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

        10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부산물인 폐유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개질 처리된 유황을 대상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서의 개질 처리된 유황 액체와 분말을 콘크리트에 0%, 5%, 10%, 15% 외할 첨가하여 개질유황 액체와 분말의 첨가별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10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rying to applying in structure and slab and wall of technical of near-surface transit system, we would make precast concrete for constructing rapidly to diversify subject about lightweight concrete. for this purpose, we experimented lightweight aggregate centrally expected to be applied in this research and would like to suggest fundamental data for manufacturing products as a level of 30, 50MPa precast concrete.
        103.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먹는 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양질의 물에 대한 요구가 이어짐에 따라 정수처리 시설은 수처리 시설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따라 수처리시설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 방수⋅방식재의 개발 및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하지만, 주로 상도의 내구성 향상에 집중된 연구의 한계성으로 콘크리트 표면과 하도 (프라이머)와의 부착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처리시설의 내부 방수⋅방식재로서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콘크리트 표면간의 부착력을 확인하고, 콘크리트 표면 상태 (건조 상태, 습윤 상태, 수압상태)에 따른 부착강도 및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04.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황은 비금속 원소로서 비료, 화약, 고무, 금속 등과 같은 산업에서 주로 이용하며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높은 순도의 유황은 주로 활화산과 연계해 있기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 유황을 광산에서 채굴하는 일은 없다. 대신 석유화학 산업과 제철 산업 등 산업 부산물로서 추출한 유황을 생산하고 있다. 유황은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하고 있지만 수요의 변동 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석유화학 및 제철 산업의 발달로 유황의 회수가 활발해져 과거 90년대보다 유황 생산이 늘어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 산업의 경우 저탄소, 친환경 정책이 대두됨에 따라 주요 대기오염원 중의 하나인 이산화황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원유에서 유황을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회수되는 유황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황은 뛰어난 내산성, 내염성을 가지고 있으며 속경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 화학물질 저장고 등과 같은 고부식성 환경에서의 열화, 균열, 강도저하와 같은 콘크리트의 내구적 약점을 보완하기에 적합한 건설재료이며 산성비, 비말대 등과 같이 일반적인 부식 환경에서 적용할 경우에도 구조물의 내구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유황폴리머를 사용한 표면보호재를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황폴리머에 플라이애시, 규사 8호와 같은 채움재를 배합하여 보완한 시험체의 강도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배합은 3가지이며 배합비는 유황폴리머와 단일 채움재의 비율을 2:1로 배합한 것과 유황폴리머와 두 가지 채움재 비율을 2:0.5:0.5로 배합한 것으로 실험하였다. 시험체를 제작하기 위해 각 배합별 시료를 잘 혼합하고 가열기에서 110~130℃로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직후, 급속한 온도저하를 방지하고자 적정온도로 건조기에서 가열한 50×50×50 mm 큐빅몰드를 이용하였다. 압축강도 측정은 재령 1일, 7일, 28일에 100 ton급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재령별 모든 배합의 압축강도를 평가한 결과 채움재로 플라이애시만을 이용한 배합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채움재로 규사 8호만을 이용한 배합이 가장 높게 측정되어 규사의 혼입은 유황폴리머 표면보호재의 강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5.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건설재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이다. 그러나 황산염(sulfate)등의 산성에 노출되어 있는 콘크리트는 열화가 촉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등의 표면보호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표면보호재로 정유산업의 부산물인 유황폴리머를 이용하게 된다면 유황폴리머의 뛰어난 내산성을 활용한 양질의 표면보호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유황폴리머는 대부분 정유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므로 산업부산물 처리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유황폴리머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도포공법의 경우 국내에서는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황폴리머의 도포공법(spray)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고, 특히 도포되는 유황폴리머의 두께에 따른 부착강도를 측정하여 국내기준에 적합한지 평가하였다. 유황폴리머의 두께에 부착강도 평가를 위하여 유황폴리머를 「KS F 4936」 콘크리트 보호용 도막재에 규정되어 있는 시험용 모르타르 밑판(70×70×20 mm)에 각각 0.5 mm, 1 mm, 1.5 mm (±0.1 mm) 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전 시험용 모르타르 밑판의 4방향 평균 두께와 유황폴리머가 경화된 이후 4방향의 평균두께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도포된 유황폴리머의 두께로 산출하였다. 도포 완료 후 7일간 온도(20 ± 2℃) 및 습도(65 ± 10%)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양생한 후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0.5 mm 이상일 때 1.3 MPa의 부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1 mm, 1.5 mm의 조건에서는 각각 1.8 MPa, 2.2 MPa의 부착강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도포한 유황폴리머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0.5 mm 이상의 두께에서는 표면보호재로 사용할 수 있는 부착강도(1.0 MPa)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mpressive capacity of a new form-block-wall (FBW) was studied through both the prism test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for single form-block. In the experiment, main variables are the difference in mix design of block and in strength of grout concrete. The result of prism test show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FBW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strength of grout concrete while it was not influenced by the block‘s mix design difference.
        10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structures known that relatively safe for the fire, but the fire damage 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will be affected,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damage situation appears different. In this study compared to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acooding to different type of concrete strength fire damege through about concrete structure is utilized as a basis for maintenance.
        108.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compressive strength due to SPC(sulfur polymer cement) content variation in the sulfur polymer concrete , it was found that the SPC content was required more than 16% to get over 50 MPa compressive strength and increasing ratio of the strength was greatest at SPC 14%.
        10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maximum aggregate siz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were investigated in this work. Test main variable is maximum aggregate size (8 and 20mm). The cylinder specimens was casted for compressive test and the prism specimens was tested under four points loadin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steel fiber improves compressive and flex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Also smaller aggregate size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fiber volume fraction SFRC.
        11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the early-strength of mock-up concrete by replacement of the flyash after it was ground by vibration mill and was modified chemically. Also, the early-strength of the specimens for maintaining structure was evaluated on the first, second, third day separately.
        11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KS F 2405 was used to investigat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roper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HPC) using the fly ash and silica fum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silica fume-binder ratio from 5% (SF5) and fly ash 25%+silica fume 5% (FA25SF5).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PC determined on 7days and 28days.
        11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rmal behaviors of specimens that applied different mixing ratios of foaming agen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e in the structural elements. We proposed the estimating equation for compressive strength of each mix having different ratio of foaming agent. We also confirmed that the density of cement matrix is decreased as the mixing amount of foaming agent increase up to 0.6% of foaming agent mixing ratio which was observed by SEM. Based on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trol mortar without foaming agent, we built the estimating equations of compressive strength for mortars with foaming agent
        11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evaluaties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SFRC) with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The test variables such as aggregate maximum size(8, 13, 20mm) and steel fiber volume faction(0, 1.5%). The test results indicate, SFRC of smaller aggregate size is expected to prvention of brittle fracture and promote of compression toughness.
        11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 to date, the specifications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or airport pavement are primarily from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or 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In order to consider circumstances such as rainfal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vious concrete for base course of an airport pavement. Strength characteristic of pervious concrete wa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different maximum course aggregate size. When 25mm sized aggregate was used, greatest strength was achieved.
        11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ddresses the tensile strength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fly-ash, silica fume. Test variables of this study is replacement ratio of admixture. Test results showed that 7 days tensile strength of specimen SF5 is higher than that of specimen FA25SF5. However, 28 days tensile strength of specimen SF5 and FA25SF5 had similar value.
        116.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 많은 연구에서 시간에 대한 회귀 분석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화물량을 수화도 및 공극률의 함수로 가정하였으며, 재령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공극률을 이용하여 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간에 대한 회귀분석없이 공극률의 감소만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예측하였다. 총 21개의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에 대해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 해석프로그램인 DUCOM을 이용하여 각각의 공극률을 도출하였으며, 강도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OPC 콘크리트에 대해서 수화도, 단위시멘트량, 공극률의 함수로 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GGBFS 및 FA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장기강도 영향을 구현하기 위해 공극률을 고려한 장기강도변수를 도입하였다. 기존의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강도예측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11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고강도콘크리트의 배합에 사용되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최적조합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 고로슬래브 미분말 0%, 30%, 40%, 50% 및 플라이애시 0%, 10%, 20%, 30%로 구성하였다. 물결합재비 0.18의 초고강도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각 실험체의 압축강도와 공극구조를 조사한 결과, 플라이애시 10%, 고로슬래그 미분말 30%를 혼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50nm 이상의 공극량 감소에 의해, Plain 콘크리트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11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ports test to assess the influence of water/soli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fly ash based alkali activated concrete. According to test results, the strength is influenced by the waste/solid. Also, the appropriate Ms(SiO2/Na2O) rate is thought to be 1.0.
        119.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evaluates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polymix fiber and type of aggregate. Consequently, When concrete is mixed with limestone aggregate and spalling prevention fiber,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better.
        120.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ad pavement in Korea generally undergoes in-service shorter than an expected life cycle. There are many reasons including increased traffic load and other attacks from exposure conditions. In order to extend service life and upgrade the pavement a new multi-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strength of fiber reinforce lean concrete which used fly-ash and reject ash as a cement replacemen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 an appropriate compaction method in order to minimize the experimental scatters that used to come from non-unified specimen fabricatio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