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1

        102.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to provide management plan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hen clam, Mactra chinensis, in the Dong-li self-regulatory community of Busan. The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were SH∞=86.24mm, K=0.12/year, and = -1.37year. Survival rate(s) of the hen clam was 0.515.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M) was estimated to be 0.232/year and fishing mortality(F) 0.432/year for hen clam. The current biomass of the hen clam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713mt and the acceptable biological catch(ABC) was estimated under various harvest strategies based on F0.1 and F40%.
        4,300원
        10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 살초성분 해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 발아 및 생장억제물질 동정을 위하여 몇 가지 유기용매에 따른 황련의 분획 추출물에 대한 다른 식물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검정식물의 발아율은 들깨, 배추, 피, 참깨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2,000ppm ethyl acetate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발아억제를 보였다. 초장 및 뿌리생육은 참깨, 들깨, 배추, 피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뿌리신장은 H2O, butyl alcoh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물 순으로 억제정도가 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발아 및 유묘생육의 억제정도는 참해 및 배추에서 종특이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물 추출물은 종자발아 및 뿌리 신장에 천연살초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금후 천연제초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10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생활의 향상 및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2%의 저염도 통배추 김치에 미삼추출분말을 단독 또는 미삼추출물과 오미자즙을 병용하여 첨가하였다. 김치는 25℃에서 24시간 발효 한 뒤, 4℃에서 40일간 저장하며 5일마다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과 함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H와 환원당은 저장 초기에는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저장 11일부터는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와 용존 CO2 함량은 저장기간 내내 전반적으로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용존 CO2 함량은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 미삼추출분말 첨가군, 대조군의 순서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저장기간 내내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단단하게 나타났다. 미생물 중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저장 6일부터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관능특성검사 결과,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은 신맛이 약하고, 경도가 단단하게 평가되어 대조군에 비해 저장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은 미삼추출 분말 첨가군과 인삼향미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쓴맛은 유의적으로 약하게 평가되어 소비자 검사 결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 없이 미삼추출분말 첨가군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의 특성검사의 상관관계는, 용출된 국물양은 산도와 양의 상관관계, pH 및 경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용존 CO2함량과 용출된 국물양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탄산미는 신맛과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도 및 아삭거림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맛과 탄산미는 pH와 음의 상관관계, 산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저염도 배추김치에 미삼추출분말과 오미자즙을 첨가함으로써 기능성 증진과 더불어, 인삼의 쓴맛을 완화시켜 기호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던 것과는 달리 미삼추출분말과 오미자즙을 함께 넣은 처리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 양상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미삼과 오미자즙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되며, 이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000원
        116.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 종묘생산에 관한 초기성장의 자료를 얻기 위하여,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앞바다에서 1993년 5월에 자망으로 모하를 채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하의 평균 전장은 23.6±0.71cm, 평균 두흉갑장은 5.1±0.63cm, 평균 체중은 61.3±5.12 g이었다. 자연수온보다 4℃ 높은 22℃, 염분은 33‰ 조건에서 산란유발을 실시하였으며, 산란 후 FRP 1톤 용량의 원형수조에서 수온 24
        4,000원
        11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antagonistic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Actinidia chinensis P.) root on the natriuretic peptide receptor system in the rat kidney. By using in vitro receptor autoradiography, specific 125I-atrial natriuretic peptide (125I-ANP) binding sites were localized in glomerulus, inner medulla, intrarenal artery, vasa recta bundle, and renal pelvis of Sprague Dawley rat kidney. These specific bindings were competitively displaced by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in a dose dependent manner. Also, productions of 3',5'-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by activation of particulate guanylyl cyclase (GC) were stimulated by ANP in the glomerular and inner medullary membranes from rat kidney. These cGMP productions were inhibited by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on activation of GC was more potent rather than on 125I-ANP bindings to these renal structures. From affinity cross-linking study, the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inhibited the 125I-ANP labeling of GC-coupled natriuretic peptide receptor from renal glomerulus. Intravenous infusion of ANP elicits a potent diuresis, and urinary sodium and chloride excretions in New Zealand White rabbit. The pre-treatment of intravenous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infusion decreased competitively various renal effects of ANP with out changes in systemic hemodynamic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specifically inhibits the GC-coupled natriuretic peptide receptor subtypes (NPR-A), and suggest that the water extracts of Chinese gooseberry root may contain an antagonistic molecule regulating the biological functions of ANP system in the kidney and other organs.
        5,100원
        11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오미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1.24~4.42mg%, glucose 3.65~4.71mg%, sucrose 0.89~1.69mg%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당질의 대부분을 glucose와 fructose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은 0.98%, 75% ethanol 추출액은 0.89%, water 추출액은 0.58%로 나타나 50%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에 비해 유기용매 추출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water 추출액 60.87%, 50% ethanol 추출액 57.24%, 75% ethanol 추출액 55.61%로 나타나 용매별 전자공여능 효과가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다. SOD 유사환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3.6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4,000원
        12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 처리된 살충제의 아치사농도( 및 )가 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기간은 무처리의 암컷과 수컷에서 각각 6.9일과 8.0일, 살충제 처리에서 각각 7.2-7.6일과 8.3-8.6일로 무처리보다 살충제 처리에서 길었으나 살충제의 종류 및 아치사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화율은 무처리에서 88%, 살충제 처리에서 약 79-95%로 약제처리유무 및 아치사농도 처리에간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특히 chlo.fenapyr-bifenthrin 및 ethofenprox처리에서 91.0% 이상의 높은 우화율을 나타내었다. 성충수명은 무처리의 암컷과 수컷에서 각각 7.7일과 7.9일, 살충제 처리에서 각각 7.1-8.4일과 7.7-9.0일로 hexaflumuron-chlorpyrifos의 처리에서 가장 길었던 것을 제외하면, 살충제 처리유무 및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 산란수는 무처리에서 1,010개, 살충제 처리에서 778-948개로 살충제 처리유무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살충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용기간 및 산란은 유충에 처리된 살충제의 아치사농도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