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10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활성칼슘은 패각류를 고온(1,500~5,000℃)에서 고전압(약 15,000V)의 전기를 통하여 전기분해해서 생산하는 산화칼슘이며, 제품의 순도가 대단히 높고 독성이 전무하며, 분자간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생체 내 활성도와 용해도가 탁월한 물질이다. 이의 버섯의 생육단계별 고활성칼슘처리효과는 다음과 같다. 느타리버섯은 배지 수분조절시 혼합할 때 균사배양일수가 2일 단축, 초발이 소요일수는 1일 빠르고, 유효발이경수가 15개, 개체중이 148g/850cc로 6.5% 증수되었다. 큰느타리버섯은 배지 수분조절시 혼합할 때 균사배양일수가 3일 단축, 초발이 소요일수는 1일 빠르고, 생육소요일수가 6일간 단축, 개체중이 108.1g/850cc로 9.7% 증수되었다. 팽이버섯은 균긁기 시 처리가 가장 좋았다. 균사배양일수가 2일 단축,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 빠르고, 생육기간은 1일 빠르며, 재배기간은 3일간 단축, 개체중이 165g/850cc로 6.7% 증수되었다. 표고는 배지 혼합시 배양일수가 3일, 갈변화 시작일이 2일, 첫수확 소요일수가 4일 단축되며, 수량은 169g/2kg으로 9.7% 증수되었다.
        4,000원
        10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recognition on the mushrooms by elementary school pupi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dietitians were-carried out. The ways of cooking mushrooms by school dietitians were also investigated. Most students and dietitians highly recognized mushrooms as good food. The most favorite mushroom was Flammulina velutipes, the cooking of mushrooms with meat and the hot mushroom soup with meat(Jungol) being the most preferred cooking methods. School ditetitians like to use mushrooms in school lunch and generally use medium or high duality mushrooms. Students, however, do not tend to prefer mushrooms compared to other vegetables. Mushroom dishes that can promote the consumption by students are mushroom bulgogi, mushroom pizza, sweet and sour mushroom in the order.
        4,000원
        11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일본, 한국인의 3개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버섯의 소비형태를 조사하였다. 버섯의 주된 구입장소는 중국인은 시장, 일본인과 한국인은 마트였으며 버섯의 이용정도는 한국인보다는 중국인과 일본인이 더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을 구입할때 모양과 가격을 가장 먼저 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버섯가공품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인(45.1%)에 비하여 중국인(68.3%)과 일본인 (62.4%)이 높았으며 주로 구입해본 가공품으로는 중국인과 일본인 조사 대상자들은 버섯절임류(특히, 일본-병조림)가 가장 많았으며 한국인 조사 대상자들은 버섯차를 가장 많이 구입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버섯(느타리, 큰느타리, 표고버섯)의 구입 형태를 조사한 결과 느타리버섯과 큰느타리버섯의 경우는 생것을 선호하였으며, 표고버섯은 건조품을 많이 이용하였고 주된 요리방법은 볶음이었다. 느타리버섯의 경우 갓의 크기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각각 47.9%와 71.2% 갓의 크기가 2-5cm인 버섯을 선택하는 반면 일본인들은 50.6%가 갓이 2cm이하인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traviolet rays, soaking, boiling and baking to ergocalciferol (Vit.D2) and riboflavin(Vit.B2) contents of mushrooms, Lentinus edodes,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ushrooms were exposed to ultraviolet rays Lentinus edodes : 10J/cm2, Pleurotus ostratus : 2J/cm2 and Agaricus bisporus : 2J/cm2. 2. Before exposing to ultraviolet rays, the ergocalciferol contents of mushrooms were all 0μg/g dry base, but after exposing to it , those of Lentinus edodes,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were 222.50±5.30μg/g dry base, 150.90±6.60μg/g dry base and 23.98±1.20μg/g dry base, respectively 3. Before and after exposing to ultraviolet rays, the riboflavin contents of Lentinus edoes,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were 18.22±0.71μg/g dry base and 11.72±0.50μg/g dry base, 4.57±0.20μg/g dery base and 3.26±0.15μg/g dry base, and 37.42±1.20μg/g dry base and 27.33±2.10μg/g dry base, respectively. 4. The ergocalciferol contents of mushrooms according to boiling tim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riboflavin contents of them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oiling time. 5. The ergocalciferol and riboflavin contents of mushroom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and baking temperature. 6. The ergocalciferol content of Lentinus edodes after a short time soaking at 80℃ was higher than a long time soaking at 20℃, 40℃ and 60℃.
        4,000원
        11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isolation and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from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Auricularia auricula judge, Umbilicaria esculenta, Agaricus bisporus, Flammuline velutipes, Lentinus edodes, Ganoderma lucidum, and Coriolus uersicolor were examined by trac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utilizing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as a substrate. Among the eight edible mushrooms tested, Umbilicaria esculenta showed potent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above 78.4% against tyrosinase in ethylacetate (EtOAc) extracts. Ganoderma lucidum and Agaricus bisporus showed inhibitory activities of 67.3% and 51.5% in water extracts. EtOAc extracts of Umbilicaria esculenta was fractionated from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one fraction showed the most inhibitory activity of 60.9%. The three bands (Rf=0.38, 0.27, 0.19) were isolated from preparative TLC of the fraction for purification and identified as mixtures of orsellinate, methyl orsellinate, methyl lecanorate, and methyl gyrophorate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ltravisible spectrophotometer (UV), mass spectrophotometer (Mas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NMR).
        4,000원
        114.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배버섯으로 일반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고온성느타리(Pleurotus sajor-caju) 및 야생식용버섯으로 싸리버섯(Ramaria botrytis)과 젖버섯(Lactarius volemus)의 지질성분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각 버섯의 지방함량은 0.32~0.39%이었으며, 그 조성은 인지질(19.4~47.4%), 중성지질(32.1~51.9%), 당지질(14.8~28.7%)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다른 버섯에 비하여 중성지질(51.9%)의 함량이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21.2~38.2%), free sterol(21.0~21.9%), sterol ester(10.3~18.6%)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free fatty acid(34.1%)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특이하게 높았다. 당지질은 steryl glycoside(15.6~29.4%), esterified steryl glycoside(13.4~23.9%), monogalactosyl diglyceride(15.6~24.6%) 순으로 많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36.7~49.5%), phosphatidyl ethanolamine(20.9~29.7%), phosphatidyl inositol(18.4~26.1%) 순으로 많았다. 각 구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4종의 버섯 공히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싸리버섯은 중성지질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4,000원
        115.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송이 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한 전리에너지 처리가 저장중 버섯의 생리적,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호흡활성과 가용성 당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3kGy의 감마선은 선량에 비례하여 조사직후 버섯의 호흡활성을 자극하였으나, 저장(, RH) 2일경에는 다시 안정된 호흡량을 보였다. 버섯의 정장중 물리적 생장이 왕성한 5일경에는 호흡량이 최대치를 보였으나 감마선 조사시료에서는 호흡량의 감소와 peak의 발현이 지현되었다. 종이상자와 폴리에틸렌으로 포장된 버섯의 수분함량과 건물량은 저장중 비교적 안정하였고 환원당함량은 저장 5일부터 모든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1). 버섯갓(pileus) 부위의 유리당은 mannitol이 대부분이었고 trehalose와 glucose는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저장후 5일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2 kGy 조사시료는 대조시료보다 다소 높은 유리당 함량을 유지하였고, 저장중 버섯의 당함량과 호흡활성의 변화에는 뚜렷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4,000원
        117.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버섯(상황·영지) β-glucan 미세캡슐 제품을 10℃, 25℃, 40℃에서 5개월 동안 저장하며 한 달 간격으로 수분함량, 색도 및 일반세균 변화를 조사하고 식품 유통기한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통기한을 예측하였다. 수분함량 변화 결과 상황버섯 β-glucan 미세캡슐은 저장기간 동안 25℃와 40℃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10℃에서는 3개월째에서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영지버섯 β-glucan 미세캡슐은 저장기간 동안 25℃와 40℃에서 약간의 증가 및 감소가 있었으나 10℃에서는 저장 3개월째에서 초기값보다 감소한 후 증가하였다. 색도 변화는 상황버섯, 영지버섯 β-glucan 미세캡슐 모두 10℃, 25℃, 40℃에서 저장 5개월째까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일반세균은 상황버섯, 영지버섯 β-glucan 미세캡슐의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큰 변화 없이 초기값을 유지하였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상황버섯 β-glucan 미세캡슐은 30.11개월이었고, 영지버섯 β-glucan 미세캡슐은 24.82개월의 유통기한을 최종적으로 산출하였다. 따라서 약용버섯(상황·영지) β-glucan 미세캡슐 제품의 유통기한을 각각 24개월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118.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shrooms have been widely cultivated and consumed as foods and herbal medicines owing to their various biological proper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shrooms.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shroom extracts (ME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ion in macrophages (RAW264.7 cells). First, we extracted MEs with either water or ethanol. Using LPS-treated RAW264.7 cells, we measured cell proliferation and NO production. Gen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 (IL)-6 (IL-6), and IL-1β was assessed by RT-PCR, and protein abundance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nd phosphorylation of p65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ting. MEs prepared using both water and ethanol inhibited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Nitric oxide (NO) levels induced by LPS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MEs. Isaria japonica Yasuda water extracts and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 ethanol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cytokine genes including TNF-α, IL-6, and IL-1β. Similarly, the protein abundance of iNOS and COX-2 was also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p65, a subunit of nuclear factor-κB was at least partly suppressed by MEs. This study suggests that mushrooms could be included in the diet to prevent and treat macrophage-related chronic immune diseases.
        119.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boiling, roasting, stir-frying, and deep-frying) on folate retention in 6 kinds of mushrooms (Beech-, button-, Juda’s ear-, oak-, oyster-, and winter-mushroom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In order to assure reliability of analytical data, trienzyme extraction-L casei method was verified and analytical quality control was also evaluated. Folate contents of mushrooms varied by 6.04-64.82 g/100 g depending on the type of mushrooms. and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oking methods. Depending on cooking methods, folate contents of mushrooms decreased by 22-48%, 2-31%, and 17-56% for Juda’s ear-, oak- and oyster-mushrooms, respectively, while 17-90% of folate was increased in Beech mushroom. Overall, the largest weight loss was found in boiled mushrooms, but the lowest one in deep-fried samples. True folate retention rates considering processing factor were less than 100% for all cooked mushrooms except for Beech samples. Overall, folate loss was the largest by boiling with water but the smallest by deep-frying. Both accuracy and precision of trienzyme extraction-L-casei method were excellent based on a recovery close to 100% and coefficient variations less than 3%. Quality control chart of folate analysis (n=26) obtained during the entire study and an international proficiency test (z-score=-0.5) showed that trienzyme extraction-L casei method is reliable enough for production of national folate database.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