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12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in cold hardiness were confirmed with relative electrolyte leakage (REL) method in the shoots of two peach cultivars (Prunus persica Janghowon Hwangdo and Odoroki) during cold acclimation and deacclimation. Changes in proline (Pro) content and related gene expressions were also analyzed. Particularly, transcript accumulations of P5CS and P5CR were examin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RT-PCR. REL in the shoots of two peach cultiva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Cold hardiness of two cultivars increased gradually to December 2012, and then decreased to April 2013, whereas Pro contents of ‘Janghowon Hwangdo’ and ‘Odoroki’ were redu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o February 2012 and then increased in the spring. Interestingly, P5CS gene encoding an enzyme, which catalyzes conversion from glutamic acid (Glu) into glutamic-γ-semialdehyde (GSA) in the first step of Pro pathway, showed the contrasting patterns with Pro contents of two cultivars. On the other hand, P5CR gene encoding an enzyme, which catalyzes conversion from Δ1-pyrroline-5-carboxylate(P5C)intoPro in the final step of Pro pathway, showed the similar patterns to Pro contents in two cultivar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Pro responds negatively to low temperatures in the shoot of different peach cultivars, including the supplemental 10 peach cultivars, and expression of both P5CS and P5CR genes could show contrasting patterns from each o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identification of both P5CS and P5CR genes are required necessarily for accurate analysis of Pro biosynthesis because Pro accumulation is affected more by expression of P5CR gene.
        12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육성 및 수집된 복숭아 주요품종에 대하여 SSR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복숭아 품종식별에 적합한 SSR 마커를 선정하기 위하여 9개의 주요품종을 대상으로 총 189개의 SSR 마커를 분석하였다. 최종 선발된 20개의 SSR 마커를 대상으로 72품종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SSR 마커에 의해 분석된 대립유전자의 수는 2~9개였고, 총 71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으며 마커 당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3.6개로 조사되었다. PIC 값은 0.246~0.771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523으로 나타났다. SSR 마커를 이용하여 분석된 복숭아 72품종의 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0.39~1.00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복숭아의 대표적 형태적 특성인 솜털의 유무에 따라 천도계 복숭아 그룹과 백도계 복숭아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72품종 중 68품종은 SSR 마커의 유전자형에 의해 구분되었으나, 돌연변이로 육성된 품종은 분자표지로 식별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복숭아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및 품종식별 연구를 위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23.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that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 0.5, 1.0 and 1.5%) of peach seed powders (PSP), which exhibit antioxidant characteristics. Mungbean starch gel samples were prepared and subjected to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general components,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qualities. The L-value and the a-value for color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the b-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SP concentration increased (p<0.05).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mungbean starch gel with 1.5% PSP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grees of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p<0.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1.5% PSP to which mungbean starch gel was added, which also showed a higher than 7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evel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In the sensory test of the mungbean starch gel, its sensory scores for flavor and taste were highest in the 0.5% PSP to which mungbean starch gel was added.
        124.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ifferent packag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d vacuum-dried peaches. All the dried peach samples were stored such as N2 gas substitution, vacuum and passive packaged with polyethylene (PE) film and oriented polypropylene (OPP)/aluminum (Al)/PE film at 40℃ for 50 days. The weight change, pH, 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soluble solid-acid ratio (SS/TA), delta E, browning degree and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The weight change and pH were lower in the 0.1% vitamin C-treated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lowest in the vacuum-treated OPP/AL/PE. The soluble solids content and the SS/TA were higher in the non-treated groups than in the vitamin C-treated groups. According to the packaging methods, the L* values were higher in the vacuum, N2 gas and passive package, in that order. In addition, the browning degree and the delta E value were lower in the pretreated groups and significantly lowest in the vacuum-treated OPP/AL/PE with 0.1% vitamin C group. The phenolic compounds were high for the pretreated groups, according to the packaging methods (vacuum > N2 gas> passive), and the OPP/AL/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and pretreatment methods affected the quality of the dried peaches, and the vacuum- OPP/AL/PE film packaging group showed a high quality.
        12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ce’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에 복숭아색의 ‘PC-025’를 모본으로, 착색이 빠른 밝은 적색의 ‘Ichiban’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양성된 실생 개체를 선발하여 계통화하였다. 2007~2008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53’을 육성하였고 2009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그레이스(Grace)’로 명명하였다. ‘Grace’의 포엽의 형태는 타원형이며, 포엽의 엽맥 사이에 약한 주름이 있고, 포엽의 색상반점무늬로 이루어진 복숭아색이다. ‘Grace’의 엽신은 난형이며 진한 녹색이고, 엽절이 적으며, 엽병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다. ‘Grace’의 줄기 색은 녹색계이며 적심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지가 발생한다. 초장은 짧으며 단일처리 후 약 7주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126.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etreatment and infrared dry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peaches. The pretreatment methods were the 30 min treatment of NaCl, vitamin C, and soluble Ca (1:5 w/v immersion ratio), and leaving them untreated before infrared drying at 55℃ for 20 hr. The moisture content was lower in the pre-treated group and was significantly lowest in the 0.3% NaCl. The titratable acidity and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 ratio (SS/TA) were high for the vitamin C and soluble Ca groups. The browning degree and cutting strength of the dried peach were lower in the pre-treated group. The total sugar content in the 0.3% NaC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vitamin C and soluble Ca groups. The Ca contents were more effective in the soluble Ca treated group and increased with higher Ca concentration.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organoleptic scores for the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r in the 0.1% vitamin C treated group. The phenolic compound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high for the 0.1% vitamin C and 0.1% soluble Ca 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treatment affected the qualities of the dried peaches, showing that infrared drying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dried peach products.
        12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복숭아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육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재배 품종 및 국내에서 수집한 야생 복숭아 64점을 대상으로 SRAP, AFLP와 RAPD 분석을 수행하였다. 19종과 20종의 primer조합을 이용한 SRAP와 AFLP분석에서 각각 143개(26.7%)와 193개(27.2%)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하였고,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7.53개와 9.65개였다. RAPD분석에서 52종의 선발 primer를 이용하여 201개(45.9%)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으며,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3.90개였다. SRAP, AFLP와 RAPD분석에서 획득된 537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비가중 평균결합)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0.751을 기준으로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복숭아 유전자원 간 유전적 유사도 값은 0.370~0.978의 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737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78)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PH065와 PH066 간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370)을 나타낸 유전자원은 Prunus davidiana와 PH020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된 64종의 복숭아 유전자원은 집괴분석 결과 유전자원들이 수집된 지역은 다르지만 유전적 다양성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12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ay rose cultivar ‘Peach Zen’ 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yellow spray cultivar ‘Sunny Lady’ and red spray cultivar ‘Madonna’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e & Herbal Science. The cross was made in 2007 and ‘Peach Zen’ was finally selected in 2011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Peach Zen’, a light pink spray cultivar grows vigorously and has good shape and good vase lif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ultivar are 128.4 stems/㎡/year in yield, 76.4±6.3 cm in length of cut flower, 5.8±0.6 cm in flower diameter, 39.3±4.2 in petal number, and 12.6±1.2 days in vase life. This cultivar can be propagated by both cutting and graf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of this cultiva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 ‘Little Mable’.
        130.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olitary ascidian, Halocynthia aurantium, which is commonly called the sea peach because of its coloration and general shape, is a valuable organism of benthic marine population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Sea, Korea. It is seldom found at a depth of less than 10 meters and the sea peach is frequently observed in large populations between 20 and 100 meters. It appears to prefer attachment to vertical rocks faces and artificial cement blocks exposed to the currents. Mass mortality and reduction of resources in sea peach, H. aurantium, were occurred in the benthic area of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Sea because of the rapid fluctu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salinity due to mass rainfall in summer and going up north of a strong warm current in winter.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mbryonic development of fertilized eggs, tadpole larva to metamorphosis, and attachment to siphon development. Laboratory-raised larvae were studied using a two-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with four levels of temperature(8, 12, 16 and 20℃) and four levels of salinity(20, 25, 30 and 34 psu). The ascidian larvae of H. aurantium survived environmental conditions between temperature of 8~20℃ and salinity of 25~34 psu and exhibited positive growth at 8~16℃ and 30~34 psu. Fertilized eggs have not developed at lower salinity of 20 psu irrespective of temperature range tested and have showed an abnormal development at the salinity of 25 psu between higher temperatures of 20 and 24℃. This result suggests that temperature increase and salinity reduction depending on environmental fluctuation ma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population variation of H. aurantium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Sea.
        13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장미 신품종 "피치푸딩"품종육성은 향기가 우수하고 절화수명이 긴 스탠다드 장미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0년도에 적색의 스탠다드 '레드산드라'를 모본으로 향기가 있는 백분홍색의 스탠다드 '도로레스'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1-2002년에 271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3-2006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후 최종선발된 '원교D1-72'를 "피치푸딩"으로 명명하였다. "피치푸딩"의 화색은 오렌지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133.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 제조를 위한 최적 침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알코올함량은 완과를 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30%로 가장 높았고 절편과 구간은 6 및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약 28%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약 , 총산도는 약 0.2%, pH는 약 4.8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완과 구간에서는 2.8% 전후로 함량변화가 크지 않았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로 나타나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다. 갈색도는 완과 구간에
        134.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를 원료로 하여 항돌연변이원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L. plantaum KLAB21 균주에 의한 젖산발효 주스의 제조 가능성과 젖산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젖산발효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에서 25, 30, 에서 보다 더욱 높은 생균수의 증가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살균하지 않은 복숭아 주스보다는 저온에서 살균한 주스가 젖산발효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plantaum KLAB21 균주 단독발효의 경우가 L
        13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erbera variety 'Peach Honey' was released by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2006. A cross was made between 'Ansofie' with white and semi-double and 'Lilabella' with pink and semi-double in 2000. After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for 6 years (from 2000 to 2006), it was selected specially for the use of cut-flower. 'Peach Honey' is vigorous cultivar with salmon and semi-double. It produces a large yield with continuous supply of flowers and has adequate peduncle height and brilliant color. We believe that 'Peach Honey' has a great potential for expanding cultivated area of domestic gerbera cultivar and increasing farmers-income.
        136.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확 후에 실시되는 고 이산화탄소(60및 )의 전처리(3, 6, 12시간)가 '일천백봉' 복숭아의 상온 유통 중 신선도 및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6시간 이상 전처리할 경우 상온 유통 중 호흡, 에틸렌 발생, 과피 변색 및 연화 현상이 둔화되었으며 유통기한 중 조직감이 향상되었다. 상온에서의 부패 현상도 및 를 6시간 이상 처리함으로써 크게 억제시킬 수 있었다. 복숭아과실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상온 유통중 변화하
        137.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쓰가루 사과 과실과 백향 복숭아 과실에서 1-MCP 처리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쓰가루 사과는 수확 직후 1회의 1 또는 5 ppm의 1-MCP처리에 의하여 2주간의 저장 기간 중 품질의 지표인 과육의 경도와 적정 산도의 저하가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1-MCP의 처리는 지속적으로 과실의 호흡을 억제하였으며 에틸렌 생성의 개시 시점을 늦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백향 복숭아에서는 수확 후 반복적인 1-MCP의 처리에 의해서만 약간
        13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포에 비해 색차(δ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39.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 포에 비해 색차(δE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 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40.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지방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생과용 복숭아를 이용하여 수확후 오존수 침지처리가 복숭아 품질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가용성고형물은 처리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후 15일째는 무처리구와 오존수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도의 변화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오존수 침지처리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오존수처리후 10일째와 15일깨 모두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