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5

        141.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랜 기간 동안 한국어는 한자를 빌려 자신의 민족 언어를 기록하였기 때문에, 한자어는 한국어 중 결코 적지 않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문은 중국과 한국의 동의이형 한자어의 유형을 구분하는 기초 위에서, 어소의 의미 복합어의 결합 원리, 민족감정이 단어의 의미에 끼치는 영향 등의 각도 아래 형성의 차이가 생기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 언어학 연구의 의의와 가치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4,600원
        14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4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ino-South Korea fisheries dispute is becoming increasingly intensified in recent years with occasional violent conflicts. The factors leading to this present situation include unsettled maritime delimitation, diminishing fishery resources, difficult relocation of Chinese fishermen, and the Korean coastguard’s rigidity, indifference, and even illegality in law enforcement. In order to solve the Sino-South Korean fisheries dispute, China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its supporting measures applicable to the fishery industry, promote bilateral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and establish a joint maritime enforcement mechanism.
        4,800원
        14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Korean and Chinese sansa powder were evaluated. Korean sansa was smaller and more reddish than that of Chinese sansa. Sansa powder contained ursolic acid, citric acids, and flavonoids, which have antioxidative effects.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in Korean and Chinese sansa powder were 217.67±7.64 mg/100 g and 127.67±7.85 mg/100 g, respectively. The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different levels (0, 2, 4, and 6%) of Korean and Chinese sansa powder were evaluated. Lightness of crust and crumb of bread containing Korean sansa powder decreased as the level of Korean sansa powder increased, whereas they increased as the level of Chinese sansa powder increased.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such as hardness and gumminess increased as the level of Korean and Chinese of sansa powder increased. In a sensory evaluation, control, bread containing 2 or 4% Korean sansa powder, and bread containing 2% Chinese sansa powder show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othe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commended substitution level for sansa powder in bread is 2 or 4% Korean sansa powder and 2% Chinese sansa powder.
        4,000원
        14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ood quality, food awarenes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of Korean restaurants in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a literature review includ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 quality of Korean food, Korean food awarenes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Analysis of the survey data was performed on 234 valid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i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od quality perceived by Chinese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food quality according to Korean food awareness by Chinese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s, whereas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Korean food awar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conclusion, food quality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4,000원
        146.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한자를 사용한 지 1000년이 넘었고, 한자어는 한국 언어의 골간을 이 룬다. 한국 한자어는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적지 않을 변화를 겪으면서 독특한 한국 언어의 일부가 된다. 조선 시대 때 『莊子』나『老子』에서 나온 글을 과거시험 답안에 금지했다. 중국 소설 문체도 사용이 금지 되었다. 국가 공식 시험에 한문 텍스트를 제한 한 것은 한국 한자어 특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여기에 근대화 시기에 일본 한자어의 영향도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역사 배경을 가진 한국 한자어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 4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한자어를 일본의 當用漢字를 改正한 常用漢字, 그리고 중국어 한 자어와 字形을 비도 해보았다. 한국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자어를 중심 으로 살펴보았고 중국어는 바이두의 사전에서 검색하였다. 조사를 해보니, 한국의 한자어의 字形은 일본상용한자, 중국 한자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 한자어를 중국 한자어와 비교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 국 한자어의 용법이나 설명은 중국 한자어에 비하여 간단하고, 세밀하지 못하다. 셋째, 한국 한자어는 대부분 중국 한자어의 字意를 유사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두 글자로 된 중국 한자어 중에 [서술어+목적어]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는 한국 한자어로 될 때 변용되거나 뒤에 ‘하다’라는 접미사를 붙인다. 넷째, 한국어AB=BA 형식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를 소개하는 데 그친다. 한국어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으로 그 뜻이 중국 한자어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 는지, 또 어떤 의미 차이가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기타 특징으로 고대어와 유교문화, 불교 문화, 나아가서는 일본 근대 한자어 같 은 것도 한국 한자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미 어느 정도 학계의 성과가 있 지만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다루지 못한다.
        6,900원
        14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빨간색 셔츠의 시각적 감성을 비교 분석하여 소비자 감성을 반영한 셔츠의 색채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시각적 평가방법으로 7가지 톤의 빨간색 색지와 빨간색 셔츠에 대한 시각적 감성과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 분석, 평균, 요인 분석,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빨간색 셔츠의 시각적 감성은 스포티, 로맨틱, 클래식 등 3개의 감성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 요인들은 톤, 성과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에 비해 strong톤의 빨간색 셔츠가 더 스포티하고, dark톤이 더 클래식하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한국 대학생은 deep톤의 빨간색 셔츠를 로맨틱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 대학생은 light톤과 pale톤의 셔츠를 로맨틱하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7가지 톤의 빨간색 셔츠에 대한 선호도는 국적 및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보다 dark톤과 pale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구매하고 싶어 하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strong톤의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 또한 남자 대학생이 dark와 dull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선호하는 반면, 여자 대학생은 light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
        4,000원
        14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디자인 요소로 한글을 사용하려 할 때 다양한 한글글꼴에 대한 감성과 선호도에 대한 객관적 정보 제공하여 한글글꼴 사용에 있어서의 방향 제시를 돕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연구의 세부 목표는 첫째, 한글글꼴의 조형 요소를 좀 더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한글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글글꼴에 대한 감성 차이가 한국인하고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글꼴에 대하여 한국인과 중국인들의 선호 비선호를 비교 분석 하였다. 첫 번째 목표를 밝히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과 중국인이 모두 2가지 대표요인으로 [친숙성], [soft]가 추출되었으며 양국 모두 제 1요인과 제2요인의 소속요인 모두가 순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다수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어 한국인과 중국인들이 한글글꼴에 대하여 서로 비슷한 감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한글글꼴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 및 중국인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친숙성이라고 볼 수 있고, 한글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들 또한 중국문화에 애용하여 왔던 붓글씨적인 서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4,000원
        149.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2학년 국어와 수학 교과서의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를 조사하여 그 실태를 파악한다. 한자어 조사 방법은 학년별로 국어와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어 총수를 조사한다. 그리고 1음절 한자어, 2음절 한자어, 3음절 한자어, 그 이상 음절 한자어의 수와 종류를 분류한다. 그 다음은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난이도를 조사하는데, 그 기준은 교육부 선정 한문교육용 중학교 900자와 고등학 교 1,800자, 이 1,800자를 벗어난 한자로 구분한다.
        7,800원
        150.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는 한문과의 교육목표에서 제시한 한문의 독해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요소이다. 또한 한자어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말로써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 5음절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를 말하지만, 2음절의 어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어는 한문교육의 내용 체계상 한자와 한문의 중간단계로 한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문을 독해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한자어가 한문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漢字나 漢文 못지않게 중요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한자어에 관한 연구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 연구는 매우 소략하여,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한문 교과서가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을 얼마나 많이 고려하여 집필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한문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가 신습한자와 함께 제시된 한자의 대표 字義와 얼마나 많은 의미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역대 한문전적에서 활용된 용례를 찾아 상관성을 검증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한문 교과서에 수록할 한자어의 선택과 의미의 제시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중학교 현장에서 쓰이는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반드시 수용하여 교과서를 집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한문 교과서는 본문에서 수용하지 못한 한자를 수용하려는 차원에서 한자어를 만들어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신습 한자로 제시한 한자의 字義도 一字一義의 원칙에 따라 대표적인 字義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字義도 原義, 派生義, 假借義를 혼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자어에서 활용한 의미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생기며, 한자어의 풀이도 국어사전의 풀이를 따르고 있어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종종 있다. 본고는 개정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1, 2, 3학년 한문교과서 가운데 1, 2, 3학년이 모두 검정에 통과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의 설계를 하여야 하나, 중학교 3학년 교과서가 아직 시중에 나와 있지 않으며, 그 범위도 너무 방대하여 부득이하게 연구자가 대표 저자인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漢文』1, 2, 3 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는 2음절의 한자어가 442개, 3음절의 한자어가 26개, 4음절의 한자어가 26개 등 모두 494개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2음절의 한자어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대부분의 한자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음절의 한자어 442개 가운데 ‘中國, 百濟, 新羅, 高麗, 朝鮮’ 등 국명과 ‘史記, 遺事’ 등 서책명, 지명인 ‘獨島, 漢陽, 漢城, 京城’ 등 12개를 제외하면 430개가 순수하게 2음절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430개의 한자어 가운데, ‘日出’ 등이 360개로 약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派生義나 假借義의 이해를 前提로 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자어가 15%, 典故가 있어야 이해가 되는 한자어가 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활용된 한자어 가운데 84%의 한자어가 한자의 대표 字義로도 의미 파악이 되므로, 한자어와 한자의 대표 字義와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고 한 자의 한자가 同義나 類似義를 가진 한자어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한자어는 매우 드물다. 교과서에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360개 가운데에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와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를 한국고전국역원에서 운용하는 인터넷 싸이트 국학관련 종합 DB의 ‘한국문집총간’에서 해당 한자어를 검색하여 사용된 용례를 검토해 보았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나, 同義와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 가운데 6개를 제외한 44개가 우리의 한문전적과 상관을 맺고 있었다. 전장제도와 서구문명의 유산으로 인식되는 민주주의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한자어,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 가운데 14개가 우리 한문전적에 활용된 용례가 매우 적거나 없는 한자어로 한문전적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360개 가운데 20개를 제외한 340개로 이는 전체 442개의 한자어 가운데 76%로 많은 한자어가 한문전적과 상관성을 맺고 있다. 따라서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 삽입된 한자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매우 높은 연관성 갖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한문 전적과 많은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의 대표 字義가 우리나라의 고전문헌을 참고하여 만든 대표 字義를 따라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어가 오늘날 언어의 활용과 한문 독해에 얼마나 유의미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가령 한자어로 제시한 ‘一里’는 국어사전식 풀이가 ‘한마을’인데, 오늘날 ‘一里’라는 표현은 이미 死語가 되고, 이의 풀이말인 ‘한마을’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자어를 바라보는 시각이 오늘날의 언어생활과 서구의 학문에 영향을 많이 받은 과학 등의 용어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한자의 대표 字義를 현재의 의미에 맞게 고쳐야 한다. 그러나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라는 측면에서는 기존에 이미 제정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재의 대표 字義도 한자의 이해가 한문을 번역하는데 필요한 전제라면 일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자어의 교육에 대해 언어생활용과 한문교육용으로 분리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언어의 학습은 일관성이 우선이므로 한문 고전 어휘와 현대 한자어의 의미의 연관성을 밝혀서 통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국어사전식 풀이에서 한자어의 本義와 차이가 나는 한자어, 典故의 이해 없이는 의미 파악이 되지 않는 한자어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교과서의 날개, 하단, 부록 등의 공간에 附記하여 설명하여야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3,000원
        15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tax ethics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s with sixty (N=60) Korean university students, sixt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sixty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with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Korean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tax law. However,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tax ethics. This results tell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ax ethics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as not rejected.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xual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The additional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level of tax ethics improved through the tax lecture or cours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evel of tax ethics could be affected by the education of tax law.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6,600원
        152.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preference for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literature review includ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Korean food that included preference, satisfaction, product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e analyzed 240 valid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e, IP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Of the 41 kinds of Korean food included, the students' average preference was 3.24 and satisfaction was 3.23 on a 5-point scale. The students questioned preferred Bulgogi (3.99), Galbigui (3.92), Galbitang (3.88), Galbizzim (3.87), and Samgyeopsal (3.86) to other Korean foods. With regard to satisfaction, Bulgogi (3.94) was chosen by Chinese students as the most satisfying Korean food, followed by Galbitang (3.80) and Galbigui (3.80).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Korean food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4,000원
        153.
        201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perceptual learning style, ideal L2 self, and motivated L2 behavior of Chinese, Japanese, South Korean, and Swedish high school students. Guided by Dörnyei’s (2005, 2009a) L2 motivational self-system, this quantitative study extends Al-Shehri’s (2009) and Tae-Young Kim's (2009a) research byreinterpreting the role of perceptual leaming styles in the creation of learners' ideal L2 self and the maintenance of their motivated L2 behavior. The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learners' perceptual learning styles (i.e.,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sty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ideal L2 self and motivated L2 behavior. However,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none of three perceptual learning styles were meaningful predictors of motivated L2 behavior. Instead, only ideal L2 self were found to be meaningful predictors of their motivated L2 behavior. The ANOVA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 Chines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show motivated L2 behavior than the other students, they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the ideal L2 self than the Swedish student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ceptual learning styles and motivated L2 behavior based on the L2 motivational self-system,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creation of ideal L2 selves plays a pivotal role in sustaining motivated L2 behavior .
        5,800원
        15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기업은 흩어져 있는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고 가공하여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가 기업 운영에서의 주요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는 사용자의 펼요에 따라 정보의 가공방식이 달라지며 그 결과도 달라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한 후 이에 따른 CRS의 구축과 실행이 있어야 한다. 한편,CRS도 소프트웨어로써 시스템에 대한 해킹,아이디 무단사용 등과 같은 불법사용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불법사용을 단속하려면 국가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정확한 인식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CRS-ETERM과 한국의 대표적인 CRS-TOPAS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ETERM과 TOPAS의 Software 속성과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하고 CRS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며 시스템에 대한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려고 한다.
        4,800원
        15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꽃꽂이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과 궁중 행사 장식용으로 이용되었던 전통 궁중회화를 이용하여 조형의 요소와 원리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대 선정은 한국의 조선, 중국의 명, 일본의 에도 시대로 한 정하였다. 유사점은 한·중·일 모두 꽃꽂이의 기원을 원시신앙 에 두었으며 조형적인 형태가 발생한 시점은 불전공화에 두었다. 이용된 소재는 아취가 있는 화목류를 주로 사용 하였으며 자연의 모습을 존중하고 심상적인 표현을 하 였다(Fig. 1a-c). 기술적인 부분은 수제(水際)부분이 있 었으며 선을 이용하여 한 가지에서 나온 것처럼 줄기를 모아 꽂았다(Fig. 2a-c). 차이점은 한국이 두 나라에 비해 소재의 수를 적게 사용하였고, 양감적이었으며, 도식화된 타원형으로 의궤에 계승되어 내려왔다(Hong, 2001). 또한 중국보다 조형적이었으나 일본보다는 자연미가 있었고 좌우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3a-c). 한국의 꽃 꽂이는 여백 처리와 선의 각도 변화가 크지 않아 부드럽 고 온화하였으며 규모는 일본보다 더 큰 형태를 선호하였 다(Table 1). 또한 화목류의 단일 소재 사용으로 화려함 보다는 조용함과 소박함이 있었다(Fig. 4a-c). 반면 한국에 비해 중국과 일본은 비균제의 미가 발달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여 화려하였고 화기의 외부 형태도 섬세한 디자인으로 되어있었다(Fig. 1a-c). 중국의 특징은 다양한 소재로 화려함과 풍부함, 소재에 인공을 가하지 않은 자연의 미였다(Fig. 1b). 그러나 형식을 경계하여 조형적으로 일본처럼 접근하여 발전시키지 못했다. 일본 은 한국보다 다양한 소재와 각도의 변화로 화려하며, 섬 세한 여백의 분할로 인공적인 기교가 극치를 이루었고, 격식에 맞춰 곡선과 직선의 대비로 선이 날카롭고 강하였 다. 또한 제한된 주지의 각도 변화로 여백이 많아 가벼웠 으며, 불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1c).
        4,200원
        156.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 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 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 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 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 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 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 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7,000원
        15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네덜란드의 개인주의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원인을 고찰하고, 개인주의에 미치는 국가, 성별, 연령 등의 영향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한국 267명, 중국 271명, 일본 251명, 네덜란드 262명의 데이터를 통계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요인분석 결과, 개인주의를 구성하는 하위개념들로 볼 수 있는 4가지 요인들('독자행동', '익과 의사결정', '타인 무관심', '자신의 의지')을 추출하였고, 이들 요인들이 특정 국가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어 국가별 비교를 통해, '네덜란드,일본〉중국》한국'의 순으로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덜란드는 여러 문항에 걸쳐 개인주의 성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나 타인무관심 관련 문항에서는 낮은 수치를 보인 반면, 일본은 타인무관심 관련 문항에서 가장 높은 개인주의 성향을 보였다. 한국은 가장 집단주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개인주의성향이 강하였다. 연령에 있어서는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집단주의 성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1개 문항 중 유의차를 보인 문항수는 국가별 비교에서는 21개 문항 모두, 성별은 6개 문항, 연령은 7개 문항으로 나타나, 국가가 개인주의 구분의 가장 유용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4,300원
        15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basic data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by evaluating the experience that Chinese tourists have at Korean restaurants. To accomplish this, we analyzed the common dining out style of Chinese tourists and how their expectations were influenced by the Korean culture and movies and dramas. We then compare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Chinese tourists before and after visiting Korean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vertising of the Korean culture and movies and dramas to Chinese who dine out on a regular basis should be accelerated. In addition, the Korean food industry must develop distinct marketing strategies and improve the food menu and service to satisfy Chinese tourists who visit Korea often.
        4,000원
        160.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초등학교 한문 과목이 개설되는 것을 전제로, 초등학교 한문 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구상해 본 것이다. 특히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초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을 구성해 보려고 하였는바, 이는 과 목의 명칭에서부터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에 이르기까지 한문 과목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기도 하다. 초등학교 한문의 내용 체계(안)는 2007년 개정 중․고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 정의 내용 체계를 그대로 따르되, 내용 요소는 일부 수정하였다. 곧, 한문 영역의 경우, ‘읽기’와 ‘이해’ 에서는 한문 텍스트를 ‘短文’, ‘산문’, ‘한시’의 세 종류로 나누고, 이 각각에 대한 ‘읽기’, ‘이해와 감상’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고, ‘문화’에서는 ‘전 통 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 였다. 한문지식 영역의 경우, ‘한자’에서는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을 내용 요 소로 선정하고, ‘어휘’에서는 ‘단어의 형성’, ‘어휘와 의미’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고, ‘문장’에서는 ‘문장의 구조’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영역별 내용은 2007년 개정 중․고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 의 제시 방식을 그대로 따르되, 일부 하위 학습 요소를 초등학교 한문의 내용 체 계(안) 및 학년별 수준에 의거하여 재조정하였다. 초등학교에 한문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는 정규 교과로 개설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창의적 재량 활동의 汎敎科학습 과목으로 개설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한자 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초등학 교에 한문 과목이 정규 교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으로는 국어 교과에서 한자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 교과서마 다 주요 학습 용어에 한자를 倂記함으로써 모든 교과에서 한자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9,000원