추, 토마토, 국화 등에 원형반점, 황화위축, 기형, 고사 등 심각한 피해를 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충남 예산의 파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된 후 점차 분포가 확산되어 2009년 충남, 전 남, 경남 등 23개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된 바 있다. TSWV를 매개하는 총채벌레는 세계적으로 꽃노랑총채벌레 등 6종이 알려져 있다. 온대지방에서 총채벌레에 의 한 바이러스의 확산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바이러스 매개충의 종류, 월 동여부 및 바이러스 보독정도를 해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8/2009년과 2009/2010 년 12월부터 3월까지 충남 예산에서 전년도 고추에 TSWV가 발병했던 휴경상태 의 무가온 비닐온실에서 월동하는 바이러스 매개충은 꽃노랑총채벌레와 파총채벌 레였으며 꽃노랑총채벌레가 압도적으로 많았다(98.7∼100%). 꽃노랑총채벌레의 월동태는 성충(암컷)이 대부분이었다(94.3∼100%). 꽃노랑총채벌레 월동 성충의 RT-PCR법에 의한 TSWV 보독정도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바이러스 검출율은 42.3∼63.6%로 매우 높았다. 바이러스 보독충이 서식하는 야생식물은 쇠별꽃, 지칭개, 소리쟁이, 망초, 별꽃 등 10종으로서 조사한 모든 초종에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 지역에서 매년 계속되는 TSWV 의 발생과 주변으로의 확산은 전년도 발병포장에서 월동한 꽃노랑총채벌레 보독 충이 중요한 원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