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8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MCP의 농도별 및 처리시간별 처리가 분화 심비디움 ‘Goldenbell’ 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개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100% 정상적으로 개화하였으나 낙화율은 처리 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1-MCP 0.168 mg·m-3 처리구는 무처리와 0.021mg·m-3 처리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에틸렌 발생량도 1-MCP를 120분간 0.168 mg·m-3 처리 시 무처리 1903.3 mL·h-1·kg-1에 비해 867.6 mL·h-1·kg-1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분화심비디움의 품질선도유지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active peptides function effectively with a minimal amount compared to proteins. Recently SPARC related modular calcium binding 1 (SMOC1) has been implicated in regulat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limb and eye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peptide covering 16 amino acids derived from the extracellular calcium binding (EC) domain of SMOC1, and its effects on proliferation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were examined. Treatment of SMOC1 peptide did not modulate proliferation of BMSCs. However, mineralization of BMSC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 dose dependent manner. Consistently expression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including type 1 collagen and osteocalcin was also dose dependently increas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tide derived from the EC domain of SMOC1 recapitulates at least partially osteogenic function of SMOC1.
        4,000원
        8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치광이풀 부정근으로부터 탈분화 및 재분화에 미치는 세포소기관의 형태 및 tropane alkaloids의 함량 변화를 TEM과 HPLC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Scopolamine and hyoscyamine 및 세포 소기관의 형태변화는 세포분화 및 탈분화 단계마다 차이를 보였다. 부정근은 배양 20일후에는 캘러스가 형성되었고, 배양 60일부터 줄기원기가 발생하였으며, 이후 완전한 줄기로 발달하였다. 부정근 정단부 조직을 TEM 분석 결과 핵, 액포, 전분체,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세포벽 등 다양한 세포소기관들이 형성되었으나, 배양 20일후부터는 소기관들이 적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분화가 시작되는 배양 40일 후 callus 세포에는 다수의 전분체 등 다양한 세포소기관들이 다시 관찰되었고, 배양 60일 이후에는 다시 전분립의 수가 감소하였다. 배양 80일째 세포는 전분립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등 다양한 세포소기관들이 다시 관찰되었다. 한편, scopolamine과 hyoscyamine 함량은 배양 60일부터 다소 증가하다가 이후 90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tropane alkaloid 생합성은 탈분화 및 분화 과정에 영향을 받으며, 세포 내 전분립 생성은 기관분화와 더불어 물질생합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Ji-suk. 2013. Study on the Semantic Divergence and Lexical Items of Ojingeo(Squid) in Fishing Village of Ulleungdo.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Ullenungdo's own linguistic uniqueness by way of the lexical items of Ojingeo whose old forms remain a lot for the fishermen who reside in Ullenungdo. And al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Ojingeo-related lexicons, the degree of the lexical productivity, and then the ethnographic quality of the lexical items of Ojingeo. Firstly, the superordinates referring to Ojingeo in Ullenungdo are ‘Ikka, Surume, Ojingeo, Pidungeokkolttugi, Jogi’. Just like this, the five names of the main categories are large in number in this area, which means that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Ojingeo is large and the cultural, social importance of fishes in the relevant area is great. In view of the fishermen's knowledge and the lexical productivity, it is found out that ‘Ikka’ and ‘Ojingeo’ are the word referring to the whole of Ojingeo and ‘Surume, Pidungeokkolttugi, Jogi’ are the word referring to the individual of Ojingeo. Secondly, the lexical items of Ojingeo were diversified into ‘Najojingeo, Dongsamojingeot, Taengchi, Jungchit, Tasaijji, Yoijjit, Tseonmangojingeot, Taljogi, Sutjogi’ by ‘size adult and young fishes, fishing period, fishing tool, color, male and female based on the subordinates ‘Ikka’ and ‘Ojingeo’. Fishermen group's own classification method, that is, private classification method is appeared productively in relation to the edible value, the work efficiency of fishermen,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It means that Ojingeo, the important ground of fishing activity, constructs the world of fishermen's experience, and is recognized, used as a genuine cultural mode. Thirdly, the catching period and season of Ojingeo much influenced the amount of catches, which influenced the fishing operations such as ‘Dongsamjigi, Chodeungbari’ and ‘Haechigi, Natchigi, Dalchigi, Saetbyeolchigi’. It is also related with the ethnographic quality and leads to the creation and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such as ‘To eat the red-bean gruel on the winter solstice means the sixty age(the last catch) of Ojingeo, The winter solstice is the sixty age of Ojingeo, Dojikgi, The first catch of Ojingeo can not be kept long.’ (332 words)
        6,900원
        8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은 역사시대에 다수의 분화 기록이 있으며, 2002년도에 불안정한 전조를 나타내었다. 지질조사 결과 백두산에서는 플리니안 분화로 인하여 강하화산재 발생 후 분연주의 붕괴로 화쇄류가 발생한 것이 인지되므로, 특정 분화구로부터 소규모 분화에 의한 화쇄류의 영향 범위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화산폭발지수(VEI) 3 이하의 분화가 발생하여 분연주의 붕괴에 의하여 화쇄류가 발생하면 칼데라 외륜산으로부터 백두산 사면을 따라 최대 7 km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칼데라 내의 분화구에 의한 분연주 발생 시 대부분이 칼데라 내부에 퇴적되거나, 흘러넘칠 경우에는 주로 북쪽 이도백하 상류 계곡에 두껍게 퇴적될 것으로 파악된다.
        4,200원
        86.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은 정상부에 천지가 존재하는 잠재적인 활화산으로 최근 화산활동 분화와 관련된 화산이류 발생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정상부의 칼데라 호수 지점의 분화를 가정한 화산이류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LAHARZ를 적용한 본 연구는 다른 해상도의 수치지형모형을 구동모형의 매개변수를 변화시키며 분화로 야기된 다양한 상황의 화산이류 발생 영향을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민감도 해석은 움푹 패인 곳(sink)을 정의하는 한계치와 수치지형모형의 해상도가 화산이류의 모델링 결과에 주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하천격자의 도출을 위한 한계치와 수치모형의 해상도는 하천격자의 공간적 분포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LAHARZ가 가지고 있는 문제가 흐름 발생 알고리즘 자체의 한계에 기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이한 수치지형 모형의 해상도가 화산이류의 최종 모델링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4,000원
        87.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백두산의 재분화 문제가 하나의 중요한 지구과학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백두산과 같이 대규모 칼데라 호수를 갖고 있는 화산의 폭발은 단순히 화산분출뿐만 아니라 칼테라 호수에 저장된 물의 유출로 인해 큰 재해를 유발할 수 있어 연구가 필요하다. 대형 화산성 홍수는 모든 종류의 인공 구조물을 파괴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유속이 100 km hr-1에 달하며, 도달거리가 수 백 km까지 이르기 때문에 치명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의 최종목표는 백두산의 지질과 지반 조건에서 분화 시 예상되는 화산성 홍수의 피해를 예측하는 것이다. 하나의 사전 연구로서 백두산 화산이 분출되면서 천지에 저장된 물이 방류될 경우를 가정한 유량곡선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시나리오 별(림 붕괴, 단순융기, 림 붕괴와 융기의 조합, 강우형성 등)로 시간의 함수로서 유량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백두산 천지 유출 모형을 전개하였다. 천지에서 마그마 융기와 림 붕괴가 동시에 발생하면 최고 유량이 25,000 m3s-1에 이르러 백두산 천지의 화산홍수가 주변 지역에 심각한 자연재해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물이 방류되는 순간유량곡선에 치중하였으며 천지 유량 방출 후 하류 하천 하도 추적은 다루지 않았다.
        4,800원
        88.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 분화의 분출물은 북쪽으로 송화강, 동쪽과 서쪽으로 두만강과 압록강 하구에서 발견되고 있다. 즉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와 같이 흐름에 수반된 화산물질의 영향범위는 천지를 중심으로 반경 400 km의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약 1,000년 전 분화 때와는 달리 천지칼데라호의 20억 톤보다 저수량이 큰 담수저장시설이 건설되어 화산분화 시 예상되는 유체의 흐름은 직간접적으로 인공적인 구조물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연구는 백두산 화산분화 시 예상되는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의 수치해석 및 지형자료 분석을 통해 유체의 흐름방향을 산정하고 백두산 일원의 댐과 인공호수의 저수용량에 따른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의 피해범위를 파악하였다. 분출 초기에 급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화쇄류는 산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평탄지까지 영향을 미치며, 천지호의 유출에 의한 화산이류는 주요 하천까지 도달할 수 있다. 화산성홍수의 경우 현존하는 인공적인 담수 저장시설물들로 인하여 천지칼데라호의 담수 유출에 의한 피해 범위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89.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 화산에서 분화한 것으로 평가되는 역사시대 분화사건을 문헌에서 발굴하여 화산학적 해석을 하였다. 밀레니엄 대분화로부터 31건 이상의 화산 분화사건을 발굴하였으며, 대부분 화산재를 분화하여 인근 지역으로 확산시키면서 강하화산재를 발생시킨 플리니안 분화 사건이 많았다. 1903년의 기록은 천지 내에서의 수증기마그마성 분화 또는 불카니안 분화에 의한 기록이었다. 역사시대의 분화 기록과 2002년에 나타난 화산 분화 전조현상 등으로부터 백두산은 잠재적인 분화가능성을 가진 활화산으로 평가된다.
        4,600원
        9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규소는 식물의 필수원소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곤충, 병원균, 건조, 중금속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작물의 품질과 수량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저면관수, 엽면살포, 저면관수 + 엽면살포 법으로 두 가지 규산염(K2SiO3, Na2SiO3) 처리가 분화장미 저 항성인 ‘Apollo’와 민감성인 ‘Remata’의 생장과 흰가루병 발생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 재료는 장미 농가에서 재배 한 것으로 1차 적심이 완료된 분화 장미를 사용하였다. 정식 후 두 가지 규산염(K2SiO3, Na2SiO3)을 0, 50, 100mg • L-1 Si 의 농도로 엽면살포 또는 저면관수로 처리하였다. 재배 중의 EC는 1.6-1.8mS •cm-1로, pH는 5.8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공 급양액과 공급량을 조절하였다. 환경제어가 가능한 온실에서 식물 을 재배하였고 흰가루병의 감염은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졌다. 엽 면살포와 저면관수로 규소를 공급시 식물의 초장이 감소하였다. ‘Remata’ 품종에서 K2SiO3 100mg • L-1를 엽면살포로 공급한 처리에서 대조구(K2SiO3 0mg • L-1)에 비해 흰가루병의 발생이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규소를 처리한 것에서 대조구에 비해 흰 가루병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엽면살포법으로 K2SiO3를 공급하면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9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백둥근바위솔을 분화로 개발하고 실내식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를 자료를 얻기 위해, 광도와 분용토 그리고 시비조건이 태 백둥근바위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적정 광도를 알아보기 위해 광도를 52, 82, 90, 97%로 차광을 하고 태백둥근바위솔을 재배한 결과, 차광율이 낮 을수록 생육이 좋고 차광율이 높을수록 생육이 현저하게 떨어졌 다. 그러나 생존율은 97% 차광구에서도 100%나 되어 태백둥 근바위솔은 내음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정 분용 토 선발을 위하여 마사토 : 유비상토(80 : 20, v/v), 마사토 : 유비 상토(60 : 40, v/v), 유비상토 : 강모래(20 : 80, v/v), 마사토 :유 비상토 : 강모래(60:20:20, v/v/v)와 같이 4종류의 배합토를 이용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배양토에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 지 않아, 태백바위솔은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였다. 적정 시비조건을 찾기 위해 Hyponex 액비를 1,000배 또는 2,000배로 희석하여 1회/1주, 또는 1회/2주로 처리했을 때, 1회/1주 처리구에서 생체중 및 초장과 초폭에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000원
        9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제경영과 마케팅 분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주요 신흥시장인 중국의 소비자 선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기존 국제경영 분야의 연구에서 중국 소비자의 성향을 단일시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지역적 특성에 의한 차이가 중국시장에 진입하는 기업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향후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중국의 자동차 시장을 선정하여 인터넷 포럼에 반영된 소형 자동차에 대한 구매의사가 있는 소비자들의 선호구조를 hedonic/utilitarian, cognitive/experiential, independent/interdependent 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내용분석기법 (content analysis) 으로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구조와 소비성향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시장에 진출하는 다국적 기업의 전략수립에 있어서 현지시장과 소비자의 선호구조가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5,800원
        9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veratrol (RV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individually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The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RVT and EGCG, resulting in enhance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RVT and EGCG individually at 6.25 or 25μM (RVT6.25 or RVT25) and 12.5 or 50μM (EGCG12.5 or EGCG50) and in combination (RVT6.25 + EGCG12.5 and RVT25 + EGCG50). RVT25 as an individual compound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by 24%, and RVT25 + EGCG50 further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by 77%. In addition, exposure of 3T3-L1 adipocytes to RVT6.25 + EGCG12.5 and RVT25 + EGCG50 combinations resulted in an enhanced increase of adiponectin release and inhibition of leptin release.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bination of tested materials (RVT6.25 + EGCG12.5 and RVT25 + EGCG50)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C/EBPα, PPARγ2, and aP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ed treatments with RVT and EGCG produce synergistic effects on inhibiting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The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bining RVT and EGCG might be more capable of exerting antiobesity effects than each individual compound by itself.
        4,000원
        9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거베라의 채종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Ge- 10-47’(S4) 등 2계통에 대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15일 간격으로 자가수분을 실시하였고, ‘Ge-10-47’ 등 5계통 에 대하여 자가 수분, 형매 교배 및 타가수분 등의 교 배 방법에 따른 결실화율 및 결실화 당 종자 수를 조 사하였다. 교배시기별로는 주간 25 ± 3οC/야간 15 ± 3οC 가 유지되는 4-5월과 9-10월은 결실화율은 80% 이상이 고, 결실화 당 종자 수는 20개에서 70개로 다른 시기 보다 월등히 많았으나 겨울(11-2월) 및 여름(6-8월)에는 수정이 거의 안 되거나 낮게 나타났다. 교배 방법에 따 른 결실화율은 자가수분이 58.2%, 형매 교배는 70.8%, 타가수분은 77.5%이었다. 결실화 당 종자수도 자가수분 이 14.1개, 형매 교배가 19.0개, 타가수분은 22.7개를 나타냈다. 형매 교배 및 타가수분의 결실율이 자가수분 보다 높고, 결실화 당 채종립도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교배 횟수는 2회가 알맞았고, 계통의 세대가 진전될수록 결실화율 및 결실화 당 종자 수는 현저히 적었다.
        4,000원
        96.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extensiv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the field of orthopedic medicine to develop cell-based therapies for the restoration of injured bone tissue. But there has been rarely reported about rehabilitaton of oral and maxillofacial bone defect using self-derived osteoblasts. Normal human osteoblast cell(NHost) was previously established into marrow-derived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for their capacity to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to osteoblasts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Hosts effected by growth factors with ALP activity and RT-PCR. After NHosts were cultured under basal and osteogenic medium at 37℃ and 5% CO2, they were analyzed by ALP activity and RT-PCR. BMP-2 under osteogenic medium decreased growth rate of NHosts compared to under osteogenic medium. BMP-2 under osteogenic medium induce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 NHosts by increased ALP activity. The differentiating capacity of NHosts under osteogenic medium showed that NHosts expressed higher mRNA expression levels of OSX and OCN, while that of RUNX2 decreased after BMP-2 treatment. It suggested that NHosts having characteristics of osteoprecursor cells might be more advanced in their osteogenesis development by BMP-2, making NHosts an interesting biological tool for treatment of skeletal defects and diseases of oral and maxillofacial bone.
        4,000원
        9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ynovial tissues are a valuable MSCs source fo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because these cells are easily obtainable by the intra-articular biopsy during diagnosis.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 canine MSCs derived from synovial fluid of female and male donors. Synovial fluid was flushed with saline solution from pre and post-puberty male (cM1-sMSC and cM2-sMSC) and female (cF1-sMSC and cF2-sMSC) dogs, and cell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advanced-DMEM (A-DMEM) supplemented with 10% FBS in a humidified 5% atmosphere at . The cells were evaluated for the expression of the early transcriptional factors, such as Oct3/4, Nanog and Sox2 by RT-PCR. The cells were induced under conditions conductive for adipogenic, osteogenic, and chondrogenic lineages, then evaluated by specific staining (Oil red O, von Kossa, and Alcian Blue staining, respectively) and analyzed for lineage specific markers by RT-PCR. All cell types were positive for alkaline phosphatase (AP) activity and early transcriptional factors (Oct3/4 and Sox2) were also positively detected. However, Nanog were not positively detected in all cells. Further, these MSCs were observed to differentiate into mesenchymal lineages, such as adipocytes (Oil red O staining), osteocytes (von Kossa staining), and chondrocytes (Alcian Blue staining) by cell specific staining. Lineage-specific genes (osteocyte; osteonectin and Runx2, adipocytes; PRAR-, FABP and LEP, and chondrocytes; collagen type-2 and Sox9) were also detected in all cell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established synovial fluid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rom female and male dogs, and determined their basic biological properties and differentiation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ynovial fluid is a valuable stem cell source for cartilage regeneration therapy, and it is easily accessible from osteoarthritic knee.
        4,000원
        9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잉어목(Cypriniformes) 황어아과(Leuciscinae)의 황어(Tribolodon hakonensis)는 회유성 어류로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보내고 산란기인 3월 중순경부터 물이 맑은 하천으로 소상하여 자갈이나 모랫바닥에 집단으로 알을 낳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5개의 microsatellite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단편화된 하천에서 황어 집단 간 유전자 흐름과 다양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강원도 삼척 오십천은 여러 대형 보에 의해 부분적으로 단편화되어 있는 중형 하천으로, 본 연구에서 하류지역과 대형 보를 여러 번 지나야 다다를 수 있는 상류지역에서 채집한 황어 개체들의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전자 분석 결과 상, 하류 집단들은 많은 대립인자를 공유하지만 그 빈도에 있어 다소 큰 차이를 보였다. 상류와 하류 간 유전적 분화(FST)는 0.083 정도로 두 집단 간에는 제한된 유전적 흐름만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상류집단이 유전적으로 고립이 되어 있지만 뚜렷한 유전적 다양성의 감소나 집단의 크기 감소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양상을 개체 수준에서 증명하기 위해 Bayesian 통계를 이용, 집단의 유전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삼척 오십천 개체들은 2개의 유전적 cluster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류 집단 개체들은 모두 cluster 1에 해당하는 등 단일하게 나타났으나 하류 집단 개체 중 65 % 정도가 cluster 2에 그리고 나머지 개체들은 cluster 1에 해당하는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두 집단은 유전적으로 분화되어 있고, 상류의 집단이 하류에 흘러들어가는 경우는 있지만 하류로부터 유전적 공급은 거의 전무한 형태로 볼 수 있고, 인위적 구조물들이 이러한 집단 구조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향후 황어 집단의 보전 정책 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9.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Ji-suk. 2012. A Study on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of the Myeongtae's Lexical Items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er.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149-184.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of the Myeongtae's lexical items by way of the vocabularies and expressions related to Myeongtae which vari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spect of performer. And also,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lexical semantic network of Myeongta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inquiry. The superordinates referring to Myeongtae were 'Myeongtae, Maengtae' in both the fishing villages and the Deokjang. However, the subordinates of Myeongtae varied according to the performer's cognitive viewpoints. The fishermen expressed Myeongtae into ‘Jibangtae, Daetae, Saegogi, Naksitae, Moktae’ according to distance, size, condition, fishing tools, characteristics. Unlike the fishermen, the workers in Deokjang expressed Myeongtae into another subordinates. In Deokjang, ‘Daetae, Jungtae, Sotae’ were used according to the size as in the fishing villages. However, ‘-tong, -tongbaegi’ were used more universally in Deokjang. Additionally, ‘Jjintae, Norangtae, Naktae’ were used according to condition, color, characteristics, which means another aspect of diversification appeared. Surely, this aspect of diversification is very relevant with the Deokjang workers'environmental factors. It is certain that several classification mechanisms were performed for the name of one object. By way of the performer's cognitive way,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the vocabulary was able to be drawn. The ‘distance, fishing tools’ for the fishermen and the ‘-tong, -tongbaegi’ for the Deokjang workers were functioned as the first mechanism, and then various lexical items wer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hich carried out a practical vocabulary research, it is found out that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the performer's cognition influence on even the lexical items. Also this study examines out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the Myeongtae's lexical item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is helpful for recognizing everyday vocabularies about Myeongtae which have lived with our people and history for a long time, and also for recording everyday vocabularies of fishing villages which is in danger of extinction.
        8,400원
        10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지질학적 분화 강도에 따른 백두산 화산분출물의 확산 특성과 이들 분출물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기역학모형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와 확산모형 FLEXPART를 이용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일은 화산재 유입이 예상되는 2010년 10월 21일의 종관장이며, 방출 후 48시간 동안 화산재의 이동을 분석하였다. 백두산 분화 후 한반도에 유입되는 강하화산재의 크기는 0.05 mm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큰 입자는 확산에 의한 이동이 작기 때문에 유입가능성이 크지 않았다. 분화강도에 따른 화산재의 이동 특성을 보면, 분화강도 차이에 따른 입자의 분포도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수밀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한반도 내 도시별 화산재의 침적량 분석에서 화산재가 기류를 타고 동해에서 유입되고 태백산맥의 차폐효과에 의하여 한반도 동쪽에 위치한 강릉, 부산의 침적량이 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지역별 침적량은 일시에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