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

        14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한류는 다양한 분야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문화콘텐츠가 필요한 시대에 대응하여 잠재적가치가 높은 K-Beauty사업과 한류의 상징인 K-Pop을 활용하여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을 개발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으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한류 콘텐츠 현황과 K-Beauty사업 중 향기제품시장의 발 전가능성을 분석하고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디자인 기획에서는 디자인 방향 및 목적, 디자인 개발 내용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3D 시뮬레이션,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콘텐츠가 필요하였다. 둘째, 급성장중인 K-Beauty사업과 K-Pop시장을 융합하여 새로운 경쟁력 있는 브랜 드를 구축하기 위해 한류스타의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 디자인의 방향 및 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한류스타와 팬이 교감할 수 있는 응원봉 제품개발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고 한류 문화의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콘텐츠간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한류문화의 다양성을 경험 할 수 있는 제품개발의 사례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14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Hair care products are mainly prepared by mixing chemicals and natural extracts, such as those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ic extracts from the whole plant of Houttuynia cordata and tymosin β4 powder mixtures on the growth of HaCat cells,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and 3T3-L1 cells. Methods and Results : In the ratio of tymosin β4 more than 10% concentrations, the cell viability of HaCat and HFDPC cell were increased by higher tymosin β4 concentrations. The mixtures of 70% ethanolic extract of H. cordata and tymosin β4 had no toxicity potential to 3T3-L1 cell viability. In this test, the content of thymosin β4 was higher concentration, a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increased. The lipid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dipogenesis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treatment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optimal mixture ratio of hair growth effect was 70% ethanolic extract of H. cordata solution 50% and tymosin β4 solution 50%. This mixture solution c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hair care products.
        14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144.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U WEEE, EU ErP, EU ELV, 국내 자원순환법 등 국내외 자원순환 관련 규제가 점차 강화됨에 따라 규제의 이행방안은 제품의 설계단계에서 원재료 사용량을 절감과 제품별 재활용률 목표치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제품은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 및 제품별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재활용이 어려운 복합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폐기단계에서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재활용 용이 설계를 위해 기업별 제품 설계 가이드라인이 존재하나, 다양한 산업군에서 적용하기에는 방법론이 상이하여 전 산업에서 고려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 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유니소재화 제품 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전기전자제품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유니소재화 제품 평가항목은 소재 종류 단순화, 재활용 가능성, 소재의 범용성, 체결 공수 최소화, 체결 종류 단순화, 구조 단순화, 순환자원 이용 가능성, 자원의 소비효율성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 가중치는 전문가를 통한 AHP 기법을 적용하였다. 평가항목은 기존의 사후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으며, 국내 자원순환법, EU에서 논의중인 자원효율성 표준 항목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A사 셋톱박스를 대상으로 유니소재화 제품 평가를 진행하여 적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였고, 가중치가 높은 소재종류 단순화와 재활용가능성 항목은 각각 20점 만점에 14.2점, 16.4점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점수는 100점 만점에 70.0점으로 유니소재화 제품 평가 결과는 적합으로 나타났다. 재활용 용이 설계를 위한 유니소재화 전략을 수립하는 기업들에게 평가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전략 도출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를 통해 제품의 실현 가능성을 점검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성 중심의 평가로 인한 기술성의 차별성 및 경제적인 효과 등의 부재는 본 방법론의 평가를 통해 적용가능성 판단 후 별도의 비용편익분석 및 특허분석을 수행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147.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전 산업에 걸쳐 청정생산, 효율적 순환자원의 활용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제품의 재활용이 용이한 설계, 수거 및 재활용, 유해물질 사용제한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제도와 법률의 제・개정이 확대 및 강화되고 있다. 이에, 국내외 환경규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자원순환형 친환경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제품의 본래 기능은 유지하면서 제품의 소재・구조개선을 통해 자원관리 및 자원순환을 촉진하는 유니소재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화식 가습기에 대해 유니소재화 제품 평가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재활용평가를 통한 전략도출, 도출된 전략에 대해 적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사전평가, 제품개발 이후 검증을 할 수 있는 사후평가와 유니소재화 제품을 개발하는 기술에 대한 기술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기화식 가습기의 재활용평가를 통해 스크류 날개(Blade)와 디스크바디(Disk Body)의 구조를 분리형(26개)에서 일체형(1개)로 변경하는 분리 용이성 개선 전략을 도출하여 유니소재화 제품 개발을 적용하였다. 제품 개발에 대한 평가항목은 유니소재화 제품 개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였다. 사전평가의 경우 소재 자원순환성, 구조 단순화를 고려한 환경성 평가는 66.88점, 시장 성장성, 시장 경쟁성, 시장진입성, 생산 용이성, 수익성과 안정성, 기술 사업화 환경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는 66.40점, 기술 우수성, 기술 경쟁성, 기술모방 용이성, 권리 안정성을 고려한 기술성 점수는 65.22점으로, 전체 점수는 66.27점으로 산출되어 유니소재 가능성 판단 결과 “있음”으로 나타나 유니소재화 제품 개발을 진행하였다. 제품 개발 이후 사후 및 기술가치평가를 통해 사업화 여부에 대해 판단하였다. 사후평가 결과 기술기여도는 34.7%로 산출되었으며, 기술가치평가는 할인현금흐름법으로 평가한 결과 1.63억원, 로열티법으로 평가한 결과 8.76억원의 가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상용화에 대한 분석 결과 자체 기술개발 보다는 본 기술을 타 기업에 라이센스를 양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분석되었다.
        148.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 부존자원의 채굴량 한계, 산업규모의 증가 등으로 인해 수요에 비해 공급량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미 사용수명이 다한 폐기물로부터 유효한 자원을 다시 회수하는 재활용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근대화된 도시로부터 발생하는 폐기물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자동차와 더불어 전기・전자제품은 주요 도시광산으로써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전기・전자제품의 주요 구성물질인 플라스틱은 유가금속 등을 회수하고 나면 남는 물질로 현재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에 의하여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전기・전자제품 수요의 증가로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체 산업폐기물은 소각하여 감용화하고 매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폐플라스틱의 소각과 매립은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거시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폐플라스틱의 소각에 의한 처리는 일부 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염화수소에 의한 소각로의 부식과 다이옥신 등 각종 유독성 가스를 방출하여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매립은 매립 부지의 확보문제뿐만 아니라 유해성분이 용출될 수 있으며, 단위 무게에 비해 부피가 커 매립효율을 저하시키고, 물리・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난분해성이라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와 흙 속에 반영구적으로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분해 시 토양오염 및 유해가스를 대기 중에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EPR(생산자책임재활용) 제도를 2003년 1월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폐플라스틱의 소각과 매립을 법으로 규제할 계획에 있어 플라스틱 산업 및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재활용 기술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할 수 있는 기술로는 물질 재활용, 화학적 재활용 그리고 에너지 재활용의 방법이 있으며, 이중 물질 재활용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어느 방법이든 다른 종류의 폐플라스틱이 혼재되어 있으면 재활용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 기술은 재활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며, 특히 플라스틱의 가격을 고려할 때 경제적인 재질분리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율 향상을 위하여 폐 소형가전제품의 플라스틱을 대상으로 마찰하전 정전선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전극의 세기, 공기의 세기, 분리대의 위치 그리고 습도를 변화하며 최적 분리조건 및 분리효율을 규명하여 대상 시료의 본 선별법을 통한 분리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49.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발효능이 우수한 미생물과 기능성이 밝혀진 농특산 향토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장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꾸지뽕 열매를 A. oryzae koji, Lactobacillus 6종 및 Bacillus 2종에 대하여 발효시킨 결과, B. licheniformis SCDB 1234 균주가 kaempferol 함량을 9.54μg/g에서 217.04μg/g을 약 22배 증강시켜 최종 발효균주로 선발되었다. 꾸지뽕 열매를 선발균주를 활용하여 발효한 발효물 20배 희석액의 DPPH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인 BHA, BHT의 92~99 ppm 농도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 저해 활성도 arbutin이나 kojic acid의 95 ppm과 90 ppm과 같은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꾸지뽕 열매 발효물을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여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꾸지뽕 열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장류와 유의적인 차이점을 보이진 않았다. 꾸지뽕 열매 발효물과 개발한 된장의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발효물의 경우에는 발효전보다 발효후에 더 높은 80% 이상의 높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개발한 된장은 숙성전 된장이 숙성후 된장에 비해 더 높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항당뇨 효과로 AGI활성을 분석한 결과, 꾸지뽕 열매는 발효전보다 발효후에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고, 꾸지뽕 열매 발효액 10%를 첨가한 숙성전 된장의 AGI활성은 84.89±0.08%, 숙성후 된장은 91.25±0.04%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꾸지뽕 열매의 발효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발효를 통하여 상승함을 보여주었고, 새로운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에 활용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소재임을 보여준다.
        150.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구광역시 섬유폐기물 발생량은 19톤/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섬유폐기물중 약 15.3톤/일이 대구소재 대구염색산업단지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염색산업단지내에 입주 섬유/염색산업 관련 기업의 수는 128개이며, 이들 업체에서 염색 및 재직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지 및 섬유조각, 염색불량으로 인한 섬유 폐기물의 발생량은 15.3톤/일의 섬유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중 폐원단이 전체 섬유폐기물량의 20~30% (3.0~4.5톤/일) 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발생되고 있는 섬유 폐기물의 90%이상이 수거, 파쇄 공정을 거쳐 성서폐기물 소각장으로 반입하여 소각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응용되어 왔던 폐원단을 새롭고 효율적인 코팅기술로 가공함으로써 폐원단의 적용범위를 확대시키는 것이다. 폐원단의 대부분은 염색가공 공정중에 발생을 하며, 이렇게 발생된 폐원단은 탈색 후 재염색하여 제품으로 재이용하게 된다. 이렇게 재이용되는 원단의 대부분은 인열강도가 현저히 낮아져 정상적인 제품으로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폴리에스터 원단 두께별 염색가공공정 중 각공정별 원단의 인열강도 변화와 기능성 가공 코팅을 통해 재상품화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현재 발생되어지는 폐섬유의 적용분야로는 생활용 섬유제품, 산업용 섬유제품, 의류용 섬유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어지며 이는 산업단지 내외부를 연계하는 자원순환 리사이클링 네트워크를 통하여 폐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순환사회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15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the change of waste management policy, the focus of product-oriented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been moved from follow-up management to advanced prevention since early 2000s. For achieving advanced prevention, assessment models to evalu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goods need to be established which can be used at design and manufacture stage for analyzing expected environmental loads and promoting recycling of resources. In this study resource recyclability assessment model for non-energy goods was developed. The model mainly consists of assessment items and instructions of each item. Assessment items are composed of 6 common items and 1 individual item for each group of target goods.
        15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부산물인 폐유황의 재황용을 목적으로 개질처리된 유황을 대상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써의 물성검토를 위하여 개질처리된 유황을 콘크리트에 외할 첨가하여 개질유황 첨가별 압축강도 및 내구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154.
        200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8년 현재 국내의 인삼재배는 19,408ha에서 24,613ton 규모로 생산이 되고 있으며 금액으로는 7,533억 원의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해외수출은 2008년 9,700만 달러로 다소 증까세 를 보이고 있으며 6년근 얀삼의 주산지는 홍삼용으 로 포천 김포, 이천 등 경기도, 강원도 일대에서 생 산이 되고 있다. 유통현황을 보면 생산자와 가공업체를 통한 직거 래 비율이 40%, 산지취급 상의 포전 거래가 35% 정 도이다. 통상적으로 계약재배의 경우 5년근 이상은 가공용 원료삼으로 활용되며 4년근은 산지 취급장을 통해 수삼으로 유통되고 있다. 주요 인삼재배국은 한국, 중국, 미국, 캐나다이며 생산량은 중국〉한국〉캐나다〉미국 순으로 추정된다. 주로 위도 34도에서 42도 범위가 자생지역으로 중국은 길림성에서 전체의 77% 정도가 생산되고 있 다. 세계의 인상생산량은 건삼기준 40,OOOton 내외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 인삼 수출 감소의 가장 콘 원 인은 세계 인삼 집산지인 홍콩시장의 백삼류 거래 가 크게 감소한데 기인되며 홍콩시장의 수출 감소는 미국, 캐나다 화기삼의 저가전략 및 고려 인삼의 승열 작용에 대한 파장된 보도전략에 적절히 대응 하지 못한 때문으로 판단된다. 인삽시장 차별회룹 통한 패러다임 구축을 위해서 는 소비자의 니즈파악과 신뢰도를 구축하고 기능성 식품재료로서의 소비시장을 확대하고 과학적 근거 에 의한 체열 상승이론에 대응과 재배법 개선 및 생 산비 절강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155.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여 소비촉진을 위한 버섯가공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68.5%)으로 구성되었고,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0세였으며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에 따른 선호하는 버섯의 경우는 2
        160.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게임 사용자들의 욕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지만, 국내 게임제작사들의 신상품개발은 여전히 제작자 관점에서 행해지고 있다. 게임제작사들의 이와 같은 제작자 중심의 상품개발은 거시적으로 게임문화의 다양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게임제작사 자신도 과다경쟁으로 건전한 수익기반을 잃게 될 위험이 크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의 방향을 게임제작사들이 게임사용자 관점에서 사용자들의 욕구를 게임제작에 과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컨조인트 분석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컨조인트분석을 직접 한국의 게임사용자들에게 적용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어떻게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게임을 찾아낼 수 있는 가를 보여주었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한국의 게임 사용자들은 시뮬레이션 게임, RPG 게임, 아케이드 게임의 경우 "다양성 측면"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게임인 경우 "시나리오"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작의 간편성"등 사용의 편리성에 대한 욕구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