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

        8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focused on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for buying factors of domestic live stock products after foot and mouth disease (FMD).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o reduce consumption when livestock diseases are occurred. Two methods were used for this survey. First method was to investigate internal data to understand consumption patterns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Second method included empirical analysis to understand how FMD affected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 Survey was conducted in Chuncheon city.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factors that affected the buying patterns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were brand and expiration d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nsumers recognized brand livestock products were safer than general livestock products and they have more interest for food safety than quality attributes of food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4,200원
        8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mpared between an automated most-probable-number technique TEMPO®TVC and traditional plating methods PetrifilmTM for estimating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various livestock products. 257 samples randomly selected in local retail stores and 87 samples inoculated with E. coli 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2868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degree of agreement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CCFRA (Campden and Chorleywood Food Research Association Group) Guideline 29 and the agreement indicates the difference of two kinds methods is lower than 1 log base 10(log10). The samples of hams, jerky products, ground meat products, milks, ice creams, infant formulas, and egg heat formed products were showed above 95% in the agreement of methods. In contrast, proportion of agreement on meat extract products, cheeses and sausages were 93.1%, 92.1%, 89.1%, respectively. One press ham and five sausages containing spice and seasoning, two pork cutlets containing spice and bread crumbs, two meat extract product and two natural cheeses and one processing cheese with a high fat content, and one ice cream containing chocolate of all samples showed the discrepancy. Our result suggest that TEMPO®TVC system is efficient to analyses total aerobic bacteria to compare manual method in time-consuming and laborious process except livestock products having limit of detection.
        4,000원
        8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하계작물인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에 액상 우분뇨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해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며 단위면적당 한우의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의 연간 건물수량과 가소화양분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가축분뇨 시용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가축분뇨 시용구간은 발효우분보다 액상우분뇨가 그리고 100% 시용구 보다는 150% 시용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옥수수의 RFV는 액상우분뇨 100% 시용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사초용수수의 RFV는 가축분뇨 시용구 중 발효우분 100%와 액상우분뇨 150%구가 높았다(p<0.05). 한우 사육능력은 옥수수의 경우 화학비료 NPK구가 평균6.26두/ha를 사육할 수 있었으나 발효우분 150%, 액상우분뇨100~150% 수준의 평균 5.24~5.97두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초용 수수에서도 화학비료 NPK구가 평균4.08두/ha로 가장 높았으나(p<0.05), 발효우분 150%, 액상우분뇨 100%와 150% 시용구의 평균 2.63~3.38두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작물 재배에 화학비료 대신 가축분뇨 만으로도 사료작물의 건물 및 가소화양분수량을 향상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한우 사육능력도 증대하였으므로, 가축분뇨 재활용을 통한 조사료의 생산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8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the Listeria monocytogenes from livestock processed products in processing plants and retail markets of Korea from 2010 to 2011. A total of 1,380 samples were collected; Meat processed products such as cooked ham and sausage, jerked meat, and meat extract products. Milk processed products such as milk, butter, cheese, and ice cream. Egg processed products such as whole egg liquid and pidan.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from samples using listeria enrichment broth, fraser broth and Oxford agar, and counted in Oxford agar. The three of L. monocytogenes strains (1.16%) were isolated from sausages, two (0.73%) from mixed pressed ham and one (0.51%) from jerked meat, respectively. The colony forming unit (CFU) of L. monocytogenes from all samples were below 10 CFU/g. The four isolates (66.6%) were 1/2b except two isolates (1/2a) in the serotyp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 route of L. monocytogenes, including a survey of food handlers, environments of retail markets, and all potential risk factors in cooked sausages, mixed pressed hams, and jerked meat processing.
        4,000원
        8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new automated coliform enumeration system (TEMPO® CC) for the quantitative test of coliform bacteria contaminated in domestic livestock processed foods, a total of 507 samples of livestock foods were tested by the TEMPO® CC method, the most probable number (MPN) method, and Petrifilm metho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ose three method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Of 507 samples of livestock processed foods used in this study, 217 samples were contaminated artificially with coliform bacteria and the rest (n=290) were contaminated naturally. The results of the TEMPO® CC method for all samples were equivalent to those obtained from the MPN method, except 8 samples. In addition, 496 (97.8%) out of 507 samples made agreement between the TEMPO® CC method and the Petrifilm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MPO® CC and MPN methods as well as between TEMPO® CC method and Petrifilm method were above 0.9, and the slope and intercept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different in less than 1 value. In conclu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levels of performance between the TEMPO® CC and the reference and alternative methods for the enumeration of coliform bacteria in livestock processed foods in this study.
        4,000원
        8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축사는 비닐하우스 다음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한 농촌시설물이다. 축사의 경우 측벽 없이 지붕만 있는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태풍이 불면 지붕 전제가 날아가 많은 피해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농가에서는 태풍피해예방을 위한 측벽에 윈치 커튼설치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측벽 개방에 따른 축사지붕에 위치별 풍압 계수 분포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측벽유무에 관계없이 축사지붕면의 피크외압계수분포에서 풍향각 0˚로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서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측벽의 유무에 따라 피크외압계수가 풍향각과 처마의 길이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88.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무궁화과에 속하는 초본 식물인 Kenaf를 경상대학교 시험농장에서 2010년 6월 1일 파종하 여 같은 해 11월 18일 수확하여 건조 한 후, 축산분뇨의 수분조절제로서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건조된 Kenaf를 다시 bast, core, leaf으로 분류하여 분쇄를 하였으며, 각각의 분쇄물에 대한 수분 흡수율, 수 분 증발률, pH변화, 용적중, C/N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분흡수율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왕겨 및 톱밥과 비하여 높은 수분 흡수율과 증발률을 보였고, pH는 Kenaf의 시료 별 증류수와 72시간 반응 후 측정해 본 결과 pH 2.8±0.01 - 4.34±0.02 범위로 톱밥 (pH 5.28±0.01) 및 왕겨 (pH 6.3±0.02)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C/N비 분석결과 Kenaf의 core가 649, bast 204, leaf 70 순으로 나타나 대 조군으로 사용된 톱밥 (789.1) 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왕겨 (132) 보다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용적중 시 험에서는 Kenaf는 각 시료의 입경에 따라 A(≥ 4 cm), B(≤ 4 cm, ≥ 0.25 cm) 및 C 군(≤ 0.25 cm) 으로 구분하였고, 시험 결과 bast, core 및 leaf의 경우 입경이 큰 A 군과 B 군은 톱밥 및 왕겨와 비슷 한 용적중을 보였으며, 입경의 크기가 작은 C 군의 경우 다소 높은 용적중을 보였고, 특히 leaf C 군의 경우 톱밥 및 왕겨에 비해 5배 이상의 높은 용적중을 보여 입경이 작을수록 용적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축산분뇨의 퇴비화를 위해 Kenaf를 이용 수분조절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농가의 비용감소,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은 물론 친환경적 처리가 가능 할 것으 로 사료된다.
        4,000원
        8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hundred one enterococcal isolates from feces of livestock animals in Korea were screened for the presence of bacteriocins. Sixteen of 41 (39%) E. faecalis and 4 of 56 (7.1%) E. faecium isolate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t least one indicator strain. Only 4 of 20 the enterococcal isolate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possessed at least one bacteriocin gene. While entA and entB were detected in three isolates as a pair of genotype, entQ, bac31, and AS-48 were not found in the enterococcal isolates. In almost all isolates, a correlation between genotype and phenotype of these determinants was not always observed.
        4,000원
        9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수수 재배지에서 경운방법과 가축분뇨의 시용이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천안)에서 lysimeter를 이용하여 2008년 4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분할구배치법으로 경운방법(경운과 무경운)을 주구로 하였으며, 가축분뇨의 종류(화학비료, 우분퇴비 및 돈분퇴비)를 세구로 하였다.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구는 표준시용량(N-)으로 200, 150 및
        4,000원
        9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ossible rapid biodegradation of abandoned livestock was tested by using the dead pig and chicken. The dead pig (36 ㎏) was completely decomposed after 23 days of placement in the open field during June 2007. When the door of a cage in which a dead chicken (3.4 ㎏) was placed was opened, a lot of flies were attracted to the chicken and layed eggs on the chicken. As the result the chicken was decomposed down to 0.6 ㎏ after 6 days of placement in the open fiel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was closed, the decomposition was very slow. The chicken weighed 3.0 ㎏ even after 6 days. An experiment conducted during October 2007 showed that decomposition speed depended on the number of inoculated flies. When 50 pairs of Lucilia sericata flies were inoculated to 3.2 ㎏ chicken, it was decomposed down to 1.0 ㎏ after 22 days in the field. However, when 200 female and 100 male flies were inoculated, the 3.4 ㎏ chicken was decomposed to 0.8 ㎏ after 11 days in the field. A 10,858 pupae (371.2 g) was produced from the latter chicken. These pupae may possibly be used as a feed for fish and fowl.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mercialize the blow flies for the rapid decomposition of an abandoned livestock of diverse size under diverse environment.
        3,000원
        9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입사료가 우리나라 농업환경의 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05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수입사료 품목별 수입량 및 비료성분량, 수입사료로 인한 가축 사양단계에서 비료성분 발생량을 추산하고, 농경지 작물별 재배면적과 양분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입사료로 인한 농경지의 오염부하도를 분석하였다. 수입사료를 통해 국내로 도입되는 비료성분량은 질소 371천톤, 인산 140천톤, 가리 143천톤, 주요 수입품목인 곡류 및 식물성 유박류에서 유래하는
        4,900원
        9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검역원의 선행요건 항목을 식약청 및 미국 FSIS의 선행요건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보완되어야 할 검역원 선행요건의 내용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역원과 식약청 모두 HACCP 고시에서 선행요건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있으나 서로 상이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므로 관리항목 범위와 내용을 조정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또한 HACCP 적용업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업종별 작업환경조건이 다양해지므로 HACCP 고시에서는 선행요건 관리항목의 기본 틀만 제시하고 세부지침 및 일치 불일치 조건은 별도로 명시하여 관리하는 것이 선행요건의 현장적용 활용성을 높이고 평가업무의 표준화를 이루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4,000원
        9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가축분뇨 폐기물의 해양배출에 관한 현황 및 정부와 업계의 입장을 살펴보고, 정부(해양수산부 및 농림부)와 업계(대한양돈업협회 및 해양배출협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대책을 검토하였다. 갈등해결을 위한 대책으로서 첫째, 가축분뇨 전량 육상처리의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검토, 둘째, 가축분뇨 육상처리에 따른 민원해결방안의 강구, 셋째, 법제화된 규칙의 시행 가능성에 대한 사전검토, 넷째, 양돈업계나 해양배출업계와 같은 관련 업계를 위한 지원 방안의 강구, 다섯째, 국가차원의 폐기물해양배출제도 전면 재검토 등이 제시되었다.
        4,000원
        9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논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한 총체벼 재배 시 생육특성,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축산과학원(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품종 간에는 추청벼에서 길었으며 가축분뇨 종류 간에는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 발효우분구 순이었다. 주당 경수는 수원468호보다 추청벼가 많았으며 가축분뇨의 종류 간에는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 화학비료구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