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4

        14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world become closer and many people travel around the world, infectious diseases are likely to be prevalent, Dengue, chikungunya, Zika virus would become endemic diseases in many places in the world as climate is more likely to be fit to mosquito vectors than before. As a matter of fact, Aedes albopictus mediating these diseases became endemic species in Japan and France recently. One of the things that we employ is that we need to apply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in disease vector control so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ector species in time as they are present unexpectedly. Here in this presentation, many lines of current state-of-the-art technologies to control the disease vectors using big data informatics application and machine learning strategies. With this trend, this presentation will add future directions of integrated vector management with new research endeavors to monitor the population of disease vectors concisely and precisely,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disease vector management will be addressed in this presentation. This will chang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pparatus to monitor and control disease vectors.
        14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도시공원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미래에 요구되는 도시공원의 유형 및 조성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공원의 조성·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대구시 도시공원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구시민과 전문가 1,509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분석, χ² 검정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산책을 목적으로 주거지에서 가장 가까운 공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계절은 주로 봄철, 방문시간대는 저녁이며, 도보를 통해 주로 방문하는 특성을 보인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은 산책로, 휴양시설 등로 현재 조성된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가벼운 산책, 휴식 등의 정적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래의 도시공원 조성방향에 대한 분석결과, 중요한 도시공원 유형으로는 ‘소공원’, 가장 시급하게 조성해야 할 공원 유형으로는 ‘주택지 주변 미조성 근린공원’으로 나타나 일상생활권 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 대한 중요성과 시급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구를 상징하는 공원 유형으로는 ‘문화공원과 근린공원’으로 나타나 대구의 문화적 특징을 활용한 문화공원 즉, 주제공원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요자의 관점에서 도시공원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필요한 도시공원 유형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도시공원 조성방향에 있어 공원유형만 다루고 있어, 향후 도시공원이 담아야 할 구체적인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대상으로 최근 개발된 도심에서 불교 문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연수구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여 연수구의 문화적 원형을 정리하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연수구의 불교적 문화원형을 찾는다. 이어서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문화자원에 결합하여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구성함으로써 연수구의 불교문화콘텐츠 구성의 실례를 모색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연수구가 신흥 개발 도심임을 상기하여 이러한 작업이 불교를 전면적으로 내세울 일이 아니라 일반 인문학의 범주에서 수용 가능한 맥락으로 구성해야 함을 밝히고자 한다. 연수구의 기본적인 문화원형인 바다와 백제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관점으로 불교문화콘텐츠를 구성한다면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국제교류가 담긴 현대적이고 국제적인 콘텐츠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야말 로 송도국제도시를 품고 있는 연수구의 미래와 한국문화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바탕이 될 것이다.
        6,000원
        14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Microsoft Kinect which is a low-cost gaming device has been studied as a promise clinical gait analysis tool having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However, its accuracy is only guaranteed when it is properly positioned in front of a subject.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rror when the Kinect was positioned at a 45˚ angle to the longitudinal walking plane compare with those when the Kinect was positioned in front of a subject. Methods: Sixteen healthy adults performed two testing sessions consisting of walking toward and 45˚ obliquely the Kinect. Spatiotemporal outcome measures related to stride length, stride time, step length, step time and walking speed were examined. To assess the error between Kinect and 3D motion analysis systems, mean absolute errors (MAE)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Conclusion: Based on our study experience, positioning the Kinect directly in front of the person walking towards it provides the optimal spatiotemporal data.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Kinect should be placed carefully and adequately in clinical settings.
        4,000원
        14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that is, the project of fishing vessel reduction is a complex challenge that needs to take into consideration for both fishing resource protect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By the way, the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in Korea is still poorly fruitful and there are few applications for the project in the country. For example, the buyback program of this nation has some problems like uncertainly set goals, conflicts among targets, no flexibility in the program implementation, low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nd lack in follow-up ac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offers the following alternatives. First, it is setting up detailed targets for fishing vessel buyback. Those targets should be what can be actually driven under policy support, such as reduction in illegal fishing, decrease in an exact number of fishing vessels and decline in fishing capacity rather than what seem to be comprehensive such as protection of coastal or offshore fishery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Second, it is taking measures for the livelihood of those who would face disadvantages due to fishing vessel reduction. Those measures providing or supporting the re-education and re-employment of fishery workers and building up systems that help the workers transfer fishing to another job. Third, it is adopting the governance system that overcomes lacks in communications between the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effectiveness of that program. Here, governance means that businesses and authorities concerned in the program interact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in mak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related to the project of fishing vessel reduction and assessing the results of that project. Fourth, it is taking actions for fishery reorganization after the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as those actions include supporting fishery workers’ cost of fishing vessel reduction, decreasing and modernizing fishing flee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fishing equipment. In conclusion, the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should be prepared with comprehensive actions or measures that can cope well with a variety of problems that may be arisen from it while keeping itself on the track of its original goals.
        4,500원
        146.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은 기존보다 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과 교수학습 방법·평가 측면의 구체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현장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교사의 재량에 의해서 변경되어 수업에 적용되고 있다. 작게는 단원의 축소, 순서의 변경 등으로 시작하여 크게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무시하고 아예 다른 과정을 적용하여 수업하는 교사도 여전히 많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 현장을 100% 반영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있을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점이고, 이를 인정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 고시 문서와 해설서 에서도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교사의 현장 적용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교육과정 재구성’이라고 보편적으로 명칭하던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학교 적용 활동을 개념, 필요성, 방향의 측면에서 정립, 제시하였다. 김현규(2015:77∼78)의 의견을 참고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학교 현장에서 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적용 과정을 ‘교사 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그 필요성을 학생, 교사, 학교의 관점에서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한문과 역시 ‘교사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방향을 각각 세 가지로 제시하고, ‘문화중심 교육과정’을 예시로 들어 주장을 뒷받침 하였다. 본 연구는 예시로 든 ‘문화중심 교육과정’의 서론 형태의 연구이다. 추후에 이어지는 연구를 통하 여 하나의 ‘교사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의 예시를 만들 예정이고, 이와 같은 현장 교사의 다양한 교 육과정 연구를 통하여 한문과 수업의 질적 성장과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
        5,500원
        148.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awater flow field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current directions near the manganese nodule mining device. Seawater flow near the collecting device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sea current direction, especially along the downstream of the rear system. Predicted flow velocity distributions are analyzed with turbulent kinetic energy and drag force. There is big flow field variation when the direction angle between the mining device and seawater current flow approaches to 30°~ 120°, and flow velocity along the rear region of 60° becomes faster than 180°. Averaged turbulent kinetic energy at 180° also becomes low, about 57% higher at 60°. These results from the study can be applicable to the optimum design of manganese nodule collecting system in the deep seawater flow.
        4,000원
        14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ies. To do this, we analyze the efficiency of ODA provided to 38 recipient countries by Korea through data envelope analysis method. The effects of four factors including population, GDP, economic decline and poverty, and external intervention on efficiency are also investigated by utiliz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EA efficiency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total is about 59%. By region,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Asia, Africa,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the East and CIS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are about 42%, 68%, 70%, and 74%,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 Asian countries are inefficient compared to countries of the other regions. It is also found that factors of population, GDP, economic decline and poverty, and external interven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fficiency at 0.01 significance level. In the case of the population, the higher the population of the recipient country, the more negative (-) effect is on the efficiency. The other factors such as GDP, economic decline and poverty, and external interven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fficiency.
        4,000원
        15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hallenges of welfa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identifying the major problems that have emerged dur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The welfare system has been shaped, developed and changed in order to help us cope with new dangers. The main task of social welfare in the future will be to find solutions to new social problems that have emerged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and are likely to be deepened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elfare system in Korea is faced with the overlapping tasks of solving all of the problems such as income security, absence of care, labor market polarization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novations in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are combined with advanced technologies are also a challenge. And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welfare system is to keep the basic idea of welfare, and that is, to support the futur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so that it can develop into a people-centered society.
        5,800원
        15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rtical earthquake motions can occur along with horizontal earthquakes, so that Structure should be designed to resist Seismic loads in all directions. Especially,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vibration mode, when the vertical seismic load, the dynamic response of the Spatial structure is large. In this study, the seismic response of the lattice dome to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loads is analyzed, and a reasonable seismic load combination is analyzed by comb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response results. In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seismic load, the largest result is obtained when the direction of the main axis of the structure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seismic load.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vertical seismic load and horizontal seismic load was the largest com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horizontal seismic loa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ost reasonable and stable design will be achieved if the seismic load in vertical direction is considered.
        4,000원
        15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령에 접어들고 있는 베이비부머 집단의 보행 운동용 스마트 스포츠웨어 및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용태도를 분석하고 베이비부머 집단의 특성에 맞는 스마트 워킹웨어 및 연동 애플리케이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기존 스마트 스포츠웨어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기능성 사용성에 대한 수용태도를 묻는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대상은 50세 이상 65세 미만의 베이비부머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비부머 소비자들은 스 마트 스포츠웨어의 기능 및 성능안전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관리 및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내구성 및 편의성 개선방향 및 사후 처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육적인 기능으로 인식하며, 인지용이성 및 접근성에 대해 젊은 세대에 비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보행운동용 워킹웨어의 디자인 및 기획 방향으로는 ‘일반 스포츠웨어 디자인의 일상적 디자인’, ‘소비자의 선호가 반영된 기능’, ‘관리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높인 디자인’ 등을, 보행운동용 애플리케이션의 기획 방향으로는 ‘쉬운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구성’, ‘교육적 운동 콘텐츠 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4,300원
        153.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의 지능화된 기술들은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왔던 삶의 패턴을 바꾸고 새로운 신기술을 통해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스마트한 세상, 경제성장, 그리고 노동의 질을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다. 반면,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들은 심각한 불평등, 부의 편중화, 빈익빈 부익부, 인간소외, 인간 노동력의 상실, 직업의 종말 등과 같은 심각한 갈등 요소들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며 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 선교의 미래 전략과 방향을 몇 가지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는 현장에 맞는 선교신학을 견고하게 세우는 것이며, 둘째는 선교 플랫폼을 만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공유하고, 셋째는 유비쿼터스 선교 시스템을 구축해 전 세계를 하나의 선교지로 연결하는 것이며, 넷째는 소통과 책임 리더십 강화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선교 전략과 방향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일이다.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 선교는 과거 선교 방식을 탈피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기술들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선교가 이루어지도록 소통과 공유, 협업과 에큐메니칼적 연대를 통해 선교 생태계를 회복해 가야 할 것이다.
        8,100원
        154.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e concept of “processing fluency”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aniszewski and Meyvis, 2001; Labroo et al., 2008; Herrmann et al., 2013; Shen and Rao, 2016). Processing fluency is defined as the ease with which people process information, and it has been found that experiencing fluency while processing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ecision making. Many researchers have shown that fluency elicits positive evaluation. For example, the mere-exposure effect has been explained by processing fluency; repeated exposure to a stimulus increases processing fluency and the fluency, in turn, increases positive affect (Arkes, 2013; Janiszewski and Meyvis, 2001). Many factors have been examined in fluency studies. Among them, the most common method to affect fluency is font manipulation (e.g., Alter et al., 2007; Alter and Oppenheimer, 2008). In these studies, researchers examined processing fluency of objects with clear fonts or unclear fonts and found the former enhanced processing fluency and thus caused positive evaluation for the objects. There are many other factors related to visual perceptual fluency, such as contrast of letters and background, exposure time, and so on. Processing fluency can be influenced by eye movement. For example, Shen and Rao (2016)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fluency of eye movements and product evaluation. They found that repetition of an eye movement could enhance perceived fluency and that this perceived fluency could increase product evaluation. In their second experiment, they manipulated participants’ eye movement by moving a ball on the computer screen and foun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 and the direction of products (pen and sports shoe) could enhance processing fluency and product evaluation. Similar to the study of Shen and Rao, we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products and processing fluency. Shen and Rao focused on eye movement, whereas our study concentrated on human body movement—namely, walking and riding. There are many advertisements in stores, trains, buses and on the roads. Consumers often see these advertisements while walking or riding. In these cases, they move to certain directions, and sometimes products in advertisements convey direction (e.g., automobiles, shoes, pens, and so on). At the time of exposure, consistency between two directions (consumer’s movement and product) may influence processing fluency and product evaluation. In a walking condition, the direction of physical body movement of the participants can be related to their eye movements. However, in a riding condition, the moving direction of a vehicle the participant rides does not always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participant’s eye movement. We can therefore assume that if consistency of the two directions affects the product evaluation positively not only in a walking condition but in a riding condi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existence of the effects of human body movement.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Empirical Studies In two experiments, all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at a major university in Tokyo. They were recruited at a university campus or via social network servic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wo conditions: participants looking at the advertisement while walking or riding on the bus. In prior research focused on eye movement (Shen and Rao, 2016),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eye movement and product location (left side or right side on the advertisements) as well as product direction (directed toward the left or toward the right). The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the product directed toward the right (pen or sports shoe) or located on the right side (cupcake) when their eyes moved from left to right. Conversely, the participants liked the product directed toward the left or located on the left better when their eyes moved from right to left. Based on their study, we also chose two types of products, sports shoe and bottled water. Sports shoe has a horizontal direction, so we can place the product in the advertisement with a particular direction (toward the left or toward the right). On the other hand, bottled water does not have horizontal direction, thus we use the product with a particular location (placed on the left side or right side in the advertisements). We hypothesize that the participants will experience processing fluency and express a greater preference towards the products in the advertisement when its direction or location match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cipants. Experiment 1 One-hundred-and-twenty students participated in a 2 × 2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2 moving direction × 2 product layouts. The experiment was set up in a classroom where the advertisements were displayed on the walls. On the wall to the left side of the classroom, the advertisement for sports shoe was displayed with the direction either toward the left or the right. On the wall to the right, the advertisement for bottled water was displayed with the product location either on the left or right side. On the front wall of the classroom, an advertisement for hamburger which had neither particular direction nor location was displayed as a dummy stimulu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alk around the classroom eith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y walked by the wall without stopping while looking at an advertisement and then rated preference and processing fluency regarding the product shown in the advertisement immediately afterwards one by one. For the participants who walked around the classroom clockwise, the products directed toward the right (or located on the right side) might appear more natural and thus enhance their processing fluency.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who walked counter-clockwise felt fluency regarding the products directed toward the left (or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tched groups and unmatched groups in both preference and processing fluency. Participants who walked around the classroom clockwise showed a higher preference and fluency regarding sports shoe directed toward the right and bottled water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advertisements. Similarly, participants who walked around the classroom counter-clockwise presented a higher preference and fluency regarding sports shoe directed toward the left and bottled water located on the left side. Experiment 2 In experiment 2, we used school buses running between campuses as the vehicle in which the participants looked at the advertisements. We set up two situations of placing the advertisements for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moving scenery outside the bus window on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We placed one near the ceiling, where participants can barely see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and the other on the window, where the participants can easily see scenery moving right behind the advertisement. The participants either stood or sat on the buses and then rated preference and processing fluency regarding the products on the advertisements right after getting off the bus. One-hundred-and-two students participated in a 2 × 2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matched-above, unmatched-above, matched-window, and unmatched-window groups. The matched condition meant that the moving direction and product layouts were consistent.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s and the product layout (direction of sports shoe and location of bottled water) were consistent, we defined matched condition. Otherwise, we defined unmatched condition.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For the advertisements placed near the ceil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tched and unmatched groups in both preference and processing fluency for both sports shoe and bottled water. On the other hand, for the advertisements placed on the window,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tched and unmatched groups. When the advertisements were placed on the window, the direction of the moving scenery outside the bus window wa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bus. This might have cancelled out the effects of moving direction.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empirical studies showed that for the condition of participants walking, the orien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product poin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cipants resulted in higher processing fluency, and led to higher product preference. Meanwhile, for the condition of participants moving towards a certain direction by passive means, such as taking a bus, product preference and processing fluency increase when the advertisement is placed up near to the ceiling, and the orientation or the location of the product ma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ticipants.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 preference or processing fluency when the advertisement is placed on the window. In closing, our research has provided an initial look at how consistency between two directions (consumer’s movement and product) ca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processing fluency and product evaluation. Consumers often look at the advertisements while walking or riding and advertisers can know the main direction of consumers’ movement. In these cases, they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r the location of the products in the advertisements considering the consistency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consumers. Recently, digital signage in trains and buses has become popular and advertisers can easily adjust the direction or the location of the products in the advertisements on it. Therefore, the knowledge extracted from our research may be readily available for advertisers.
        3,000원
        15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policy direction settings that can accomplish regional revitalization by continuously developing the various theme of rural tourism and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e recent issues of SDGs are discussed, and their link with rural development, especially with rural tourism, are examined. To be specific, it focuses on healing-type rural tourism that is rising as a new theme in the tourism industry. The results have reveal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indicators of SDGs and the needed resources for healing rural touris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rural tourism theme linkage, and to contribute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detailed action indicators of rural tourism in line with SDGs. However, since research on SDGs is at an early stag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discussion on various examples from the rural tourism field.
        4,000원
        15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여성범죄 증가로 인해 교정시설의 여성수용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성인지적 관점 교정처우, 즉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 및 사회적 지위, 문화적 차이와 경험 등을 고려한 교정시설, 처우프로그램, 교도관교육 및 역량개발, 출소 이후 사회내처우제의 운영 등은 여전히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유엔의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수용자 처우규정이 한국의 형의 집행 및 수용자처우와 관한 법령 등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관련 법령의 정비방향을 제시하는데 두었다.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수용자 처우와 관련된 유엔규범은 여성차별철폐협약, 유엔여성 폭력근절선언, 인신매매, 특히 여성과어린이의인신매매를방지, 억제및처벌하기위한의 정서(인신매매의정서), 유엔여성수용자처우및여성범죄자비구금처우규칙(방콕규칙)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방콕규칙은 다른 유엔규정을 모두 포괄하며 여성수용자에 대한 성인지적 관점 처우의 기본적 가이드라인을 세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형의 집행 및 수용자처우에 관한 법령을 비교분석한 결과 여성수용자에 대한 성인 지적 관점 교정처우를 위해 다음과 같이 현행법령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수용자처우원칙의 명문화, 둘째, 여성수용자의 개별처우 규정의 명문화, 셋째, 유아동반 여성수용자 개별처우 및 아동보호 규정의 필요, 넷째, 성인 지적 관점의 교도관 교육 및 직무역량 강화 규정의 명문화, 다섯째, 여성수용자의 비구금 다이버전 규정의 명문화, 여섯째, 여성소년 수용자의 특별처우 규정의 명문화, 일곱 째, 교정처우 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관점 진단규정의 필요, 여덟째,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수용자와 여성소년 수용자처우 행정규칙 제정 등이다.
        7,000원
        158.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경제사회에서 정부는 시장의 원활한 작동을 돕기 위한 룰의 제정이나 경쟁 촉진 뿐 아니라 소득 재분배, 나아가 시장 질서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다양한 정책적 보완 활동을 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민생경제의 원활한 작동을 지원하기 위한 공공서비스의 제도적 강구이고, 특히 금융생활에서 소외되기 쉬운 서민 대중을 포용하기 위한 금융지원정 책이다. 정부가 금융생활 정상화가 어려운 서민 계층의 금융생활 안정을 앞장서 지원하는 제도적 노력은 지원 대상이 되는 금융취약 계층을 위한 재생 프로그램이 될 뿐 아니라. 국민 각층의 성숙된 경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 인프라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정책 자금을 활용하여 금리 등의 거래 조건을 지원함으로써 서민 금융생활의 어려움을 줄여주려 노력하고 있다. 서민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공기관 과 금융회사를 통해 저소득 자영업자나 근로자 등 금융생활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사업자 금이나 생활자금, 주거안정자금, 교육비 등을 저리로 빌려주거나 특례 보증해주고, 고금 리 대출을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한편, 불입금에 일정비율의 액수를 더해 주는 매칭형 적금 상품과 소액 보험, 소액 신용카드 상품도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서민금융지원제도는 대부분 대출상품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출은 서민 가계경 제의 구조적 결함을 메워주지는 못한고 경제적 자립의 기회를 놓치게 만들기 쉽다. 향후 의 서민금융지원제도는 부채의존형에서 저축지향형으로 바뀌어야 하며, 서민 계층의 생활 환경에 특화된 보험 기능과 안정성이 강화된 투자 상품 지원 기능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 제공 및 지원 채널을 단순ㆍ일원화하고 금융교육과 상담을 의무화하여 올 바른 금융습관 조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정책당국은 금융소외계층의 생활 안정이 사회 적 갈등 해소와 건전한 시장형성으로 안정 성장의 기틀을 형성한다는 관점에서 무엇보다 도 먼저 예산 배분의 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5,800원
        159.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기치아래,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스마트 공장, 협업 로봇, 3D 프린트, 무인 자동차 등에 이어 최근에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과 함께 비트코인이라는 광풍이 한바탕 광풍처럼 지났지만 아직도 여운이 가시지 않은 상태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우리 이상의 모든 것을 송두리째 바뀌는 현상이 다가온다. 그럼 우리의 화두인 Project Management는 현재 어디쯤 와 있으며, 세상의 변화 흐름에 따라 어떻게 대처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생각을 해보기로 하자. 세상은 변화를 시도하고 있고 생존을 위하여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참해야 한다. 당면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Project Management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여기에는 Project Success에 대한 정의부터 달라져야 할지도 모른다. 새로운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Project와 Project Management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160.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환경과 다양한 수요, 격화된 경쟁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학교조직은 관료적이고 권위적인 조직에서, 유연하고 신속하며 전문적인 조직으로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이루어진 전통적 교육개혁은 하향적 변화전략을 채택함으로써 학교구성원의 변화에 대한 적극성을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구성원 간 협력, 잠재력 개발, 학습 성과 등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지 못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통적 교육개혁의 대안으로, 학교조직에 ‘조직개발’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향후 발전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교조직에 주로 적용된 조직개발 개입방법으로 ‘총체적질관리’, ‘학습조직’, ‘전문가학습공동체’를 제시하였고 계획적 변화의 모델로서 ‘학교컨설팅’ 및 ‘긍정적 탐색’을 설명하였다. 향후 발전방향으로, 1) 독립된 경영단위 체제로서의 학교조직의 역할과 권한 부여, 2) 학교조직 개발 개입방법의 다양화 모색, 3) 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성과에 대한 관심, 4) 계획적 변화 모델의 엄격한 적용, 5) 학교조직의 독자적인 조직개발 개입방법 마련, 6) 학교 행정가의 조직개발 역량 구축, 7) 국가차원의 조직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8,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