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8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interest in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is mainly due to its effect on human health.Exposure to outdoor PM is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adverse health effects. Indoor air contains a complexmixture of bioaerosols such as bacteria, fungi and allergens. Children are known to be more susceptible tothe exposures of PM and bioaerosols which are represented by airborne bacteria, fungi, and allergens. Thisstudy is to assess concentrations of the atmospheric PM and bioaerosols indoors and outdoors at 15 daycarecenters for children located in Seoul. Particles were measured indoors and outdoors with automatic particlemonitoring using beta radiation absorption.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sampled by Anderson sampler.Analysis shows that average indoor PM10 was 95.7µg/m³ (SD 26.6µg/m³) and average level of airbornebacteria and fungi were 575.0CFU/m³ (SD 431.6CFU/m³) and 77.9CFU/m³ (SD 45.6CFU/m³), respectively.Finally, efficient ventilation and effective air cleaning strategies are necessary to reduce indoor concentrationsof particles and bioaerosols.
        4,000원
        8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cterial contamination on elapsed time after preservation on boar semen. Known numbers of Escherichia coli (E. coli) were inoculated to freshly ejaculated semen and sperm parameters such as viability, motility, agglutination, acrosome integrity and hypo-osmotic swelling test were perform-ed during 7 days of liquid preservation. Semen samples were prepared using antibiotic free BTS extender and 4 di-fferent levels of E. coli were treated to semen with following concentrations; 3,000, 5,000, 7,000, 10,000 CFU/ml of sperms. Semen samples were preserved at 17℃ for 7 days in semen storage until analyzed. Aliquots were subjected to measure the sperm viability, motility and agglutination using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 (CASA) system, acrosome integrity was performed using chlortetracycline (CTC) staining method and hypo-osmotic swelling test was performed using hypotonic solution from day 1 (day of semen collection) to 7. Detrimental effects on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were observed 3 days after preservation at the level of 5,000 CFU/ml (p<0.05). Percentage of sperm abnor-mality was higher (p<0.05) in over 5,000 CFU/ml groups. Sperm agglutination rat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p< 0.05) in groups of 5,000 and 7,000 CFU/ml. The rate of acrosome reacted sperm was higher as preservation time goes in all the samples but the pattern was clearly higher among E. coli contaminated groups (p<0.05). The sperm mem-brane integrity in terms of hypo-osmotic test, E. coli affects little compared to other sperm parameters. The deleterious effects observed due to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semen suggest that importance of hygiene protocol to minimize the bacterial contamination during semen collection and processing.
        4,000원
        8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젖소 4두에 대하여 제1위체류형 센서(Indwelling probe)를 정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아급성제1위과산증 (SARA)의 강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pH가 혈 중 내독소 (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섬유성탄수화물(Non-fiber carbohydrates, NFC)을 기준으로 적정 수준의 NFC를 포함하고 있는 정상 사료군(Normal diet, ND)과, 아급성제1위과산증 (Subacute ruminal acidosis, SARA) 유발가능 사료군(Acidogenic diet, AD)의 2개 처리구에 각 2두씩 배치하여 Cross-over 설계로 사양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제1위체류형 센서는 장시간에 걸친 제1위 내 pH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효과적 이었다. 얻어진 결과에서 AD 급여는 반추위내용물의 pH를 낮추는 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반추위 내 pH의 저하 는 혈 중 LPS의 농도가 증가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따라서 혈 중 LPS 농도는 급성 또는 만성형을 불문하 고 과산증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착유우용 사료첨가물로 많이 이용되는 소디움벤 토나이트(NaB)와 프로필렌글리콜(PG)의 급여는 반추위 내 pH의 저하를 완충시켜 궁극적으로 SARA의 강도를 완화시 키고 혈 중 Lipopolysaccharides (LPS) 농도의 증가를 줄여 줌으로써 내독소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제엽염 등의 부작 용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료의 종류 및 농도가 청축면 및 적축면 상추의 생장과 근권부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산성 (AF), 중성(NF) 및 알칼리성(BF)의 세 종류 비료 처리용액을 만들고, 각각 질소 기준 100 또는 200mg · L−1로 농도를 조절하여 시비하면서 근권부 화학성 변화와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청축면 상추의 정식 10주 후 생장에서 AF를 시비한 처리보다 BF를 시비한 처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웠고, BF를 200mg · L−1로 시비한 처리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적축면 상추도 BF 시비구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고, NF 및 AF 순으로 저조해지는 경향이었으며 각각의 비료를 200mg · L−1으로 시비한 처리들보다 100mg · L−1으로 시비한 처리들 의 생장이 우수하였다. 토양 pH는 정식 6주 후부터 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정식 10주 후 농도를 200mg · L−1으로 조절한 처리가 100mg · L−1 처리 보다 AF 시비구는 pH가 더욱 낮았고 BF 시비구는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두 종류의 상추를 재배하면서 세 종류 비료의 농도를 200mg · L−1으로 조절한 처리들의 EC가 100mg · L−1보다 약 0.2~0.4dS · m−1 더 높았다. 산성비료를 시비한 처리들은 토양용액의 NH4-N 농도가 높았고, 알칼리 비료를 시비한 처리들은 Ca과 Mg 농도가 높았다. AF 시비구에 비해 BF 시비구의 토양 NO3- N 농도가 높았으며, PO4 −3 농도는 AF, NF 및 BF 시비구 순으로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토양용액의 무기이온 농도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비료의 조성과 근권부 pH 변화에 기인한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4,000원
        8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MIS) is a member of the 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family whose members play key roles in development, suppression of tumour growth, and feedback control of the pituitary-gonadal hormone axis. MIS is expressed in a highly tissue-specific manner in which it is restricted to male Sertoli cells and female granulose cells. The serum levels of MIS in prenatal and postnatal ICR mice were measured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lvent assay (ELISA) using the MIS/AMH antibody. Mice were grouped by age: the significant periods were at the onset of development. During sex organ differentiation,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foetus MIS serum levels (both<0.1 ng/ml) was observed. However, MIS serum levels in pregnant mice markedly changed (4.5~12.2 ng/ml). After birth, postnatal female and male mice serum MIS levels changed considerably (male: <0.1~138.5 ng/ml, female: 5.3~103.4 ng/ml), and the changing phase were diametrically opposed (male: decreasing, female: fluctuat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S may have strong associations with not only develop- ment but also puberty. For further studies, establishing the standard MIS serum levels is of importance. Our study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MIS interactions with reproductive organ disability, cancer, and the effect of other hormone or menopause. We hypothesise that if MIS is regularly injected into middle-age women, meno- pause will be delayed. We detected that serum MIS concentration curves change with age. The changing phase is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this difference is significant after birth. Moreover, MIS mRNA is expressed during the developmental period (prenatal) and also in the postnatal period.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I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al stage and in growth after birth.
        4,000원
        86.
        2013.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field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door concentrations of 22 odorous compounds, which are regulated by the domestic act, emitted from poultry buildings through on-site visit per month from July, 2011 to June, 2012. Of 22 odorous compound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found in ammonia with ppm unit, followed by hydrogen sulfide, methyl ethyl ketone, propionic acid and butylic acid with ppb unit of approximate hundred level. The other odorous compounds were detected below ppb unit of approximate ten level. A remarkable finding is that there is no poultry building which showed the airborne levels of five aldehyde- based odorous compounds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valeraldehyde). Generally there was no consist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odorous compounds between poultry building applied with forced ventilation and poultry building applied with natural ventilation.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re was considerable concentration difference among odorous compounds. In temporal distribution of odorous compounds, their concentrations in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when ventilation rate in poultry building decreased relatively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when ventilation rate in poultry building is relatively high. The seasons of spring (March to May) and autumn (September to November) showed middle levels of odorous compounds between summer and winter.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unexpected conditions such as clearance of poultry building, poultry shipment and disorder of air pump were not controlled intentionally on the on-site investigation days.
        4,600원
        8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개수의 중탄산 농도가 상추의 생장 및 근권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펄라이트를 직경 10cm의 플라스틱 화분에 충전하고 청축면 및 적축면 상추를 정식하였다. 중성비료를 이용하여 질소기준 100mg·L-1로 농도를 조절하여 시비하였고, 관비용액에 중탄산(HCO3-) 농도를 30, 70, 110, 150, 및 180mg·L-1로 조절한 처리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청축면 상추를 재배하면서 중탄산 농도가 30과 70mg·L-1 로 조절한 처리는 관비 시작 후 10주차에 pH가 7.04 및 7.10로 높아졌고, 110, 150 및 180mg·L-1 처리의 경우 처리 3주차 이후로 꾸준히 상승하여 10주에는 각각 pH 7.39, 7.48 과 7.56으로 측정되었다. 적축면 상추는 근권부 pH 및 EC가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중탄산을 30과 70mg·L-1로 조절한 처리의 경우 4주차에서 8주차까지 pH가 평균 6.65로 유지하다가 8주차 이후 상승하여 각각 6.92 및 7.01로 측정되었다. 중탄산 110, 150 및 180mg·L-1 처리는 6주차 이후에 pH가 꾸준히 상승하여 10주차에는 각각 7.49, 7.53 및 7.58로 측정되었다. EC의 경우 모든 처리에서 2주차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청축면과 적축면 상추를 재배하면서 근권부 무기 이온 농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각 이온의 농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재배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초기보다 PO4-P, Ca2+와 Mg2+ 농도가 상승하였고, SO4-2 농도가 낮아졌다. 근권부 무기 원소 농도 변화는 중탄산에 의한 pH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고 판단하였다.
        4,000원
        88.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P4) and estrogen (E2) hormones changed during estrus synchronization in dairy heifers. Estrus synchronization was carried out with CIDRⓇ (Controlled Intravaginal Drug Release) devices. Corpus luteum (CL)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based on its size and palpable characteristics. The concentrations of P4 and E2 were measured by enzyme-amplified chemiluminescence. Serum P4 concentration was markedly low at the estrus stage (36 hrs after removal of CIDR) compared to other stages, while E2 concentration was kept high during estrus stage. The serum P4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CL classified into gradeⅠ.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4 concentration could be used as a criteria for determining recipients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r embryo transfer in dairy cattle.
        4,000원
        89.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solvents on the morphology of nano-scale zein materials, zein solutions were electrospun with different co-solvent ratios of EtOH/H2O. Different zein solution concentration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zein content on the electrospun materials. The resulting electrospun materials were all characterized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diameters of the electrospun nanoparticles and nanofibers were found to increase when increasing the EtOH ratio at certain zein concentrations. Furthermore, increasing the zein content changed the morphology of the electrospun materials from nanoparticles to nanofibers.
        4,000원
        9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in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between the number of the transferable embryos and the blood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BUN), glucose and cholesterol, which affect the nutritional state of cows. CIDRs were inserted into the vaginas of twenty two heads of Holstein cows, regardless of estrous cycle. Superovulation was induced using folliclar stimulating hormone (FSH). For artificial insemination, donor cows were injected with and estrus was checked about 48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n they were treated with 4 straws of semen 3 times, with 12-hour intervals. Embryos were collected by a non-surgical method 7 days after the first artificial insemination. The total numbers of ova collected from 3 experimental groups whose blood BUN concentrations were <10 mg/dl, 11~18 mg/dl and mg/dl were 8.9, 12.5 and 19.0, respectively; whereas the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5.8 + 1.9, 7.9 + 2.8 and 5.2 + 1.4, respectively. When glucose concentration was <60 mg/dl,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ova was 9.9, which was smaller than when the concentration was 60~70 mg/dl or mg/dl. When glucose concentration was 60~70 mg/dl,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was 7.1 + 2.4, which was slightly larger than the numbers 6.4 + 2.1 and 6.1 + 1.7 that were obtained when the concentrations were <60 mg/dl and mg/dl, respectively ;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0.05). When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150 mg/dl, 150~200 mg/dl and mg/dl, the total numbers of collected ova were 11.2, 11.3 and 8.6, respectively. Whereas the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7.1 + 2.1, 7.3 + 1.9 and 5.6 + 1.3, respectively ;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again not significant (p>0.05).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m recovery rate and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according to major metabolite concentrations in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failure of maintaining proper nutritional status would cause the fall in in vivo embryo productivity.
        4,000원
        9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식 환경에 따른 양식 김의 종류 및 광합성 색소 조성과 농도에 대하여 2011년 1월부터 3월까지 김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남서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수온의 범위는 3.0~11.3􀆆C이었고, 염분의 범위는 32.7~34.7으로 연안과 가까운 정점 1과 6에서 낮게 나타났다. 해수 중 DIN의 농도 범위는 1.73~12.84 μM, DIP의 농도 범위는 0.07~0.67 μM이었고, 규산염의 농도 범위는 4.93~18.29 μM이었다. 해수 중 Chl a 농도 범위는 0.41~9.14 μg L-1로서 1월의 정점 1에서 가장 높았다. 해수 중 조류색소 조성은 규조류 (diatoms)의 marker 색소인 fucoxanthin이 0.06~3.41 μg L-1로 우점하였고, 정점 1에서 3.41 μg L-1로 1월에 가장 높았다. 용존 무기질소 농도는 모든 정점에서 낮은 염분을 보이는 1월에 높았으나, 정점 1은 용존 무기질소 농도는 낮았다. 김 엽체 색소 중 Chl a, PE 및 PC의 농도는 각각 1,173~8,124 μg DW g-1, 3,281~10,076 μg DW g-1, 388~1,346 μg DW g-1로서 조사 정점 2, 3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김 엽체의 색소농도는 지주식인 모무늬돌김과 방사무늬김이 혼재되어 양식되는 정점 1과 6보다 부류식인 방사무늬김만 생산되는 정점에서 높았고, 방사무늬김만 생산되는 정점에서 는 정점 2와 3에서 높았다. 따라서, 김 엽체의 색소 농도는 양식 방법과 해양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아시아에서 대기 에어로졸의 광역적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센서에서 산출된 AOD (Aerosol Optical Depth)와 AE (Angstroom Exponent)를 이용하였다. 2009년 동아시아 지역에서 AOD는 3월(0.44±0.25)에 높았고, 9월(0.24±0.21)에 낮았다. 봄에는 중국 북부와 몽골의 사막, 건조지역에서 발생한 모래폭풍이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동아시아의 AOD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풍하측에 위치한 한반도 중부의 안면도, 청원, 울릉도에서 PM10 (d≤10μm) 질량 농도는 2월에 최고를 보인 반면, AOD는 5월에 가장 높았다. 장마 전 상대습도의 증가에 따른 흡습성 에어로졸의 성장이 5월의 높은 AOD에 기여하고 있다. 여름(8월)에는 북태평양으로부터 해양성 기류와 잦은 강수에 의한 습윤 침전으로 AOD는 낮지만 중국 동부의 산업지역에서 광역적으로 발생한 미세 에어로졸로 인해 AE (1.30±0.37)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안면도, 청원, 울릉도에서 MODIS AOD와 지상 PM10 질량 농도의 상관계수는 0.4-0.6이었다. 2009년 한반도 중부에서 관측한 황사 사례는 4회(6일)였고, 인위적 대기오염 이동 사례는 6회(12일)였다. 황사 사례와 인위적 대기오염의 이동 사례에서 안면도와 청원의 PM10 농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황사와 인위적 대기오염 이동으로 PM10이 증가하는 영역에서 AOD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4,200원
        9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에서 발달하는 강수시스템의 연직풍에 따라 변동하는 해양성 에어러솔의 입경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419 km 지점에 위치한 이어도 해양종합과학기지에서 2009년 6월 8일부터 22일까지 에어러솔수 농도와 연직풍 관측을 실시하였다. 에어러솔 수 농도와 연직풍은 레이저입자계수기와 초음파 3차원 풍향 풍속계를 이용하였으며, 지상일기도, NCEP/NCAR 재분석자료, 라디오존데 자료를 이용하여 종관상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1.0 μm 이상의 크기의 에어러솔 수 농도 분포가 강수 중에 크게 변동하였으며, 하강류에서 상승류로 연직풍이 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강수 중에는 큰 입자(1.0 μm 이상)의 에어러솔 수 농도가 약 5배 증가하였고, 이때 상승류가 약 0.4 ms-1로 나타났다. 또한 축적모드(1.0 μm 미만)와 큰 입자(1.0 μm 이상)의 에어러솔 수 농도는 강수 중과 비교하여 약 45%와 92%가 제거되었다. 이는 독립된 해양지역에서의 큰 입자(1.0 μm 이상) 에어러솔 수 농도 증가는 수평풍 보다는 상승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강수에 의한 세정효과도 나타났다. 따라서 해양경계층 내 에어러솔의 생성 및 발달 메커니즘에 상승류의 영향이 크게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탄소 : 질소(탄질)비가 다른 유기자재를 시용하였을 때 시기별 양분의 동태와 유기재배 수수*수단그라스의 비료이용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질소함량 210kg/ha 수준으로 축분퇴비, 알팔파, 유박, 화학비료를 포함하였다. 유박과 알팔파는 가장 낮은 탄질비를 나타내었고 축분퇴비는 33.7 : 1의 가장 높은 탄질비를 보였다. 축분퇴비는 시용량이 가장 많았고 이에 따라 토양내 양분농도를 증가시켰다. 탄질비가 낮은 유박과 알팔파는 축분퇴비에 비해서 질소의 무기화율을 촉진시켰다. 질소이용효율은 화학비료구에 비해서 알팔파와 유박이 약 60% 전후를 나타내었고, 축분퇴비는 20% 이하의 효율이 관찰되었다. 인산의 이용효율은 알팔파가 가장 높았고 축분퇴비가 가장 낮았다. 이에 따라 탄질비를 고려한 유기자재를 선택해서 밭토양에 시비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96.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amoxife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treatment periods on proliferation of a human cervical cancer cell line, HeLa. As in the previous studies, Estrogen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cellular proliferation at low concentrations but significantly reduced proliferation at high concentration (5 ug/ml) based on MTT assay. Treatment with tamoxifen had similar effects. I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HeLa cell proliferation at low concentrations, but significantly reduced proliferation at high concentration (10 uM). In addition, combined treatment with both estrogen and tamoxifen did not alter the inhibitory effects of either estrogen or tamoxifen on cellular proliferation. The inhibitory effects by tamoxifen on HeLa cell proliferation did not differ among different treatment periods. This suggests that tamoxifen may exert anti- proliferative effects at high concentration but does not have synergistic or antagonistic effects against estrogen on HeLa cell proliferation.
        9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파프리카의 양액재배시 온도와 급액의 농도가 역병균의 생장과 유주자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순수 분리된 역병균의 균학적 특징에는 격막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역병균의 전형적 특징인 유주자낭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온도조건에 따른 역병균의 균사생장은 25℃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20℃, 30℃ 그리고 15℃ 순으로 나타났다. 급액의 농도에 따른 역병균 균사의 생장은 EC 0.5에서 1.5까지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EC 1.5에서 가장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EC 2.0에서부터 감소하여 EC 3.5 이상에서는 균사가 전혀 생장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C 농도에 따른 역병균의 유주자낭 형성 정도는 급액의 EC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EC 4.0에서는 가장 억제되었다.
        4,000원
        98.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온실기체 관측장비(CRDS)에서 관측된 CO2와 CH4 농도를 정형화된 QA·QC 처리절차를 통해 온실기체 평균 배경대기 농도값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QA·QC 처리절차는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관측자료의 시간별 평균값을 구하기 위한 물리적 한계검사, 기후범위 검사 및 1시간 측정 자료수가 50% 이하인 자료는 제외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는 일평균자료 산출을 위한 단계검사, 앞뒤로 같은 값일 경우는 제외, 하루 중 관측횟수가 15회 이상 및 일관측 자료의 표준편차가 일표준편차 평균의 3배 이하인 자료만 허용하는 과정이다. 세 번째는 기후적 특성분석 활용을 위한 Curve-fitting methods를 이용한 FFT 적용단계이다. 이상의 QA·QC 절차에 의한 CO2 및 CH4의 월평균농도 값을 안면도 지구대기감시센터 자료와 일본 료리 관측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CO2에 있어서는 울릉도 관측자료 누락에 의한 영향이 다소 크게 나타나 안면도 관측값이 배경대기 평균농도 값으로 유효하였고, CH4는 안면도 보다 오히려 울릉도 관측값이 한반도 배경대기 평균농도 값으로 더 적절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4,000원
        99.
        201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measured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s of ozone (O3) at 54 households in Gwangyang from June to September,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outdoor, 16.53±5.72 ppb, was observed two time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indoor, 8.22 ± 4.60 ppb. The similar arithmetic average ozone were obtained in exposed and controlled areas, 15.16 ± 1.45 ppb and 15.25 ± 1.94 ppb, respectively. The ozone concentration of an individual smoker was 24.89 ± 7.11 ppb,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a non-smoker, 21.01 ± 11.79 ppb. The indoor occupant density elevated ozone concentrations. Th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ozone was observed in a house with air conditioner (8.59 ± 4.04 ppb) than a house without the unit(10.07 ± 6.43 ppb).
        4,300원
        100.
        201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ies were measure the cortisol from salivary and serum of fire-fighters, who are relatively always exposed to highly dangerous and unsafe working conditions in which they should bring a fire under control or rescue people in danger situations et cetera, therefore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stressed-out,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rtisol levels. The salivary and serum samples of 133 active fire fighters. These were collected at 8:30am, when leaving for work. The salivary cortiso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enzyme immunoassay, and the serum cortisol analysis utilized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On the morning of testing,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as 1.92±0.73(0.51~5.85)㎍/㎗, while the cortisol concentration of serum was 14.93±4.23(4.45~25.85)㎍/㎗. Resul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s, smoking, drinking habit, and duty type. Higher smoking and drinking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alivary and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Cortisol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ype or duty followed by emergency rescue, fire suppression, rescue, miscellaneou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and serum cortisol concentrations.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and serum cortisol concentrations exists in fire fighters. It is judged that noninvasive methods salivary cortisol could be used in place of serum cortisol to measure cortisol levels when considering factors such as convenience of sample collection and cos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