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22.
        200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eenberg(1990)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may potentially explain many organizational behavior outcome variables. One example of nontraditional job behavior is service quality, for it is part of the spontaneous and innovative behaviors noted by Katz(1964). The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service quality,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 and tenur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only interactional justice had an impact on service quality. Also the results of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hort term employees were more sensitive to distributive justice than long term employees. This result means short term employees are more interested in incentive system than long term employees.
        3,000원
        124.
        200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increasing of Korean family's revenue and pursuing quality of life, outdoor food and meal industry is rapidly growing up. Thus employee's service quality is much more needed in this industry.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empowerment and service quality. The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effects of employee empowerment on service quality,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 and tenur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 empowerment an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meaning, competency, and autonomy generally had an affirmative impact on many service quality factors. Also the results of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ng term employees were more sensitive to autonomy than short term employees.
        4,000원
        12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유적인 자산을 매개로 한 기업간 교환관계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기회주의의 문제는 기업간 교환관계의 성과를 저해하는 핵심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특유적인 자산을 매개로 한 국제기업간 교환관계의 특성을 나타내는 국제합작투자기업에서 자산특유성에 따른 소유권의 기회주의 억제효과가 자산특유성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는 자산특유성의 한 유형으로서 물적자산특유성과 인적자산 특유성이 각기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자산의 특유성과 소유권의 관계에서 물적자산특유성이 클 경우에는 소유권의 지배가 더욱 선호되고 있으나, 인적자산특유성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자산특유성의 유형에 따른 소유권의 기회주의 억제효과를 보기 위한 매개회귀분석에서도 물적자산특유성의 경우에는 소유권의 기회주의 억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인적자산특유성의 경우에는 소유권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6,000원
        126.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프로축구선수의 자율성지지 및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 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프로축구선수(K리그 1부, 2부) 로 하였으며, 결과분석에는 301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매개회귀분석과 조 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와 통제 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 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 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및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만,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수행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127.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건강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시간적 자기조절 이론에 대한 부분적인 검증으로, 운동 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의 이득과 비용을 인지하는 시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의도와 의도-행동 불일치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변인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단계적 변화모형의 운동 행동 변화 단계(Prochaska & Marcus, 1994)를 기준으로 계획, 준비, 행동, 유지 단계에 해당하는 20대 여성을 단계별로 25명씩 모집하여 총 100명을 대상으로 3가지 인지테스트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 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행동 단계와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운동에 대한 비용을 이득 보다 먼저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획단계보다 유지단계에서 운동에 대한 이득을 인지하는 시점이 빨랐고, 이득과 비용을 인지하는 시간적 격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도가 높아질수록 의도-행동 불일치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Stroop test의 불일치 조건 반응시간, Tower of London의 total move score 및 initial time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인 자제력과 집중력은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간적 자기조절 이론의 바탕이 되는 시간적 특성을 운동 단계에 따라 살펴보고, 자기 조절능력을 자기 통제의 개념과 구분하여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시간적 자기 조절이론이 건강 행동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고 다양한 연 구 분야에서 유용성을 확장해 나가기 위해선 추후 이론을 구성하는 변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28.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erience motivations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visitors’ satisfaction of Jeonju Hanok Village. With respect to these matters,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o further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Jeonju Hanok Village. First, attractiveness, convenience, and cleanli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eonju Hanok Village have positive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level; yet, accessibility and entertainment were found not to have significant impacts. Second, experience motivations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convenience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cleanliness and visitors’ satisfaction. Due to limitations on sampling methods, one needs to take cau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study and implement the result in practice subsequentially. However, I think that there was a meaningful result, which successfully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eonju Hanok Village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motivation.
        129.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roduction of self-service technologies (SSTs) in retail stores aims to provide customers with a more satisfying shopping experience. Many retailers are increasingly turning toward the adoption of self-service technologies in providing services directly to customers. Given that previous SST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ST on customer response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the presence of employe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ST and customer responses. Based on the two ground theories, motivation-based theories of behavior and social impact theory,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hopping motivations, SST use intention, and retailer attitud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esence of employees on the three relationships were also tes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est results showed that both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motivations effect on SST use intentions, and SST use intentions effect on retailer attitude, subsequently. Although the presence of employee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motivations and SST use intentions, the employee pres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ST use intentions and retailer attitude. The impact of SST use intentions on retailer attitude was higher in the high presence of employee group than in the low group.
        130.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study wer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Pine and Gilmore’s Experiencel Economy. The type of household composition was set as the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s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439 effective respondent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s, escapist experience factors, attitudes,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ositive (+) influence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ir influence relationship was as follows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attitudes > escapist experience factor > subjective norm >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household com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ducational experiences, escapist experiences, and subjective norm on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Significant results were not tested on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attitud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131.
        202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examine curvilinearly moderating effects of task inter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ultlines and group performance. It posits that the degree of task interdependence has an impact on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ultlines. It was conducted in six organizations in Korea, their industries including heavy industries, hospital, construction, petrochemical, fine chemicals, and system integration.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1330 individuals in 162 teams and 1082 individuals in 137 team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o test the hypotheses including nonlinear interactions,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he survey data from 82 groups within six firm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for groups that experience a high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the slope for the regression of demographic faultlines on group performance is comparatively low and, at the low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insignificant. However, at intermediate levels of task interdependence, the association was strongly negative and significant. This study finds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ultlines and group performance is stronger when task interdependence is moderate than when task interdependence is high or low. Therefore,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optimal group design by carefully assigning tasks in diverse and divided groups.
        132.
        2020.0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arious clue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anies that produce and sell high-involvement products for Millennials who are not the subject of current consumption but who will lead future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17 factors of high-involvemen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FGI, and its relationship on repurchase intention after make a variable through PCA. A total of 158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IPA, independent sample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external and internal selection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s, and in particular, appealing to internal and external selection factors in order to promote repurchase intention. Meanwhile, the Millennials were found to have no gender difference. Therefore, the company producing and selling high-involvement product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priority effort to secure brand awareness, trust in product producers, store trust, and product self-reputation as components of internal selection factors. It was also concluded that more strategic efforts were needed to focus on and appeal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itself rather than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13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득 및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는 모호성 광고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 광고에 제공되는 메시지의 양을 조절하여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을 구분하였고 이에 대한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메시지 제작에 있어서 모호성의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은 경우 이득 메시지에 비해 손실 메시지의 광고태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용자는 동일한 상황의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손실 메시지 상황에서 모호성 수준이 높은 광고는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모호성 광고 제작을 위한 논의를 제안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134.
        2018.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artup firm's knowledge assets on the effectiveness of their sales strategies, efficiency of sales activ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categorizing these assets into customer knowledge assets and technology knowledge assets.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motion focus by CEOs and sales managers of startup firm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dyadic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CEOs and sales managers of startup firms established at the Gyeongnam Technopark and the KAIST Technology Business Incubation Center in Korea.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through ANOVA. CEO's customer knowledge asset strengthened their effectiveness of sales strategies, and sales manager's technology knowledge asset strengthened the efficiency of their sales activities. Also, CEO's effectiveness of sales strategies and sales manager's efficiency of sales activities have been found to enhance startup firm's management performance. Mean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motion focus strengthened CEO's effectiveness of sales strategies through CEO's customer knowledge asset and interaction as CEO's promotion focus level increased, but promotion focus of sales manager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by offering empirical evidence on startup firms with regard to knowledge assets.
        135.
        2018.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lso exami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team job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of domestic distribution companie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missing and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636 individuals of 107 teams were used for the SPSS 18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meaningful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creativ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Task feedback was sh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on the motivation to perform tasks successfully. In the ca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leadership style helped individuals overcome fear by providing support, sympathy, and consideration to create novel ideas. But, its effects were different on team creativity when it interacted with core job characteristics. Departments where creativity is highly emphasized within an organization are able to design job characteristics which fit the task at hand. Moreov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rings about different effects on team creativity when it interacts with job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asks and individuals as well when conducting education and training.
        136.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methods for companies to contribute to not only social and national developments, but also on the promotion of individuals and companies by re-examining the various phenomena that define companie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job performances as well as the role of CEOs in showing authentic leadership and meaningfulness of work. A total of 312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3-way interac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not only enhanced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but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CEO. Additionally, the role of the members in the company also showed to play a very significant role in a company’s development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CEO and members nee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ethics as well as gain more competitiveness and improve their reputation by promoting their sense of calling and feeling of compassion in the workplace. In other words, the members of the high-ranking book and the members of the relatively low position will have different degrees of information transfer and evaluation of the company policy may be different.
        137.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근거하여, 혁신의 특성인 상대적 이익,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 복잡성 등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관련하여 개인 혁신성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경기권 및 강원도 지역의 5개 대학을 선정하고 2017년도 2학기에 이 대학들의 교수학습지원(개발)센터에서 주관한 스마트 기기 활용 교수법 특강에 참여한 교수.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Rogers의 5개 특성 과 수용의도, 개인 혁신성 측정을 위한 척도를 구성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 수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5개 변인이 혁신의 수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개인 혁신성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 이익과 적합 성, 복잡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찰가능성과 시험가능성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 가설에서 기각된 관찰가능성과 시험 가능성을 제외하고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 이익과 복잡성에서만 개인 혁 신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3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익연계광고 유형이 광고태도와 광고내용에 대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공익 수혜자와의 심리적 거리와 소비자 자기감시성향의 조절역할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공익연계 광고유형은 제품관련 광고와 사회적 중 요성을 보여주는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심리적 거리는 가까운 것과 먼 것으로 분류하여 총 4가지 유형의 공익연계 광고 실험물이 제작되었다. 나아가 응답자의 자기감시성향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조절변인으로 사용하였 다. 가설검증결과, 공익연계 광고유형은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거리 는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감시는 수용의도에는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 고 있으나 광고태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13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POP광고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응답자의 자기감시와 충동구매성향이 어떤 조절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물은 이미지형, 판매촉진형, 제품정보형으로 분류하여 총 3가지 유형의 POP광고물을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충동구매성향과 자기감시성을 측정하고 각각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조절변인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POP광고유형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OP광고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충동구매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기감시성은 구매의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태도에는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14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향기요법의 중재변인별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향 기요법에 있어 더 효과적이며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메타분석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총 2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CMA프로그램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효과크기는 ES =0.678로 중간 이상의 효 과를 나타내었다. 중재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대상별 로는 일반인 집단(ES =0.751)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향기요법 은 일반인과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향후에 는 일반인집단과 환자집단별로 적절한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연구 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적용방법별은 건식흡입법(ES=0.684) 이 확산흡입법(ES=0.643)보다 효과적이었지만 모두 중간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기 때문에 어떤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효과적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설계 시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이 가능 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향기요법 실험기간별 효과크기는 21-30일 이 효과적이었으며(ES =0.905) 실험횟수별 효과크기는 11-15회 (ES=1.095), 실험 1회당 시간별 효과크기는 2분(ES=1.333)이 효 과적이었다. 이는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주 3회에 1회당 2분이 향 기요법에 가장 효과적인 연구방법이라 판단된다. 향기요법 종속변 인별 효과크기는 심리(ES=0.768)가 효과적이었다. 이는 향기요 법이 심신 이완이 증진되어 심리적 효과와 불안과 우울이 감소된다 는 이론과 일치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Hansen et al., 2006). 따라 서 향기요법이 심리적인 문제 개선에 매우 유용한 요법이므로 극도 의 심리적 불안정을 가진 정신질환자(우울증, 공황장애, 피해망상 증, 불안장애 등)에게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향기요법의 각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향기 요법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향기요법에 대한 후속연구 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향기요법의 구체적이고 세밀한 중재변인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 어 향기요법의 재료는 한 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3가지를 혼 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어려 웠다. 추후연구에서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