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8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생활 시설 내 정신지체 장애인의 직업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200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매주 1회씩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총 46회 실시하였다. 손기능 평가 결과 후반기로 갈수록 손기능이 향상되었다. 직업기술 평가 결과 신체능력과 직업행동 항목에서 꾸준히 향상되었다. 적응행동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회화 항목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반복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장애인의 직업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앞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8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생활시설에 수용된 정신지체 장애인의 사회성과 위축을 중심으로 한 적응행동과 자기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06년 8월2일부터 2006년 12월27일까지 주1회 총 22회 실시하였다. 적응행동 평가 전체결과 사회화(p<0.01)와 위축(p<0.05)에서 유의한 의미를 보였다. 자기감정표현 평가 결과 유의한 차는 보이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은 향상되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결과물에 대한 성취감과 선물의 시간을 가지고 주고받음으로써 사회성과 위축에 변화를 가져다 준 것으로 판단된다.
        84.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통합장면에서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고등부 학생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부산광역시 동래원예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장애학생 10명과 비 장애학생 10명을 통합하여 방과 후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시 기간은 2004년 4월 6일부터 6월 22일까지 매주 1회씩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실시 전과 후에 원예치료 그룹활동 평가, 숙련도 평가, 원예활동 평가를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 그룹활동 평가에서 사회적 교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숙련도 평가에서는 능률성과 숙련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원예활동 평가에서는 9가지 영역 중 참여성과 대인관계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통합장면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사회적 교류와 참여성 그리고 대인관계능력이 향상되어 통합장면에서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 며 능률성 및 숙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장기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85.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섬지역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사회심리와 정서순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남 목포시 고하도에 위치한 공생재활원의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12명의 대조군과 12명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군에 3월 8일부터 10월 25일 까지 주 1회 총 34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시 전과 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사회심리적․정서적 행동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에 있어서 실험군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평균 0.90점 높아졌으나, 대조군은 0.08점이 낮아졌다. 정서적 행동특성은 대조군의 경우 평균 0.16점이 높아졌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평균 0.88점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섬지역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사회심리적 행동을 개선시키고, 정서적 행동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86.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유사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는 이송-확산 방정식이나 이 방정식을 간략화한 식들이 이용된다 이 방정식은 여러 가지 가정하에서 유도되었으나, 이러한 가정에 대해서는 심도있는 검토가 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 그 이유는 난류의 측정 자체가 매우 힘들며, 유사가 혼합된 흐름의 경우 물과 유사의 속도를 구별해서 측정하기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입자 영상 유속계(PIV, Particle Image Velocimeoy)의 일종인 입자 추적 유속계(PTV, P
        87.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dexterity and adaptive behavior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y be opportunities to improve physical integration, coordination, and dexterity, resolve anxiety and stress and set up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making a better human life. Also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of vocaitonal rehabilitation. To perform the study, the subjects consisted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the B School, Bucheon. Maximizing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programs were applied to them for 44 sessions, 3 sessions per week and 50 to 60 minutes each session and limited to smal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urdue pegboard test, adaptive behavior scale, and psychos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 to determine their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Based on results form the test and analysis, the research could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physical dexterity, especially both hands and assemble. Also,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benefit to eleva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adaptive ability, especially psychoscial behavior. In summar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improved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for occupational adaptive skill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horticultural field is expected.
        88.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하천으로부터 홍수유출을 추정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들 중의 하나는 지체시간이다. 지체 시간은 집수형상디스크립터로 표현될 수 있는 유역의 형태적 특성의 영향아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개념을 유역 출구에 대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GIUH)의 지체시간 산정에 적용한다. 강우-유출 관측 자료에 대한 지체시간은 Nash(1957)가 제안한 적률법을
        89.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폐플라스틱 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예치료 활동을 통해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주의집중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경남 거제도에 위치한 애광원에 거주하는 정신지체장애인 11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2004년 3월 15일부터 6월 28일까지 매주 1회씩 실시하였으며 1회당 시간은 2시간으로 하였다. 대상자 11명의 치료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적응행동 검사, 원예치료 그룹 활동평가, 원예활동평가를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행동 검사에서는 제1부 및 제2부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제1부의 자기 관리. 제2부의 발성 습관은 원예치료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원예치료 그룹 활동 평가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이동성, 신체/지각적 능력, 사회적 교류, 인식능력, 감정상태, 직업적 관심 항목에서는 매우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원예활동 평가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관심 및 조력성, 언어 소통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지각 능력, 숙련도와 직업적 능력에서는 매우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주의집중은 향상되었으나 적응행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프로그램 선정 시 적응 행동 향상을 위한 반복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향상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이러한 결과들에도 불구하고 주 1회 실시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기간의 장기화로 인하여 변인의 통제가 어려웠고 대상자의 수가 적어서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정신지체장애인의 요구와 흥미를 파악하여 다양한 내용으로 원예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정신지체장애인의 주의집중 및 적응행동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90.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oussa(2003)에 의하여 개발된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에 대한 소개 및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두 디스크립터 a+b, a+b+과 지체시간 사이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를 Nash 모형 매개변수들의 대표치 산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강 수계의 평창강 유역, 금강 수계의 보청천 유역 그리고 낙동강 수계의 위천 유역들에 각각 이 디스크립터특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두
        92.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 치료프로그램 종결 이후에 정신지체 장애인이 자조모임을 구성하는 것에 있으며, 의도적인 집단원예 활동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치료를 경험하게 하고,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가지도록 지원하며 자조모임을 형성하여 직업개발과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기 간은 2003년 1월 4일부터 2003년 5월 27일까지였으며 모집기간 중에 선발된 정신지체장애인 10명 중 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의 사랑과 나눔의 재활공동체인 자조모임형성을 목표로 설계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서,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접촉, 시행단계의 원예활동(2단계)과 자조모임을 위한 원예활동(1단계)을 적절히 배치하였으며 ,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원예에 대한 기초 조사표,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자아존중간척도(Self-Esteem Scale), 원예치료평가표, 클라이언트 만족도, 자체 설문지를 치료 전, 후로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에 대한 기초조사표 평가결과 원예에 대해 꽃가꾸기를 좋아하고, 원예 활동 중 마음이 평 화롭고 편안하다고 대답하였다. 선호하는 색깔은 파란색, 분홍, 노란, 흰색이었고 선호하는 꽃은 장미, 국화, 진달래, 백합 순으로 답하였으며, 채소는 무, 상추와 시금치, 배추 순이었고 과일은 배, 사과, 감과 밀감 순으로 조사되었다.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해 본적이 있거나 해 보고 싶다고 답을 했다 특히 정원수, 자생식물, 허브, 화단, 정원 가꾸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원예활동이 주는 정신적 안정을 느끼고, 기능의 재활이나 회복, 취미 생활로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사전사후검사로 실시 한 자아존중감(Self-Esteem Scale)평가결과는 대상자 6명 모두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 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원예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심고 가꾸는 것을 통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게 되고, 실시한 성과물을 집에 가지고 가게 함으로써 정신지체장애인의 자아 존중 감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된다 사후검사로 실시한 클라이언트 만족도 척도의 평가한 결과 대부분이 정신지체장애인이 본 프로그램에 상당한 만족 도를 보였다. 원예 치료평가표 결과는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운동지각능력에서 모두에서 증가를 보였고 그 중 참가성 ,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 볼 때 의도적인 원예치료활동을 통해서 심신의 치료를 경험하∞I 자존감이 향상되며 회원 상호관계를 통한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목표에 대한 높은 달성정도를 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이고 흥미를 유발하는 원예치 료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심리적, 신체적, 정서적 치료효과가 높은 향상을 보이고 자신감과 성취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한계점은 원예치료사와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주도성의 일부를 성원들에게 이전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집단내 성원을 리더로 세우고 권한부여를 통한 독립적인 자조모임을 이끌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는 조력자로, 원예치료사는 프로그램 진행 자로서 역할을 축소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리더를 세우기 위한 시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참여자의 대부분이 선천적장애인이었고 선천적장애인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대부분이 적극성과 주도성에 제한되었음을 고려하지 못하고 기간 내에 목적을 수행 하고자 했던 것이 부정 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다. 성공적인 자조모임의 모형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과 동시에 집단지도자는 장기적..
        94.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호교차로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신호조건 능 방대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용량분석을 시행하고 이 과정을 토대로 주요 효과척도인 지체를 산정하여 신호교차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용량 및 서비스 수준 결정에 있어 바탕이 되는 현장 데이터(회전 교통량, 도로의 기하구조, 신호시간, 접근로 구배, 중차량비, 첨두시간계수, 차량도착형태 등)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의 오류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추정된 용량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교차로 접근로의 교통량과 중차량 비율 및 도로의 기하구조 등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이 용량해석과 서비스수준 결정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보고 이틀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9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연령증가에 따른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자세제어를 EquiTest를 이용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3개 연령에(9-10, 14, 18세) 총 60명의 학생(정신지체 30, 일반학생 30)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경도 정신지체학생은 정신지체이외의 운동학적 신경학적 장애가 없었고 부모의 동의를 받고 연구에 참여하였다. Posturograpy(EquiTest)를 통해 조사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지체를 지닌 학생은 모든 조건과 종합평형점수에서 일반학생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아울러 높은 가변성과 넘어짐을 보였다. 감각구성에서 시각과 시각간섭을 일반학생에 비해 바람직하게 해석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동작전략 면에서도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일반아에 비해 연령변화에 대한 차이와 특직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정신지체 학생들은 선별적인 간섭에서 낮은 점수와 높은 가변성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정신지체 학생의 자세제어는 일반학생에 비해 가변성과 선별적인 간섭에서 그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감각정보의 사용을 충분히 하지 못하거나 부적당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장애학생의 인지적, 심리적, 또는 과제 이해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자세제어 차이가 고려되어져야 한다.
        9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공 방어용으로 건설된 평화의 댐은 화천댐과 연계되어 있고 배수 터널과 함께 1단계 준공 상태로서 화천댐 상류에 위치하여 댐 하류에 홍수지체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평화의 댐의 활용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화천댐 시스템 조작을 수행하여 평화의 댐 홍수조절효과와 화천댐의 홍수기 제한수위 등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화천댐 계통의 이수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저수지 조작 기준과 모형을 설정한 다음
        100.
        200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freeway is experiencing a severe congestion with incoming or outgoing traffic through freeway ramps during the peak period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nd finally construct the delay predictive models on the rap junctions of freeway with 70mph speed limit. From the traffic analyses, and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for delay prediction on the ramp junctions of freewa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ⅰ) Traffic flow showed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periods. Especially, more traffic flows were concentrated on the freeway junctions in the morning peak period. ⅱ) The occupancy also showed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periods, and the downstream occupancy(Od) was especially shown to have a higher explanatory power for the delay predictive model construction on the ramp junctions of freeway. ⅲ) The delay-occupancy curve showed a remarkable shift based on the occupancies observed : Od/〈9% and Od/≥9%. Especially, volume and occupancy were shown to be highly explanatory for delay prediction on the ramp junctions of freeway under Od/≥9%, but lowly for delay prediction on the ramp junctions of freeway under Od/〈9%. Rather, the driver characteristics or transportation conditions around the freeway were thought to be a little higher explanatory for the delay prediction under Od/〈9%. ⅳ) Integrated delay predictive models showed a higher explanatory power in the morning peak period, but a lower explanatory power in the non-peak period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