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141.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東아시아의 漢字文化圈의 再編成에 따른 ‘漢字의 範疇’에 대한 연구 이다. 中世 東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漢字를 普遍的 文字로 使用해왔다. 內部的으로 國家의 管理와 經營에 必要한 大部分의 文書 管理를 漢字를 使用한 漢文으로 表現하고 使用하였다. 이에 따라 漢文은 多樣한 文體로 使用되었다. 19世紀末 東아시아의 漢字를 媒介로 한 文語 體制에 分裂이 생겼다. 中國은 淸末부터 文字 改革을 通하여 文言文을 解體하고 簡化字의 使用을 통해서 傳統 의 漢字인 繁體字에 變化를 주었고, 白話文의 定着을 通해서 言文一致를 實現 하였다. 日本은 메이지 時代 때부터 國字 文字와 言文一致의 問題를 提出한다. 특히 ‘國家’ 意識 成立과 함께 國語의 槪念을 成立시키고, 오늘날의 仮名(가나) 政策을 確定한다. 韓國은 1894년 이후 漢文의 文體를 버리고, 國漢文體를 거쳐 서 國文體를 成立하고 끊임없는 한글 政策을 통해서 한글 專用을 政策的으로 成功시킨다. 近代 東아시아 言語의 語彙 政策은 西歐의 學問을 漢字語彙로 飜譯해 냄으로 써 새로운 東아시아의 漢字語彙의 普遍性이 成立되었다. 現代 東아시아 漢字의 使用은 中世 때와 달리 多樣한 現象을 보인다. 各國의 文字 政策으로 因해서 새 로운 漢字들이 登場하였다. 中國은 一部의 漢字를 簡體字로 바꾸었다. 日本은 一部의 漢字를 略字로 바꾸었다. 韓國은 한글 專用 政策을 쓰고 있지만, 基本的 으로 繁體字를 使用하고 있다. 20世紀 後半 東아시아가 政治的으로 分裂되어 있을 때에는 각 국가는 自身들 의 文字 政策만 觀心을 가지면 되었다. 그러나 지금 21世紀 東아시아 交流가 매 우 頻繁하고 緊密한 때를 맞아서 漢字는 다시 個別 國家의 文字로 볼 것이 아니 다. 東아시아의 觀點에서 바라보면 漢字의 範圍는 상당히 달라진다. 漢字를 對象으로 ‘繁體字, 簡化字(簡體字), 略字’ 等이 存在한다면 그 範圍가 減少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어난 것이 된다. 즉, 東아시아인들이 相互間 文書 를 視覺的으로 接할 때에는 본디 漢字에 簡化字, 略字까지 包含을 하면 그 수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個別 國家의 경우에는 關係가 없지만, 簡體字나 略字는 繁體字의 또다 른 異體字가 될 수 밖에 없으며, 簡體字나 略字를 사용하는 사람의 처지에서 보 면 그에 해당하는 繁體字가 또다른 異體字가 될 수 밖에 없다. 즉, 東아시아적 觀點에서 보면 近代에 簡體字나 略字의 制定은 곧 異體字의 增加인 것이다. 결국 現代 東아시아의 漢字는 各國의 漢字에 다른 나라에서 使用하는 繁體字 와 簡化字, 略字 등이 異體字로 存在한다는 것이다. 즉, ‘東아시아 國家의 漢字 = 自國의 漢字 + 異體字’라는 公式이 成立되는 것이다. 繁體字와 簡體字, 略字의 相互 關係를 살펴보면 一部의 漢字를 除外하고는 大部分은 字形이 類似하거나 一部 劃數의 多少 차이를 보여줄 뿐이다. 따라서 東아시아 交流的인 側面에서 繁體字, 簡化字 略字 모두 겹치는 일부 漢字에 대 해서는 相互 比較 學習할 수 있는 環境 造成이 필요하다.
        6,700원
        142.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易讀性’에 관한 여러 논의의 검토를 통해 한자 어휘 수준의 결정 요인 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휘는 단일 변인으로는 텍스트 수준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독성 공식 등 텍스트 수준 결정에 관한 초기의 논의에서는 편의상 어휘의 계량화 측면을 주로 이용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면서 독자 요인과 함께 어휘의 질적인 측면을 주목하게 되었고, 그 활용에 대한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어휘 교육의 최종 목표가 문식성 발달에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서, 이상적인 이독성 공식이 포함하는 어휘의 질적, 양적 요인을 모두 아우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제시한 것이 頻度, 透明度, 입말화 한자어의 처리 문제, 사회 문화적 맥락의 고려이다. 이 이외에도 다른 요인의 고려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시대 변화에 따른 한자 어휘의 위상 변화를 인식하고, 우리 언어 환경 내에서 언어 수준의 질을 높이고 품격있는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사회적 의사판단과 표현에 기여하는 한자 어휘의 특성에 대한 이해 아래 어휘의 선정과 평 정, 교육의 우선 순위 배정 등의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계량 가능한 빈도 이외의 여러 질적 요인은 국문학, 국어학, 국어교육, 한문학, 한문교육 전공 자 등의 학제적인 연구를 통한 핵심 요소의 추출과 상세화 작업이 요구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언어문화 수준의 질적 제고와 관련된 부분이다.
        5,400원
        14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 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 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 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 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 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 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 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 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7,700원
        144.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에서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 摸索과 實行 方案’을 주제로 개최된 학술대회를 계기로 수행되었다.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한자 어휘 교육의 실행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중‧고교 교과 용어와 연계하 여 한자 어휘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우선 敎科 漢字 用語 에 대한 中․高校 學生들의 認識이 어떠한지 조사해 보고, 漢文科 敎育課程에서 한자 어휘, 특히 교과목 한자 어휘가 포함된 전문 용어를 어떻게 가르치도록 서술 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한문 과목과 한문 외 과목의 교과서에서 한자 용어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본 후, 中․高校 敎科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자 어휘 교육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각 교과에 나오는 개념어를 배울 때 漢字의 뜻을 좇아 풀이하는 방 식으로 배울 경우, 이해하기도 쉽고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사실을 학생들도 충분 히 알고 있었다. 또한, 교과 한자 용어를 강조해서 제시한 한문 교과서도 많지 않 을뿐더러, 타 과목 교과서에서 漢字를 노출시켜 교과 용어를 설명한 사례는 없음 을 알 수 있었다. 中․高校 敎科와 連繫한 漢字 語彙 敎育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의 교과서에서 한자 용어를 제시할 때 한문 축자 풀이 방식을 도입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 교사들에게 ‘교과 한자’와 같은 강의 개설 및 운영을 통해 각 교과별 주요 한자 용어를 축자 풀이 방식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8,400원
        14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한자어가 사용된 역사는 최소한 이천여년이 넘었다. 근대화를 기 점으로 한자와 한문교육이 보편 교양교육에서 특수한 일부 개별 교과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한글 전용 정책의 실시로 인해 한자와 한문교육이 축소되었으며, 시 대의 변화에 따라 한자 사용과 노출의 예는 극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오랜 세월 동안 구축된 한국어 어휘 체계 중에는 이미 70% 가까이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으 며, 실제 언어 생활에서도 한자어의 사용 빈도 또한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자와 한자계 어휘 교육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지 않음으로써 한자 표 기 오류 현상은 끊임없이 출현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한자 표기 오류가 나타나는 근본적 이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 고, 원인에 따라 유형화하여 해결의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9,500원
        14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 교육은 언어 교육의 하나이며, 언어 교육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한자 교육을 한다고 할 때 소통의 매개체 는 최소한 어휘 수준의 단위이다. 그러므로 한자 교육은 소통의 도구이자 매개체 로서 어휘의 교육에 충실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의 어휘 교육은 각 교과 학습의 기초가 되는 교육이라 할 수 있으 며, 한자 어휘와 같이 주요 개념어 내지 사고 도구어로 사용되는 어휘 교육은 각 교과 교육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 교 교육용 한자 어휘의 선정 작업은 근본적으로 각 교과 학습에 기본이 되는 학습 용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필자는 ‘교과서 한자 표기’ 방안을 한자 어휘 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그 다음 대안으로는 ‘국어과 교육 내용 안에 포함하는 안’이며, 초등학교『한자』교과를 통 하여 지도하는 방법은 가장 나중의 안이다. 또한 이도저도 어려울 경우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의 별첨 자료로 보급하는 것 도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를 1,000어휘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러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할 때 1,000어휘 모두를 필수어로 정하여 익히기는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단계별 수준에 알맞게 ‘이해어휘’(읽기 수준의 한자 어휘)와 ‘표현어휘’(쓰기 수준의 한자 어휘)의 수를 달리해 정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를 선정하기 기준으로 빈도, 분포범위, 언어의 필요, 이용도 및 친숙도, 적용 범위, 규칙성, 학습 용이도 및 학습 부담 등을 들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고 그 예를 일부 제시하였 다. 이러한 논의를 계기로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에 대한 교육당국의 교육지 침이 마련되기를 촉구한다.
        14,900원
        148.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en they teach Chinese characters in school, the most popular method to read Chinese characters is to read the meaning and the pronunciation together.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posted 1,800 base characters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ut it arranged the characters only without designating the representative meaning. The representativ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not on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 itself but also to interpret sentences. We define shape, pronunciation and meaning as three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teach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elements. Generally speaking, a Chinese character can have many different mean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beginners is to teach therepresentative meaning. As people learn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meaning and most of them think it has the defined meaning only, if we can designate the most popular and most widely used meaning as a representative meaning, it will make the most of Chinese characters. In case of notional word(實詞), they are read with representativemeaning anyhow. But form word(虛詞)s are read with Hun showing the function andsometimes part of speech itself becomes the Hun. For example, if ‘er(而)’ i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a sentence 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To be rich and precious without therighteousness is just like a floating cloud in the sky]’ should be interpreted like ‘What is not righteous and rich and precious is just like a floating cloud in the sky. If not, we need to explain the meaning of ‘connecting speech’ again. It is because ‘connecting speech’ is not the meaning of ‘er(而)’ but the ‘function’ of ‘er(而)’. There is a different case in preposition(介詞). We generally call ‘於’ as ‘EojosaEo’, but ‘Eojosa’ is the name of a part of speech rather than the meaning of ‘於’. Even when considering that ‘Eojosa’ is the name of part of speech, it is not correct because Revised Chinese Characters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classified ‘於’ as ‘preposition(介詞). Additionally, if the above sentence is interpreted just after teaching the letters, they will interpret as 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What is not righteous, rich and precious I Eojosa like a floating cloud]’. The same rule applies to similar letters.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t was tried to review the issue of representative meaning of 1,800 basic characters focusing on form words such as conjunctions, preposition(介詞) and auxiliary word(語助詞). Among 1,800 basic characters 而, 卽, 且, 則 are used as conjunctions, 於, 與, 于, 由, 以, 因, 自, 從, 乎 are used as preposition and 所, 也, 矣, 耳, 者, 哉, 之, 乎, 耶, 焉, 兮 are used as auxiliary word. Out of conjunctions, in 卽, and 且, meaning is applied during the interpretation so they are excluded from this review and 而and 則 were reviewed. In preposition, 與, 由, 以, 因, 自, 從 use meanings that ar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於, 于, and 乎 which use ‘a particle’ as Hun were reviewed. Among particles, excluding 所, 耳 and 者, 也, 矣, 哉, 之, 乎, 耶, 焉, and 兮 were review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tried to identify the most widely used meaning focusing on the texts in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n define the Hun as the most widely used meaning. If the representative Huns are designated in this way and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s using such Huns, they may be able to approach to the usage of individual Chinese characters and we can teach Chinese characters to students more accurately.
        149.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緖論 漢字文化圈에서‘漢字學’을硏究하거나‘漢字·漢文’敎育을硏究하고자할때에무엇보다도먼저解決해야할것은‘漢字·漢文’의範圍를決定하는일이다. 다루어야할對象의範疇가分明치않으면여러가지問題가發生할수있기때문이다. 이에本發表는東아시아의漢字文化圈의再編成에따른‘漢字의範疇’를定義하고자한다. 2. 東아시아의近代, 文語共同體의解體中世東아시아의여러나라는漢字를普遍的文字로使用해왔다. 內部的으로國家의管理와經營에必要한大部分의文書管理를漢字를使用한漢文으로表現하고使用하였다. 이에따라漢文은多樣한漢文의文體를使用하였다. 19~20世紀들어서면서漢字를爲主로한文語의使用에問題가생겼다. 東아시아의 漢字를媒介로한文語體制에分裂이생긴것이다.中國은淸末부터文字改革을通하여文言文을解體하고簡化字의使用을통해서傳統의漢字인繁體字에變化를주었고, 白話文의定着을通해서言文一致를實現하였다. 日本은메이지時代때부터國字文字와言文一致의問題를提出한다. 특히‘國家儀式’의成立과함께國語의槪念을成立시키고, 오늘날의仮名(가나) 政策을確定한다. 韓國은 1894년이후漢文의文體를버리고, 國漢文體를거쳐서國文體를成立하고끊임없는 한글政策을통해서한글專用을政策的으로成功시킨다. 이로써 19世紀末에시작된東아시아의漢字를媒介로한文語共同體는 20世紀들어서解體된다. 그러나이러한文語共同體는解體되었지만, 近代東아시아言語의語彙政策은西歐의學問을漢字語彙로飜譯해냄으로써새로운東아시아의漢字語彙의普遍性이成立되었다. 3. 現代東아시아의漢字의使用과範圍現代東아시아漢字의使用은中世때와달리多樣한現象을보인다. 中世의漢文은楷書를바탕으로쓰였지만, 앞장에서밝혔듯이近代들어서면서各國의文字政策으로因해서새로운漢字들이增加하였다.中國은一部의漢字를簡體字로使用하고있다. 日本은一部의漢字를略字로使用하고있다. 韓國은한글專用政策을쓰고있지만, 基本的으로繁體字를使用하고있다. 臺灣은繁體字를使用하고있다. 20世紀後半東아시아國家가政治的으로分裂되어있을때에는自身들의文字政策만觀心을가지면되었다. 그러나지금 21世紀東아시아交流가매우頻繁하고緊密한때를맞아서漢字는다시個別國家의文字로볼것이아니다. 東아시아의觀點에서 바라보면漢字의範圍는상당히달라진다. 오늘날使用하는基本的인語彙를爲主로使用하는漢字의數가傳統的인漢文의文章에서使用되었던漢字의數나範圍보다는작다고할수있다. 이는個別國家의觀點에서그렇게볼수있다. 그러나同一한漢字를對象으로‘繁體字, 簡化字(簡體字), 略字’等이存在한다면그範圍가減少한것이아니라,오히려늘어난것이된다. 즉, 東아시아인들이相互間文書또는漢字表記가된言語들을視覺的으로接할때에는본디漢字에簡化字, 略字까지包含을하면그수가늘어난다는것이다. 一般的으로쓰이는漢字 2,655자를가지고韓國, 中國,日本의漢字를比較했을때, 中國簡體字는 2,655字中에서 1005字(37.9%)이었으며, 日本의略字는 235字(8.9%)이었다. 따라서個別國家의경우에는關係가없지만, 簡體字나略字는繁體字의또다른異體字가될수밖에없으며, 簡體字나略字 를사용하는사람의처지에서보면그에해당하는繁體字가또다른異體字 가될수밖에없다. 즉, 東아시아적觀點에서보면近代에簡體字나 略字의 制定은 곧 異體字의增加로이어졌다는事實이다. 결국現代東아시아의漢字는各國의漢字에다른나라에서使用하는 繁體字와 簡化字, 略字 등이異體字로存在한다는것이다. 즉, ‘東아시아國家의漢字 = 自國의漢字 + 異體字’라는公式이成立되는것이다. 이러한公式이보여주는바는앞으로東아시아에서漢字에대한새로운政策의試圖는곧漢字의增加로이어진다는事實이다. 4. 結論 繁體字와簡體字, 略字의相互關係를살펴보면一部의漢字를除外하고는大部分은 字形이類似 하거나一部劃數의多少차이를 보여줄 뿐이다. 따라서東아시아交流的인側面에서繁體字, 簡化字略字모두겹치는일부漢字에대해서는相互比較學習할수있도록배려가필요하다.
        4,000원
        150.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란 한문을 공용문어로 사용하여 영위된 종합적 지식체제 이다. 즉 한문을 지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生活知, 學問知, 普遍知, 構想知등이 모여 이루어진 知識地形圖이다. 한자문화의 ‘知的傳統’은 가치의 역사적 축적이다. 특히 한국의 지적전통은 한 국의 지반에서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자기록으로 이루어진 지 적전통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것을 교육하고 학습하는 분야가 한문과목 이다. 우리의 한문문화를 동아시아 한문문화 속에서 비교하여 그 同異와 變化, 나아 가 普遍化를 분석할 때 우리만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본고는 한자문화 중 전 통교육과 관련된 지식형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형성에 어떤 교재가 어떤 교육방법으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전통’ 한문 교육에서 그 지식의 분류와 지식의 실천내용을 고찰하여 지식형성의 틀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전통적 몽학 한문교재는 天地人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토대로 하고, 그 위에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서 사회의 질서체제와 예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고대사회의 식자교재 인 『급취장』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천자문』등의 중국교재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합』이나『訓蒙字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분류체계 안에 서 초학자들은 識字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한편 교화용 교재는 자연에 관한 이해에 앞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하게 제 시하고 있다. 중국 宋代에 만들어진 『소학』,『삼자경』의 분류체계가 율곡의 『성학집요』나『격몽요결』등의 계몽서에 수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러한 교화용 교재의 분류체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심신의 수양과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의 학습방법과 사회 속에서의 처신을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적 몽학교재에 보이는 분류체계를 현대 한문교육 교재에 활용하게 되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의 이해와 계승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6,900원
        151.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한자를 사용한 지 1000년이 넘었고, 한자어는 한국 언어의 골간을 이 룬다. 한국 한자어는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적지 않을 변화를 겪으면서 독특한 한국 언어의 일부가 된다. 조선 시대 때 『莊子』나『老子』에서 나온 글을 과거시험 답안에 금지했다. 중국 소설 문체도 사용이 금지 되었다. 국가 공식 시험에 한문 텍스트를 제한 한 것은 한국 한자어 특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여기에 근대화 시기에 일본 한자어의 영향도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역사 배경을 가진 한국 한자어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 4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한자어를 일본의 當用漢字를 改正한 常用漢字, 그리고 중국어 한 자어와 字形을 비도 해보았다. 한국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자어를 중심 으로 살펴보았고 중국어는 바이두의 사전에서 검색하였다. 조사를 해보니, 한국의 한자어의 字形은 일본상용한자, 중국 한자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 한자어를 중국 한자어와 비교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 국 한자어의 용법이나 설명은 중국 한자어에 비하여 간단하고, 세밀하지 못하다. 셋째, 한국 한자어는 대부분 중국 한자어의 字意를 유사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두 글자로 된 중국 한자어 중에 [서술어+목적어]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는 한국 한자어로 될 때 변용되거나 뒤에 ‘하다’라는 접미사를 붙인다. 넷째, 한국어AB=BA 형식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를 소개하는 데 그친다. 한국어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으로 그 뜻이 중국 한자어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 는지, 또 어떤 의미 차이가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기타 특징으로 고대어와 유교문화, 불교 문화, 나아가서는 일본 근대 한자어 같 은 것도 한국 한자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미 어느 정도 학계의 성과가 있 지만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다루지 못한다.
        6,900원
        15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硏究는 최근에 많은 海外韓國語敎育現場에서 비교적 活潑하게 이루어지 고 있는 漢字및 漢字語敎育에 注目하고, 그에 대한 敎育方案에 대해서 論議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筆者가 몸담고 있는 베네치아大學에서 開設된 ‘韓國漢字語授業’을 土臺로 하여 理論的인 側面보다는 具體的이고 實際的인 側面에서 살펴보았다. 授業의 構成과 內容은 물론이고 그 運營에 있어서는, 베네치아대학 학생들의 敎育的背景과 特徵을 최대한 反映하고자 하였다. 그 중의 하나는 한자어 수업 에 參加하는 學生들 중에는 한자 및 한자어를 처음 接하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이 미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한 知識이 어느 정도 쌓여 있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이다. 前者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非漢字文化圈’으로, 後者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準漢字文化圈’으로 指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狀況이 特別히 베네치아대학에 限定 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것은 현재 海外의 大學, 특히 유럽 대학의 한국어 관련 敎育課程을 살펴보면 베네치아대학과 비슷한 상황이 많기 때문이다. 具體的인 敎育方案과 관련해서는 현재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漢字및 漢字語敎育이 韓國語敎育의 一環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考慮하여, 一般的인 言語敎育의 分類를 參考하여 ‘한자어 읽기’, ‘한자어 쓰기’, ‘한자어 말하기/듣기’ 부분으 로 나누어 論議를 進行하였다.
        6,900원
        153.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佩觽』은 오대와 송나라 초기 郭忠恕가 편찬한 자서로, 위진시대 이후로 분석 된 자서의 총결체로, 한자 자형의 표준과 한자 자형의 변화 규칙의 중요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충분히 연구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문은 곽충서가 지적한 34종의 한자 자형의 변화 현상 중 6종의 양상을 분석 하고, 이를 통해 곽충서가 지녔던 한자 자형 변화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는 동시에, 그 사상적 이론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고의 변화가 후대에 전해지면서 어떤 가치 와 작용을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결국 이후 등장하게 되는 과학적 인 문자학사나 사전사의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하나의 연구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4,900원
        154.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은 4~8세기 고대 조선 (삼국 시대를 중심으로) 시대의 금석문, 목간 경문 등에 잔존하는 "鹽"자 와 이체자 "塩"의 자형의 유무 및 자형 상황을 확인하고, 8 세기 중엽 중국에서 사용되지 않은 이체자 "塩"의 자형이 일본 쇼무의 친필 편 지에 등장하는 경위로, 중국 당나라에서 견당사(또는 그 이전 遣隋使)를 통해 직 접 일본에 한자가 전파된 것이 아니라 많은 이체자(당시의 俗字, 통용자)들이 고 대 한반도를 경유하여, 고대 조선 사회의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형된 자형이 일본 에 전파했다는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논의하였다. 특히 당시 일본 야마토 조정이나 나라 조정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추측되는 백제와 신라의 고문 자료에 변형의 흔적이 있는지 집중적으로 살펴 보았다.
        5,400원
        155.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漢字敎學은 중학교까지 3500자(초등학교 3000자)를 실시하되, 초등학 교 1, 2학년에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漢字敎學法은 우리와 중국이 유사하지만 중국이 우리보다 다양하다. 우리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중국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 로 한 誦讀法, 會意形聲原理識字, 偏旁활용 識字등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실시한다. 우리와 중국 모두 한자교학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자전 찾기, 图画등 을 이용하지만 중국은 漢語拼音을 교학하고, 이를 통해 識字敎學을 하기도 한다. 중국은 간체자로 인해 육서 이용, 결구 분석 등을 통한 敎學이 불리하지만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은 유리하다. 최근 중국의 일부 초등교재는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한자의 形音義사이의 聯想작용을 방해하고, 한자 를 저열한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의 ‘漢字敎學法은 聲符활용 敎學法, 결구분석을 통한 字源활용 교학법, 만 화, 그림, 사진, 컴퓨터 등 매체를 이용한 교학법이 연구되었다. 우리의 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개인적 연구 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雙拼電腦識字, 解形識字, 電腦字根識字,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등이 연구되었다. 중국의 識字敎學法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지방정부 차원의 연구 과제로 수행되고 실험을 거친 것들이라 공신력이 크다. 최근 중국의 한자교학은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識字法은 관심을 가질만하다. 우리나 중국 모두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멀티미 디어, 인터넷 등 매체를 활용하여 한자를 교학하지만 매체이용은 우리가 중국보다 다양하고 화려하다.
        9,900원
        156.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中國國家漢語國際推廣領導小組辦公室은 『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2008) 에 부록 형식으로 常用漢字800字表를 덧붙였는데, 이는 중국어를 제2언어로 교육하 는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중국어 교사는 당연히 “한자의 조자원리에 근거하 여, 형, 음, 의를 결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함”으로 교육의 원칙을 삼고 있으며, 이 표는 상용한자의 개관에 대해 총체적 파악을 제시하고 있다. “800字”중 160여자는 자형을 통해 자의를 밝히는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형-의의 관계가 다른 유형에 있어서도 여전히 직관적인 자의 해석, 일부의 자형을 이용한 자의 해석법,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 등 각기 다른 관점에서의 교 수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는 대부분의 상용한자에서 표의와 표음 부건을 귀납시키어 학습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본문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의 구건 18개와 그와 관련된 비교적 표의적 특성 이 잘 드러나는 346자(여기서는 제한된 편폭으로 인해 3조, 106자)를 수집하고, 90개의 형성자와 그 표음 부건이 현대 중국어 보통화 속의 성운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여 한자의 多音과 多義의 형성 원인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상의 여러 분석의 기초 위에 본문에서는 또한 이를 이용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5,100원
        157.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에는 일정한 규칙성이 있기 때문에, 설령 모국어가 동일하지 않은 어떤 국 가나 지역에서도 모두 기초한자란 개념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가치를 지니고 있 다. 한자는 형․음․의와 사용의 측면 등에 있어서 비교적 많은 층위구조를 가지 고 있으며, 그것들이 시스템적으로 완성되어 문자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문 자 체계를 살펴보면 글자와 글자 사이는 “형태적 연관”되거나, “음운상의 연관”, “의미적 연관”등이 존재하며, 이것이 바로 한자의 그런 계층이 가지는 특질을 깊 이 연구해야 하는 이유이다. 본고는 이러한 일반적인 규칙성을 발견하고 탐구하는 연구와 더불어, 이를 통해 한자 학습의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이것이 바로 한자를 학습함에 있 어서 “기초한자”에서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펴기 위해 본고는 우선 기초한자란 무엇이며, 어떻게 기초한자를 선정해야 하며, 어떻게 학습할 것 인지에 대해 명확히 논의해 보고자 한다.
        4,800원
        158.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는 중국인의 정신세계의 고향이자 인류의 공동 재산이며, 한자의 전파는 세계 문명에 대한 일종의 책임이다. 한자의 출현은 선인들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부호화하여 표현한 형식이며, 이로 인해 한자의 제자원리는 선인들의 인식론의 지 배를 받으면서 형성된 제자 근거에 기초하고 있다. 때문에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한자 교육은 한자의 제자 원리에 근거하여 선인들의 의식을 습득하면서, 최종적으 로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선인들의 인식 방법의 결과를 따르면서 창조된 한자의 구성 원리를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최근의 이루어지고 있는 한자교육을 보면 한 자의 제자 원리를 학생들 스스로 자각하여 학습하게 하기 보다는 교육 방법에 있 어 기계적이어서 그 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어 “한자학습의 어려움”만을 느 끼게 하고 있다. 본문은 중국 대륙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자교육의 실상에서 출발 하여 비효율적인 한자교육이 나타나는 현상과 그 원인을 분석하여, 한자교육 중 한자의 제자원리를 존중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본문은 중국철학, 정치 제도, 경제 조건 등 여러 방면에서 한자의 제자 원리에 나타나고 있는 의식이 한자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나름의 견해를 밝힘으로써, 전 세계의 한자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흥미와 효과적인 한자교육의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4,900원
        159.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의심할 여지없이 중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매혹적인 부분 중 하나이며, 동시에 중국어를 학습하려는 사용자(일본이나 한국인을 제외하고)에게 가장 머리 아픈 부분이기도 하여, 어떤 학습자는 심지어 중국어의 한자 쓰기나 읽기를 무시 하고, 오로지 말하기와 듣기에만 집중하고자 한다. 더 심각한 것은 그것이 또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중국어 학습을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대부분의 교재들에서 학습자의 특성이 무시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 어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는 진일보하고 있지만, 규칙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면적인 한자교육의 방법은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다. 본문의 목적은 한자의 구성(結構)을 분석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규칙성과 전면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함 께 가지는 한자교육 교수 학습 방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왜 우리는 한자의 구조(結構)를 파악해야 하는 것일까? 심리학자이가 인지기억 력 전문가인 케네스 박사(Kenneth L. Higbee Ph.D)는 학습자가 어떤 하나의 자 료를 기억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그 자료가 학습자에게 어떤 의의 를 가지는가라고 주장하였다. 때문에, 학습자가 개별적인 한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바로 학습자가 새로운 한자를 학습할 때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많은 중국어 교사들이 자형을 분석할 때 “너무 어렵다”고 느끼며 중문과 교수들만이 가능하다고 여기는 것에는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중국어 모 국어 사용자들은 자형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학습을 하여 본 경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자형을 분석하는 습관이 없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허신의 『설문해자』를 근거로 육서에 의해 설명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는 육서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이 매우 불분명한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계에서 는 여전히 ‘전주’에 대해 많은 이설들이 있는데 裘錫圭는 《文字學概要》에서 이들을 9개의 대표적인 학설로 정리한 바 있다. 이외에도 육서의 유형 분류 사이 에도 중첩되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만 존재하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詹鄞鑫는 《漢字略說》에서 「意符兼表讀音」의 회의자와 「聲符具有表意功能」형성 자를 말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각각의 세분화된 연구는 문자학 연구자에게는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언어 학습자에게 이러한 사실들은 오히려 부담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육서법은 한 자교육에 있어 적절하지 않다. 때문에 한자교육에 있어 이루어지는 자형의 구조 분석은 논리성과 일치성을 가져야 하며, 이는 또한 간단하고 간결하며 동시에 한 자의 본질과 부합되어야 한다. 본문에서는 한자의 구조를 3종류 (즉, 표의자, 표음 자와 기호자)와 4종의 부건을 기능헤 따라(표음, 형으로써의 표의, 의로써의 표의 와 형으로써의 교체)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형 구조 분석은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학습자가 더 많이 개별 한자의 의부와 성부의 기능과 같은 자형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한자의 계통성에 대한 이해를 진작하고, 이를 통해 신습한자 의 자음과 자의를 추측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배양시킴으로써 한자에 대한 기억 능력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