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1

        10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75%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Prunus sargentii.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by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in 5 mg/disc. Howev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in 1 mg/disc. On the other hand,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 In the cell viability of Raw 264.7 by MTT assay, the extract and all fractions were exhibited normal viabilities as nontoxic result. Consequently, the extract from the leaves of P. sargentii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materials for antibacterial activity related fields. Moreover,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candidate materials as anti-inflammatory agent.
        10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75%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Prunus sargentii.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branch extract was 277.92 mg/g as the highest level. In the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C50 values of the cork layer and branch extract were 26.79 μg/ml and 30.13 μg/ml. In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SC50 values of the branch and leaf extract were 49.19 μg/ml and 55.55 μg/ml. All extracts exhibited higher NO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used as positive control. On the other hand, i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taphylococcus aureus by disc diffusion assay, the pure bark extrac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Moreov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ork layer, pure bark and branch extract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rbutin used as positive control. In the cytotoxicity measurement by MTT assay, leaf extract was exhibited Raw 264.7 cell viabilities of 44.68~61.83% as cytotoxic result in tested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branch extract of Prunus sargentii will be a functional materials without damage compared to other parts such as pure bark or cork layer in the plant.
        104.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i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lum after its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storage were determined using th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There were 44, 46, 45, 47, and 38 volatile compounds in the 0-, 0.25-, 0.5-, 0.75-, and 1 kGy irradiated samples, respectively. Also,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plum that was stored for 30 days were identified as 48, 40, 40, 39, and 40 components. The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the control and irradiated samples showed a similarity after the storage. Especially, the more important volatile flavor of the plum was identified as hexanal of the C6compounds, (E)-2-hexenal and (Z)-3-hexenal. In particular, hexanal, (E)-2-hexenal, and (Z)-3-hexen-1-ol increased in all the doses, where as hexanol and (E)-2-hexen-1-ol decreased. Among the lactone compounds, γ -hexalactone, γ-octalactone, and γ-decalactone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the raw samples. Hexanonic acid and 2-hexenoic acid were not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of the samples, and 2-methylprrole was detected only when the storage samples were irradiated at a dose higher than 0.5kGy.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effect on the vari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nent suntil 1 kGy in the plum was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105.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췌장베타세포인 HIT-T15 세포를 이용하여 매실주정추출물(PME)의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세포보호, 인슐린 분비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PME는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PME는 세포막 손상지표인 LDH 방출을 억제하였고 NAD+/NADH ratio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alloxan 단독처리군에 비해 250 μg/ml PME 처리군에서 인슐린 분비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Alloxan과 PME를 동시에 처리하여 HIT-T15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했을 때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되었던 항산화효소 활성이 PME에 의해 보호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PME는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0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ricot (Prunus armeniaca L.) cultivars show a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GSI) system, like other fruit species of Rosaceae family. Thu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ir S-genotypes in order for stable fruit set in commercial cultivation. S-genotypes of apricots were determined by PCR and test crosses. Three sets of consensus primers designed from Prunus S-RNases were used to amplify fragments containing the first and second S-RNase intron, respectively.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3 PCRs, we could identify SI genotypes of 33apricot cultivars. Several cultivars such as 'Heiwa', 'Yamagata No.3' and 'Shinsuoomi' had the self-compatible (Sc) allele. Self-pollination tests revealed that cultivars with Sc allele were self-compatible. Cross-pollination tests confirmed that there was cross-incompatibility between the cultivars with the same S-genotypes. These results might be very useful for growers for effective pollination and for breeders using these in cross breeding programs.
        107.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두 '대석조생'의 생육단계별 수확시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양상과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고자, 자두 '대석조생'을 60%, 80% 그리고 90% 이상의 착색율로 구분하여 수확한 후, 1, 4, 5, 그리고 에 최대 48일간 그리고 에서 3일간 숙성시키면서 호흡 변화, 품질 특성 및 저온 장해과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60% 착색기에 수확한 자두를 보다 낮은 저온에 저장하였을때 경도, 색도, 중량감소율과 적정산도의 유지
        108.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용적인 CA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매실 '남고'의 저장성 향상 및 저온장해과 발생 억제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매실 '남고'를 1, 5, 에 저장하면서 최적 CA 조성으로4% +75% 의 농도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매실의 상온 저장시에는 황변현상과 조직의 연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수확 후 3~4일 이내에 상품성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산화탄소와 에틸렌 생성량은 CA 저장구에서 유의적으로 줄었다. 또한, Hue
        109.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runs mume, Schisandra chinensis, Chaenomeles sinensis-- Prunus mume mixtrue (PM) treatment on colitis induced in mice by dextran sodium sulfate (DSS) treatment. A total of 25 male BALB/c mice (average weight 20.7 ± 1.6 g) were divided into 5 treatment groups and fed a commercial diet (A), PM administration (B), commercial diet + induced colitis by DSS (C), PM administration + induced colitis by DSS (D) and sulfasalazine + induced colitis by DSS (E). We found that PM treatment (D) and sulfasalazine (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NF-α and COX-2 compared to the DSS-induced colitis group (C). The expression of IL-4, STAT6, IFN-γ, STAT1 was decreased in group D and group E compared to the colitis group (C), COX-2 and STAT1 were more decreased in group D. The serum IgE levels decreased in the PM treatment groups (C and D) compared to the non-PM treatment groups (A and B)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M treatment groups. It is notable that a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PM extracts ameliorated DSS-induced colitis in mice.
        110.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매실의 소비촉진을 위한 주요 동기와 요인을 찾기 위하여 관심소비자층과 일반소비자층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특히 열매매실과 매실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실태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섭취방법, 구매경험, 구매경로, 구매가격, 소비경험, 구매결정요인, 선호요인, 불만족요인, 소비전망, 새로운 가공식품과 소비활성화에 대한 의견 등이었다. 총 534명에게서 응답을 받았으며 SAS program(Version 9.1)의 frequenc
        11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의 기원은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장기간이 짧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낮았다. 이런 이유로 육종가들은 저장성을 높이는 것과 향과 맛을 좋게 하는데 육종 목표를 설정했으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종가들은 이 목표에 따라 새로운 품종(‘천홍’, ‘수홍’, ‘하홍’, ‘유명’, ‘백미조생’, ‘천향’, ‘진미’, ‘수미’, ‘미스홍’, ‘유미’)을 육성하였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에서는 육성 품종의 보호와 특허권을 확보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마커의
        112.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Prunus mume)의 착즙과 건조 특성에 동결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매실을 동결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착즙수율과 주스의 품질특성 및 건조속도와 분말의 품질특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매실의 착즙수율과 건조속도는 동결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압착주스와 건조분말의 L과 b값 및 a값은 동결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고 높은 수준을 각각 보였다. 압착주스와 건조분말의 유리당과 유기산
        11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보석"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1993년 "남고"와 "양청매"를 교배하여 2001년부터 2004년에 걸쳐 1차 선발하고, 2005년에 2차 선발하여 2006년 최종 선발하여 명명되었다. 과실은 약 14.0g으로 약간 작은 편이지만 다수성이며 과육률은 약 88.3% 이다. 원예적 성숙기는 6월 중순, 생리적 성숙기는 6월 하순이다. 만개기는 남고보다 약 4일 가량 늦고, 꽃은 분홍색 홑꽃이다. 과실은 검은별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
        114.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에 설탕을 가한 후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매실 침출액의 총고형분은 55.08%였고, pH는 3.1이었으며, 산도는 구연산으로서 1.52%였다. 이 매실 침출액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공시된 모든 균주 중에서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31.2 mm의 저해환을 보여 이 균에 대한 매실 침출액의 항균활성이 가장 강하였고, 다음으로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
        116.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력이 탁월한 매실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하고,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phtometer 측정기에 의하여 항균활성물질의 화학구조를 다음과 같이 분리 동정하였다. 즉, 매실추출물을 상온에서 메탄올에 현탁한 후, ethyl ether, ethyl acetate, n-butanol로 각각 분배 추출하여 각 용매의 수용성 추출물을 획득하였
        117.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의 과육부를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만들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식품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매실분말을 0.5%, 1.0% 및 2.0% 첨가한 식빵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식빵도 만들어 매실분말을 첨가한 식빵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조구의 호화개시 온도가 인데 비하여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 첨가구는 로 낮았다. 또한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개시 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빵의
        118.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의 보존기한 연장을 위한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복숭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와 의 저장조건에서 복숭아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과실류에 대한 Codex 권장선량인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서 복숭아의 품질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초기 오염미생물의 균수를 약 2 log 단위() 정도 감소시키는 제어 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복숭아의 보존 실험에서,
        11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unus sargentii of Rosaceae familiy, has been reported to hav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these fa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pharmaceutical activities of the bark extracts P. sargentii.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raction (Fr) -5~10 isolated from P. sargentii was higher than 80% respectively at 10ppm.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Fr-5, 9 were about 97, 84%, respectively at 1,000 ppm.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Fr-9, 10 were about 75, 78%, respectively at 1,000 ppm.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72, 68% in Fr-2, 9 isolated from Prunus sargentii R. at 1,000 ppm.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y related to the anti-inflammation effect was 98% for Fr-8 at 500 ppm. Isolation of the methanol soluble fraction from P. sargentii yielded two major phenol compounds, (-)-epicatechin and taxifolin.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certainly determined by chemical analyses, as well as NMR and Mass spectroscop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 search for new cosmetic material from the bark from P. sargentii. and, (-)-epicatechin and taxifolin were isolated as active principles. So P. sargentii R. methanolic extracts may be used for the cosmetic material.
        120.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0% 알코올을 이용하여 5개월 동안 에서 담금한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산도는 숙성 2개월까지 온도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나. pH는 2개월 이후 를 제외한 숙성온도에서는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리큐르의 색도(420nm에서 흡광도)는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전 담금 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매실리큐르의 알코올 농도는 숙성 2개월 이후부터 와 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매실 리큐르의 환원당과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