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10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색과 황색의 4중직 폴리에틸렌 차광망을 해가림 피복물로 사용하여 해가림 색상이 4년생 인삼의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색 차광망의 spectral irradiance는 498nm에서, 황색차광망은 606nm에서 최고를 보여 색상에 따라 광질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청색 차광망은 황색 차광망보다 투광량이 23% 더 많았으며,기온도 0.3 ˚C 더 높았고 여름철 투광량 증가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황색 차광망보다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고온장해 발생이 심하였다. 3. 황색 차광망은 청색 차광망보다 엽록소 함량이 더 많고 경장 및 엽면적이 더 컸으며, 고온장해 발생율이 낮아 인삼수량은 48% 증가되었다. 4.동체부위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색상 간에 유의적인차이가 없었으나 지근 및 세근부위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청색 차광망이 황색 차광망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5. PD/PT비율은 지근부위에서만 청색 차광망이 황색 차광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b1/Rg1의 비율은 모든 부위에서 청색 차광망이 황색 차광망보다 높았으나 지근부위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103.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ectral irradiance characteristics of blue, yellow, and blue-black colored polyethylene (PE) shading net and the effec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ginseng seedling. The spectral irradiance (μmol/m2/s/nm) showed the peak at 498 nm in both of blue and blue-black PE shading net, and 606 nm under yellow PE one. The intensity of blue light in blue shading was more strong than that of blue-black shading, control. Blue shading was increased by 17% and 23% in accumulated quantum for daytime, 0.5℃ and 0.2℃ in maximum temperature on June 2 than that of yellow and blue-black shading, respectively, but heat injury ratio of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Chlorophyll content and stem length in blue shading were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ose of yellow and blue-black shading. The specific leaf weight was higher under blue and yellow shading than that of blue-black shading. Ginseng seedling harvested in blue shading was increased by 13~17% in the number of root, and 17~20% in root weight per m 2 compared to yellow and blue-black shading owing to the increase of survived plant, and the decrease of specific leaf weight, heat injury ratio, and stem length.
        10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오리엔탈 나리 ‘Siberia’ 품종을 유공비닐 봉지에서 인편삽시 인편 착생부위와 삽목조건에 따른 소인경의 형성과 생장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소인경 생산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착생부위에 있어서 내부보다는 외부와 중부인편이 소인경의 형성 및 생육이 양호하였다. 삽상의 온도는 15℃나 30℃보다 20℃와 25℃ 조건에서 소인경의 무게, 둘레, 높이, 수가 증가하였다. 용토 1L당 수분 400mL 처리는 타처리에 비해 소인경의 무게와 직경이 16%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모스 단용과 피트모스: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를 1:1:1 혼합한 용토에서 소인경 생육이 양호하였다. 인편과 용토의 비율을 1:2하여 혼합한 후 인편삽을 하더라도 소인경 무게와 직경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05.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올라이트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의 최대응력, 파단신율 및 인열강도를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금속이온으로 치환한 제올라이트 필름에 비해 계면활성제로 치환한 제올라이트를 함유한 필름의 물성이 순수 LDPE필름의 물성에 비해 큰 감소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한편 선도유지기능 실험 결과 일부의 양이온성(Al 및 Ag) 또는 계면활성제로 개질된 제올라이트 필름들이 시험된 과채류에 대하여 일반 LDPE 포장용 필름보다 우수한 선도유지기능
        106.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and polyethylene(PE) tunnel.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higher in PE mulching and PE tunnel than in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temperature in PE tunnel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tunnel and root production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tunnel cultivation system.
        10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역에서 상위급 씨감자 가을채종재배 시 폴리에칠렌(PE)멀칭이 감자의 생육 및 수량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일반종서, 경삽 및 소서 플러그묘를 2001년 8월 20일에 직파 또는 정식한 후 무멀칭, 투명 및 흑색 PE멀칭재배를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총서수는 멀칭처리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4.6개 내외였으나, 종묘종류별로는 직파구에서 5.14개로 가장 많았고 경삽묘 및 소서묘정식구에서는 각각 4.15, 5.15개였다. 2. 총서수량은 무멀칭구에서 21.16톤/ha이었는데, 투명 및 흑색 PE멀칭에 의하여 각각 16, 8% 증수되었고, 경삽묘정식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소서묘, 직파구 순이었다. 3. 평균서중은 무멀칭구에서 평균 72.2g이었고 투명 및 흑색 PE멀칭에 의하여 각각 14, 12%증가되었는데, 멀칭효과는 경삽묘정식구에서 가장 컸었다.
        108.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장김치의 표면처리가 김치의 pH, 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표면갈변도 및 이미, 이취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면처리는 포장김치표면에 70% 에탄올을 1회 분무한것과 김치표면에 PE-film(두께 0.04mm)을 부착한 것으로 나누어 행하였으며, 1에서 저장하였다. 무처리와 에탄올을 분무한 경우는 저장 15째에 pH가 4.0수준에 도달하였으나 PE-film을 처리한 경우는 21일째까지도 pH가 4.0 이상을 유지하였다. 산도의 경우도
        109.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에 따른 지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지황 1호를 시험재료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율은 무피복 78.0%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에서 3.1%더 높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육은 흑색 비닐피복과 소식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나, 단위 면적 당 엽 중, 근경 수는 밀식 할수록 무겁거나 많았다. 건근경중은 무피복 402 kg/10a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재배에서 28% 증수되었으며, 개체 당 건근경중은 소식할수록, 단위면적 당 수량은 밀식 할수록 증가하였다.
        110.
        200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optimal storage method of root of Anemarrhena Rhizome, which has been grown as major cultural herbal medicine material, root of Anemarrhena Rhizome was stored for 10 months with different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methods. The loss in dry weight as influenced by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methods was the lowest at vacuum packing and followed by complete sealing methods with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The rot ratio of root during the storage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acking materials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aling conditions. Conclusively vacuum packing and complete sealing with polyethylene film appears to be optimal for storage of Anemarrhena Rhizome.
        111.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arietal differences on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the conditions of PE film-mulching and non-mulching in sesame. At maturing stage from 76 to 95 days after sowing, Yangbaeckkae, non-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showed larger leaf area index (LAI) than that of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film-mulching. LAI of Ahnsankkae, 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was similar to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mall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Net assimilation rate (NAR) of two varieties under non-mulching was lower at seedling stage from 25 to 35 days after sowing but higher at flowering stage from 45 to 55 days after sowing. At maturing stage from 66 to 77 days after sowing, NAR and crop growth rate (CGR)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great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whereas those of Ahnsankkae under non-mulching were less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Yield under non-mulching was decreased by 7 % in Yangbaeckkae and 33 % in Ahnsankkae compared with that of film-mulching, therefore Yangbaeckkae was more adaptable for non-mulching than Ahnsankkae. Main factors decreasing yield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small LAI, NAR, and CGR at the stage of young seedling, and small number of capsules at early maturing stage from first flowering to 20 days after first flowering.
        112.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력의 우수성이 확인된 황금추출물을 포장필름소재로 개발하여 과채류에 대한 포장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1% 농도로 황금추출물을 첨가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의하여 딸기를 포장하고 5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실험한 결과 무첨가 대조필름에 비해 호기성 총균수, 곰팡이 및 효모수로 측정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생물 증식억제의 효과로 인하여 항균성 필름은 포장된 딸기의 부패율을 낮추어 주고,
        114.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항균성 필름의 생산방법으로서 corona 저려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LOPE) 필름에 천연항균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딸기의 포장에 적용하였다. 보다 안정한 항균제 코팅 필름의 생산을 위하여 결착제와 함께 코팅한 필름의 생산방법을 검토한 결과, polyamide수지용 과 항균생 물질을 함께 코팅함에 의하여 안정한 코팅을 행성할 수 있었다. 이의 항균성을 미생물 평판 배지 상에서 확인한 결과, 1% 자몽종자추
        11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콘재배에 있어서 무멀칭구와 PE 멀칭구 그리고 PE 멀칭의 종류별로 야콘의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고, 전생육기간 동안 비닐멀칭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다수확을 위한 야콘재배의 지표를 설정하고자 실시 하였다. 1. 수확시기에 멀칭구의 초장이 134~139 cm로써 비멀청구의 112 cm에 비하여 10 cm이상 컸으며, 다른 형질들 역시 초장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2. 주당 수량 역시 멀칭구가 0.79~0.91 kg으로써 비밀칭구의 0.61kg에 비해 많아 멀칭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3. 멀칭재료는 배색비닐에서 초장이 139 cm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투명비닐, 녹색비닐 그리고 흑색비닐 순으로 짧아졌으나, 주당 수량은 배색비닐에서 0.91 kg으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흑색비닐, 녹색비닐 그리고 투명비닐 순으로 적어졌다 4. 수확시기까지 멀칭비닐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재배중간에 멀칭비닐을 제거하는 것보다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5. 야콘재배에 있어서 멀칭은 지온상승과 토양수분을 보존함으로써 증수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16.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외선을 발생하는 생광석 분말을 0, 10, 20, 30 및 40%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필름(PFRO)을 제작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김치를 포장하여 1에서 저장하면서 대장균을 비롯한 균수와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pH와 산도의 변화로 평가한 숙성정도는 PFRO포장김치가 대조구에 비하여 숙성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숙성된 김치맛을 띠는 총기간은 길었다. PFRO포장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젖산균 수는 많으면서 대장균수는 현저하게 적었으
        117.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피복 재배조건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 그리고 종실의 단백질과 지방함량,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무피복 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광땅콩, 대풍땅콩을 공시하고 흑색 비닐 피복재배와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대광땅콩,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6일정도 지연되었으며 개화기는 각각 9일, 6일 지연되었고 입모율도 각각 3.7%, 16%감소되었다. 2. 분지장은 피복재배보다 대광땅콩 24%(11.2cm), 대풍땅콩 17%(6.9cm) 감소되었으나 분지수는 감소되지 않았다. 3. 성숙협수,100립중, 협실비율, 주당 종실수량등은 피복재배보다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밀식재배로 인한 재식밀도의 증가로 1ha당 종실수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와 비슷하였고 대풍땅콩의 경우는 26% 증수되었다. 4. 단백질함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보다 4% 증가하였으나 대풍땅콩은 3% 감소하였으며 지방함량은 두 품종 모두 각각 7%, 9% 감소되었다. 5.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는 대광,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증가하였으나 linolelc acid는 감소하였으며 O/L비율도 작아졌다.
        120.
        199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carried out to find the storage life according to the kinds of packaging material. Sheridan(Grape) which was fumigated SO2 were wrapped with polyethylenes(Bio-PE and PE) and stored at under 90% RH modified condition. The resorts were summarized as follow. Natural weight loss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during the 135days storage that was only 1.0-1.7% in sealing section while 10% in non-sealing section. Abonrmal fruits were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was increased and it was 6.6-6.7% in sealing section while 100% in non-sealing during the 135days storage. Quality of appearance and taste are better in sealing section than non-sealing section and it was good in Bio-PE sealing section between packaging materials. Moistrue content was de creased as the storage range was increased and the decreasing rate of that during the storage was 4.9-5.2% in sealing section between treatments. During the storage range increased, the soluble solid degree was increased in non-sealing section but decreased in sealing section.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